역사, 인물 관련 284

조선시대 품계와 관직표

조선시대 품계와 관직표 ♣조선시대 품계와 관직표 ​동반 관직 - 문관의 품계-정1품(종1품)부터 정9품(종9품)까지 18품계. 서반 관직 - 무관의 품계-정1품(종1품)부터 정9품( 종9품)까지 18품계. 관직의 정식 명칭 - 계(품계의 명칭) · 사(소속된 관청) · 직(맡은 직분)순으로 썼다. 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 : 대광보국숭록대부 - 계(품계의 명칭) 의정부 - 사(소속된 관청) 영의정 - 직(맡은 직분) [ 품계 ] ■ 정1품관 ⊙대군(군 : 정 1품에서 종 2품까지). 공신. 부원군(왕비의 친정 아버지)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도제조(영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사부(세자 시강원의 관직으로서 영의정, 좌우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위(왕의 사위로서 공주에 장가든 자에 정1품 혹은..

조선시대 관직의 명칭과 행수법

고려, 조선시대 관직 및 품계 ​관직(官職)이란 정부직제에 의한 직책을 말하는 것이며, 품계(品階)란 관리의 등급으로 위계(位階) 또는 관계(官階)라고도 한다. 이는 중국 주나라 때부터 시행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어 조선 말기까지 이어져 내려왔다. 품계는 시대에 따라 다르며, 문관과 무관에게 주는 명칭도 각기 달랐고, 중앙뿐만 아니라 지방의 향직에도 9품의 상, 하 구분이 있었다. 신라 때는 골품제도를 바탕으로 한 귀족 연합의 전통위에 형성되어, 1등급인 이벌찬에서 17 등급인 조위까지로 구분하였고, 고려 때는 골품을 폐지하고, 당나라 제도를 본받아 중앙집권적 3성6부 체제를 확립 하였다. 조선은 초기에 고려의 제도를 답습하다가, 점차 왕의 권한이 커지면서 강력한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를..

임진왜란의 숨은 영웅 황진(黃進) 장군과 진주 창렬사(彰烈祠)

임진왜란의 숨은 영웅 황진(黃進) 장군 황진(黃進, 1550년 ~ 1593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본관은 장수, 자는 명보(明甫), 시호는 무민(武愍)이다. 고조부는 황희(喜)이고, 증조부는 지중추부사 황사효(黃事孝), 할아버지는 부사직 황개(黃塏), 아버지는 증 좌의정 황윤공(黃允恭)이며, 어머니는 남양 방씨(房氏)로 봉사 방응성(房應星)의 딸이다. 황윤길은 황진의 5촌 당숙이다. 개요​ 1550년 황희의 5대손이자 황윤공의 아들로 지금의 남원군 주생면 영천에서 태어났다. 1576년(선조 9) 27세 때 무과에 급제하여, 함경도에서 6년을 근무했다. 거산 도찰방과 안원 권관을 위시해 하위 관직을 거쳐 선전관이 됐다. 이듬해 종계변무(宗系辨誣) 일로 사신 황림(黃琳)을 보좌하여 군관으로 명나라를 다..

을묘왜변, 임진왜란의 영웅 : 정걸 장군에 대하여

을묘왜변, 임진왜란의 영웅 : 정걸 장군에 대하여 정걸(丁傑, 1514년 ~ 1597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의 수군절도사 선배로서 나이도 31살이나 연상인 고령임에도 많은 활약을 했다. 자는 영중(英中), 호는 송정(松亭)이다. 본관은 영광. 생애 1514년 전라도 흥양현(지금의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 길두리 후동마을)에서 태어났다. 1544년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봉사, 선전관, 서북면 병마만호를 역임했다. 을묘왜변 때 해남·강진 등지에 출몰한 왜구를 무찌른 공을 세워 남도포 만호가 되었다. 이후 부안현감, 온성부사, 종성부사, 경상우수사, 전라좌수사, 전라우수사, 장흥부사, 전라병사, 창원부사 등을 지냈다. 임진왜란 때는 78살의 노장으로 전라좌수군의 조방장이 되어, 전라좌..

조선전기 최대 왜란, 을묘왜변의 영웅들

조선전기 최대 왜란, 을묘왜변의 영웅들 1. 조선전기 최대의 왜란, 을묘왜변 * 이준경 선생 영정. 윤원형이 영의정 자리에서 물러난 후 영의정이 되었으며, 자신의 아들이 홍문관 관리 후보로 올라오자 이를 삭제할 정도로 청렴 공정한 인물이었다. 사진출처 경기일보 ​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37년 전인 1555년 5월 11일 을묘왜변이 일어났다. ​ 조선은 1392년 개국 후 국력이 확장되고 눈부신 과학의 발전을 이루며 세종대왕 때는 쓰시마섬을 공격하는 등 국력을 과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00여년이 지난 16세기 들어 왜구들은 일본 본토가 전국시대의 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식량을 구하기가 힘들어 명나라나 조선의 해변을 습격하였다. 조선에서는 경상도 지방을 침략하여 사량진왜변, 삼포왜란 등을 일으켰다. 조선은..

인물열전 속 이순신

이순신(李舜臣) 시호 : 충무공(忠武公) 자 : 여해(汝諧) 조선왕조 5백 년 동안 충무공(忠武公)이라는 시호를 받은 무장은, 이순신을 비롯하여 조영무, 남이, 구인후, 정충신, 이준, 김시민, 이수일, 김응하 등 아홉 명이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들은 충무공 하면 오직 이순신 장군만을 떠올린다. 대체 그 까닭은 무엇일까? “내가 제일로 두려워하는 사람은 이순신이며, 가장 미운 사람도 이순신이고, 가장 좋아하는 사람도 이순신이며, 가장 흠모하고 숭상하는 사람도 이순신이다. 가장 죽이고 싶은 사람도 이순신이고, 가장 차를 함께 마시고 싶은 사람도 이순신이다.”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에게 참담한 패배를 당했던 왜군 장수 와키사카 야스하루가 후손에게 남긴 말이라고 한다. 이순신은 전란 내내 그처럼 놀라운 전략과 ..

조선시대 무관직과 이순신 품계

조선시대 무관직과 이순신 품계 과거로 등용되는 무관은 대개 부위, 교위를 거쳐 장군이 된다. 종4품으로 승진하여 처음 장군이 되면, 그 보직에는 일반적으로 만호(萬戶)가 주어진다. 장군으로 계속 승진하여 정3품 상계(上階) 절충장군이 되면, 비로소 당상관(堂上官)으로 대우 받으며 령공(令公) 또는 영감(令監)으로 불린다. 또 승진하여 종2품 가선대부가 되면 동반(東班)의 품계와 구분이 없어진다. 이후 다시 승진하여 정2품 자헌대부가 되면 이때부터 대감(大監)으로 불리고, 사후에도 시호(諡號)를 받는 등 특별대우를 받는다. 이러한 무관의 품계와 승진체계는 수군이나 육군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었던 게 임란 당시의 제도였다. 이순신은 32세에 무과에 급제한 후, 함경도 동구비보의 종9품 권관(權官)부터 관직생활..

이순신이 방진의 딸과 혼인하게 된 사연

이순신이 방진의 딸과 혼인하게 된 사연 영의정 이준경이 이순신과 방규수의 혼인을 중매한 사연 이순신과 방규수의 혼인을 영의정 이준경이 중매했다는 사실에 의아함을 갖고 있었다. 덕수이씨 이정의 아들 이순신과 온양방씨 방진의 딸 방규수의 혼인, 대체 만인지상의 영의정 이준경이 양가와 무슨 인연이 있길래 중매를 했을까? 혼인이 이루어진 1565년 당시 양가의 가문을 살펴본다. 덕수이씨 이순신의 가문은 부친 이정(李貞)이 창신교위(종5품)였지만 실직 없는 산관이었고, 조부 이백록(李百祿)은 평시서 봉사(종8품)를 지냈지만 이미 20여 년 전에 작고했다. 증조부 이거(李琚)가 이조정랑(정5품)과 순천부사(종3품)를 지냈으니 양반의 집안이었다. 온양방씨 방규수의 가문도 부친 방진(方震)이 보성군수(종4품), 조부 ..

임진왜란 주요 연표(이순신 중심)(음력)

임진왜란 주요 연표(이순신 중심)(음력) @ 임진왜란 이전 1545년 3월 8일 : 이순신 출생, 서울 건천동(현재는 인현동)에서 출생(양력 4월 28일) 1552년 ? : 어머니의 고향인 충청도 아산으로 이사함(8세). 1565년 8월 : 보성군수를 지낸 방진의 외동딸과 혼인. 영의정 이준경이 중매. * 1522년(중종 17년)에 치러진 식년 사마시에서, 이준경과 이순신의 조부 이백록, 그리고 이순신의 처조부 방국형, 이 세 사람이 모두 생원시 동방(同榜 : 같은 해 과거에 급제한 동기생들) 1567년 2월 : 아들 회(薈) 출생 1571년 2월 : 아들 열(열) 출생 1572년 ? : 훈련원 별과(訓錬院 別科)에 응시했으나, 시험을 보던 중 말에서 낙마하여 결국 낙방 1576년 2월(32세) : 식년..

임진왜란 당시의 옛 지명과 현재 지명 일람표(이순신 중심)

임진왜란 당시의 옛 지명과 현재 지명 일람표 옛 지명 현재 지명(현위치) 비고 가배량 거제시 동부면 가배리 경상우수영 본영 가리포 완도군 완도읍 군내리 완도객사 가덕(도) 부산시 강서구 천성동(가덕도) 감동포 부산시 북구 구포동 걸망포 통영시 산양읍(미륵도) 신전리 신전포 견내량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 통영과 거제 사이 해협 한산대첩, 와키자카 고금도(고이도) 완도군 고금면 (고금도) 통제영 고리량(오리량) 마산합포구 구산면 구복리와 저도(돝섬) 사이 고음천 여수시 시전동 송현마을 충무공 자당 기거지 관음포 남해군 고현면 차면리 이순신 전몰 유적지(이락사) 구화역 통영시 광도면 노산리 금당도 완도군 금당면 금당도 김해강 부산 강서구 서낙동강 남도포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 남도석성(만호진성) 남포 창원시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