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과 기방
왼쪽 그림 '기방의 풍경'을 먼저 보자. 이 그림은 담장 안과 담장 바깥에 각각 사람이 여럿 있다. 먼저 담장 안을 보자. 기와집 안에는 머리를 틀어 올린 여자가 한 사람 있고 그 좌우에 남자 둘이 있다. 기둥에 손을 대고 서 있는 사내 하나가 있고, 마당에서 막 집 안으로 들어서려는 사내가 또 하나 있다. 대문 바로 안에 있는 늙은 할미는 아마도 기방에서 음식을 하고 소소한 잡일을 맡고 있을 것이다.
대문 밖에 푸른 치마, 녹색 저고리를 입은 젊은 기생이 남자 한 사람을 떠나보내고 있고, 또 그 앞에는 사내 둘이 멱살을 잡고 드잡이질을 하고 있다. 뭔가 맞지 않아 시비가 벌어진 것이다. 오른쪽 그림 '술을 기다리며'를 보자. 푸른 치마를 입은 여자가 한 사람 앉아 있고, 사내 셋이 오른쪽에 나란히 앉아 있다. 그림의 왼쪽을 보면, 여자 하나가 왼손에 술병을 들고 오른손에는 옷을 벗은 계집아이를 데리고 집으로 들어오고 있다. 술을 사가지고 오는 참이다. 이것이 기방의 풍경이다.
● 조선전기엔 양반 기방 출입 금지
자, 누가 기방의 손님들인가.TV 사극에 이따금 벼슬 높은 양반들이 기방을 찾아서 은밀한 이야기를 나누고, 술을 먹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건 무언가 좀 잘못된 것이다. 시정에 기방을 열고 손님을 받아 영업하는 것은 조선후기에 생긴 것이니, 조선전기에는 그런 장면이 나올 수가 없다.
또 양반은 기방에 출입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양반 중 무반은 기방에 드나들 수 있지만, 우리가 양반 하면 떠올리는 글 읽는 선비, 문관은 기방 출입이 금지다. 물론 집안 말아먹을 그런 파락호라면 상관없다. 왼쪽 그림에서 기생 오른쪽에 앉아 있는 노란 초립(草笠)을 쓴 사내가 보이는가? 이 사람이 바로 별감(別監)이다. 별감은 액정서란 관청에 소속된 하급 벼슬아치다. 별감은 왕명을 전달하고, 궁문과 궐문의 자물쇠와 임금이 사용하는 붓과 벼루의 관리, 대궐 뜰에 자리를 까는 일 등을 맡는다. 별감은 임금에게 딸린 대전별감, 왕비에게 딸린 왕비전별감, 세자에게 딸린 세자궁별감이 있는데, 끗발은 대전별감이 가장 세다. 이 별감이 기방의 운영자이자 고객이었다.
● 기방의 단골 고객은 중인·상인
기방의 운영자를 기부(妓夫), 곧 기둥서방이라고 한다. 기부는 아무나 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각 전(殿)의 별감, 포도청의 포교, 승정원의 사령(使令), 의금부의 나장(羅將), 궁방이나 왕실 외척의 겸인(人·청지기), 무사만이 기부가 될 수 있었다. 그런데 대원군이 집권하면서 의금부의 나장과 승정원 사령은 관기(官妓)의 기부가 될 수 없도록 하였다.
따라서 대원군 이전에는 위의 여섯 부류가 기부가 되어 기방을 운영할 수 있었고, 또 기방에 출입하는 단골이었던 것이다. 그림으로 확인을 해 보자. 왼쪽 그림에서 담장 밖에서 기생의 전송을 받고 있는 자주색 상의를 입은 사내가 곧 포도청의 포교다. 이 그림에 별감과 포교가 등장하는 데는 이런 내력이 있는 것이다. 물론 이들만이 기방의 고객은 아니었고, 각 관청의 서리, 역관이나 의관(醫官) 등의 중인, 시전(市廛) 상인 등도 기방을 찾았다. 대개 서울에 사는 양반도 상민도 아닌 중간층들이 기방의 고객이었던 것이다.
기생에는 서울 기생이 있고 지방 기생이 있다. 서울 기생은 지방 기생을 뽑아 올린 것이다. 성종 때 완성된 조선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을 보면, 기생 150명과 연화대(蓮花臺) 10명, 의녀(醫女) 70명을 3년마다 여러 고을의 관비(官婢)에서 뽑아 서울로 올리게 되어 있었다. 이렇게 뽑힌 기생이 서울 기생이다. 이들은 장악원에 소속되어 춤과 노래를 배운다. 이들의 본래 임무는 국가와 궁중의 행사에 춤과 노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에 기생들은 양반들의 연회에 동원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영조 때 경국대전을 개정하여 속대전을 만들었는데, 기생에 관한 조항에 변화가 있었다. 즉 지방 각 고을에서 3년에 한 번 기생을 뽑아 서울로 올려 보내는 조항이 없어지고,"진연(進宴·왕실 연회) 때 여기(女妓) 52명을 뽑아 올린다."라는 새 조항이 생긴다. 진연이 있을 때만 지방에서 52명을 선발했던 것이다. 물론 이 수는 왕의 명령에 의해 바뀔 수 있었다.
법이 바뀐 것은 세상이 바뀌었기 때문이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장악원은 악기가 망실되고 악공이 달아나 종묘제례조차 지낼 형편이 못 되었다. 기생은 원래 장악원에서 기본적인 의식주를 해결해 주게 되어 있었지만, 두 차례 전쟁 이후 장악원은 그럴 만한 경제적 여유가 없었다. 이런 이유로 기생을 정기적으로 뽑아 올리는 규정이 유명무실하게 되었던 것이다.
● 기생의 꽃은 '옥당 기생´
진연 때 선발되는 조선후기 기생은 주로 관동 지방(강원도)과 삼남 지방(전라도 충청도 경상도) 출신이었다. 이들은 뽑혀 오면, 내의원(內醫院) 혜민서(惠民署) 상의원(尙衣院) 공조(工曹)에 소속된다. 기생은 명목상 내의원과 혜민서의 의녀(醫女)이거나 상의원과 공조의 침선비(針線婢)로 발령이 났던 것이다. 이 중에서 가장 랭킹이 높은 기생은 내의원 기생이다. 조선시대 벼슬 중에서 가장 좋은 벼슬로 홍문관 벼슬을 친다. 홍문관을 다른 말로 옥당이라 하는바, 내의원 기생도 기생 바닥에서는 홍문관 격이라 해서 '옥당 기생'이라 불러 최고로 꼽았다. 국가가 기생의 의식주를 해결해 줄 형편이 못 되자, 기생들이 서울 시내에서 기방을 열어 영업하는 것을 묵인하였다. 기방에 처음 기생이 나오면, 오입쟁이들은 기생을 기생답게 단련시켰는데, 여기에도 일정한 법도가 있었다. 그 법도를 어디 한번 감상해 보자.
"한 사람이 좌중에 통할 말 있소."
"네, 무슨 말이오."
"처음 보는 계집 말 묻겠소."
이렇게 운을 떼면 "같이 물읍시다." 또는 "잘 물으시오."라고 한다. 이 말에 다시 "이년아, 네가 명색이 무엇이냐?"라고 묻고,"기생이올시다."라고 하면,"너 같은 기생은 처음 보았다. 이년아, 내려가 물이나 떠오너라." 하고 빰을 살짝 때린다. 이건 기생이 아니라 하인이 아니냐는 수작이다. 기생이 여전히 "기생이올시다."라고 하면 "이년아, 죽어도 기생이야."라고 하고, 여기에 또 "기생이올시다."라고 답하면 이후 다음과 같은 대화가 이어진다.
"네가 하― 기생이라 하니, 이름이 무엇이냐?"
"무엇이올시다."
"나이가 몇 살이냐?"
"몇 살이올시다."
"그 나이를 한꺼번에 먹었단 말이냐?"
"한 해에 한 살씩 먹었습니다."
"그러면 꼽아라."
● 수치스러운 기생 적응훈련
기생은 "한 해에 한 살 먹었고, 두 해에 두 살 먹었고, 세 해에 세 살 먹었고…." 이런 식으로 나이를 꼽는다. 그러면 원래 물었던 오입쟁이가 "이년아, 듣기 싫다." 하고 "시골이 어디냐?"고 출신지를 묻는다. 기생이 아무 곳이라고 답을 하면, 올라오면서 거친 곳을 꼽으라는 뜻으로 "노정기를 외라."고 한다. 기생이 노정기를 외면, 본격적으로 기생을 단련시키기 시작한다.
"서방이 누구냐?"
"아무 서방님이세요."(성만 말한다)
"그 서방 이름은 무엇이냐?"
"아무세요."
"그러면 그 서방님은 오입에 연조가 높으시거니와 너는 그 서방님과 사는 것이 당치 않으니 버려라."
"못 버리겠세요."
"왜 못 버리겠니, 버려라."
"못 버리겠세요."
"왜 못 버리겠니?"
"정이 들어서 못 버리겠세요."
"아따, 이년아, 그동안 정이 들었어. 네가 정이 하 들었다니 어디 정이 있단 말이냐?"
"뱃속에 들었세요."
"어디 보자."
이제부터 '정'이란 말을 꼬투리로 삼아 치마를 들추고 성기를 약간 엿보는 것으로 하여 단련은 끝이 난다. 기부들은 이것이 기생을 빨리 적응시키는 방법이라 하여 일부러 오입쟁이들에게 부탁을 했다고 한다. 그림 왼쪽과 오른쪽의 기생들은 이처럼 수치스런 통과의례를 거치고 본격적인 기생이 되었던 것이다.
***********************************<강명관 부산대 한문학과 교수/서울신문 2008.11.10>
'미술(그림, 조각,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그림이 있는 조선풍속사]<16> 괴로운 편자 박기 (0) | 2009.02.12 |
---|---|
[스크랩] [그림이 있는 조선풍속사](8) 금지된 사랑의 만남 ‘밀회’ (0) | 2008.12.10 |
[스크랩] [그림이 있는 조선풍속사] (2) 엿보기와 남성의 성적 시선 (0) | 2008.10.23 |
[스크랩] 그림이 있는 조선풍속사 (0) | 2008.02.01 |
[스크랩] 파리 루브르 박물관 소장의 명화 (0) | 2007.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