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본 인터넷 뉴스 중에 마음이 짠한 내용이 있어 옮겨 본다.
아버지가 마시는 술엔 눈물이 절반이다
[[오마이뉴스 서정삼 기자]
자주 얼굴 보는 친구들이 있다. 정해놓은 요일은 없다. 하지만 이때쯤이면 어느 놈이든 연락은 하겠지, 그리하여 한 번씩은 모인다.
사실 그 자리는 참으로 비생산적이며 영양가 없는 자리다. 안 나가도 그만이고, 안 나온다고 두 번 찾지도 않는다. 그런데도 참석률은 거의 100%다. 쌀독에 쌀이 있든 없든, 요즘 같을 때는 죽을 힘이 없어 죽지도 못한다. 뭐 그러면서도 술 먹을 돈은 있는 모양이다.
만 나이로는 사십대라고 우기지만 나와 내 친구들 나이는 어느덧 오십. 지천명은커녕 아직 철도 덜 든 것 같은데 나이는 속절없이 잘도 먹는다.
만만찮은 나이지만 요즘은 나이보다도 주위환경이 더 만만찮다. 경제위기고 정치 꼬라지고 더 듣기도, 보는 것도 다 싫다. 그러다 보니 누구 하나가 콜하면 우린 모인다.
다들 못 살겠다 여기저기서 곡소리가 들리지만 사실 나 또한 마찬가지다.
직장생활 20년 되던 해 직장을 박차고 나왔다. '내 발로 나왔다'고 거품 물고 말해봐도 "너도 잘렸네"라며 안 받을 위로까지 받은 '사오정'이다.
처음에는 '이놈의 직장 아니면 밥 굶을까, 에라이 잘 먹고 잘살아라, 남은 인생 쿨하게 살아보자'라고 그랬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 아이들 밥은 꼬박꼬박 챙겨 먹였지만 나는 괴로운 적 많았다. 난 열심히 살았을 뿐이고 딴 욕심 안 냈을 뿐인데, 쌀독의 쌀은 모래시계처럼 잘도 줄었다.
대학교 1학년 마친 아들 놈 앞에 앉혀 놓고 '소주빨' 빌어, "제발 군에 좀 가 주면 안 되겠니?" 눈물의 쌍곡선을 그렸다.
지금 그놈, 최전방 철책에 서 있다. 이 아비 원망이나 안 하려나 모르겠다. 올해 고3인 딸은 대학 들어가는데 여군 보낼 수도 없고 참 걱정스럽다.
|
이런저런 걱정을 하는데 친구가 전화해 뼈다귀집에서 한잔하잖다.
"니가 사냐"니까 그렇단다. 고마운 친구다.
친구1
나이도 어린 게 건강원을 한다.
배즙, 양파즙 다려 박스포장 하다 보면 몇 봉지는 남는다.
"그래 너는 좋겠다. 좋은 것만 먹어서 뻗치는 힘 다 어디 쓸래?"
1년 전 가게 처음 시작할 때는 이런 농담도 막했다.
요즘은?
안 한다. 그런 농담 했다가는 안주 뼈다귀에 맞을 수도 있다.
즙 짜주고 받는 수공비가 3만원, 즙 내린 거 한 박스도 3만원선이다. 그거 팔아 월세 주려면 힘이 뻗다가도 몸이 뻗어 버린단다. 개소주나 염소즙 주문 들어오면 조금 낫다지만 요즘 같을 때는 밥 먹기도 쉽지 않으니 건강식품 찾을 리 만무하다. 그러니 이 친구도 환장할 지경이다.
친구2
. 피부과 원장님이다. 오리지널 서울대 출신으로, 그 학교 대학원까지 마친 박사다. 가방 끈 길다. 내 친구 중에서 제일 길다.
가방 끈은 긴데 요즘 먹고 살기가 쉽지 않단다. 점도 빼고 피부도 건드리고 이래야 돈이 좀 되는데, 요즘 그런 사람이 드물단다. 피부과 안 간다고 죽을 사람 없으니까 더 그런 것 같다.
이런 상황이니 일단 술 먹을 분위기는 된다.
'괴로워도 슬퍼도 나는 안 울어 참고 또 참지 울긴 왜 울어~사노라면 언젠가는 밝은 날도 오겠지. 그래 그런 날 올 거야. 힘내자. 그래서 한 잔! '
건강원 운영하는 친구는 "오늘 개소주 주문 하나 받았다"고 하고, 피부과 원장은 "오늘 아지매 엉덩이에 빈대떡만한 점 하나 뺐다"고 술 먹으면서 '씨익' 웃는다.
술 먹는 핑계도 많다지만 핑계를 만들어 우린 술을 먹지 않는다. 먹다 보니 핑계가 만들어 질뿐이다.
MB악법 때문에 술 안 먹는다. 그런 이유로 술 먹으면 돈이 아까워 술이 안 취한다. 국회에서 싸움질하는 인간들 때문에 열 받아도, 그런 이유로는 절대로 술 안 먹는다. 먹다가 그냥 그들을 안주 삼아 술만 먹을 뿐이다.
오늘도 나이만 오십 먹은(?) 친구끼리 만났다. 눈들이 참으로 선하다.
대출금 만기가 되었는데 연장 안 되어 상환 독촉에 시달리고 있는 건강원 친구. 죽어도 홍모 미대에 가야겠다면 재수하고 있는 큰놈 때문에 피부에서 황사가 일고 있는 피부과 원장놈. 이것도 저것도 아닌 그저 뼈다귀에 붙은 살집 뜯어먹기에 바쁜 나까지.
"굳센 사람들도 바람과 같던 사람들도 집에 돌아오면 아버지가 된다."
김현승 시인의 '아버지의 마음'이라는 시다.
그러나 나와 친구들은 오늘도 집에 돌아가지 않고 홀아비 아닌 홀아비들처럼 모여 저녁 수다에 정신이 없다.
비생산적이고 영양가 없는 자리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 낼 아침이면 뒷골 깨지는 두통보다 더한 일들이 또 우리 앞에 다가올 수 있다.
그래도 우리는 술잔은 놓더라도 정신만은 놓치 말자며 마지막 잔을 부딪친다.
"아버지의 눈에는 눈물이 보이지 않으나 아버지가 마시는 술에는 항상 보이지 않는 눈물이 절반이다."
정말 보이지 않는 눈물이 절반인 요즘이다.
** 정말 마음에 짠하게 다가오는 것이 느껴진다.
흔히 시쳇말로 잘 나가는 사람들끼리 모이는 경우도 있고, 위의 글 처럼 지친 삶을 위안하고 싶어 인생을 곱씹어 보는 모임도 있다. 어느 모임이든 나름대로의 가치가 있고 존재 의의가 있는 것이지만, 서로에게 편안하고, 힘든 마음에 위안이 되면 좋을 것이다.
내 자신의 삶 또한 그러한 가치를 실현하고 있는지 다시 한 번 반성해볼 일이다.
술잔은 놓더라도 정신만은 놓지 말자는 그들의 진솔한 다짐이 마음을 울린다...
*** 덧붙여서 김현승 시인의 시 '아버지의 마음' 전문을 실어 본다.
아버지의 마음
- 김현승 -
바쁜 사람들도
굳센 사람들도
바람과 같던 사람들도
집에 돌아오면 아버지가 된다.
어린 것들을 위하여
난로에 불을 피우고
그네에 작은 못을 박는 아버지가 된다.
저녁 바람에 문을 닫고
낙엽을 줍는 아버지가 된다.
세상이 시끄러우면
줄에 앉은 참새의 마음으로
아버지는 어린 것들의 앞날을 생각한다.
어린 것들은 아버지의 나라다 아버지의 동포(同胞)다.
아버지의 눈에는 눈물이 보이지 않으나
아버지가 마시는 술에는 항상
보이지 않는 눈물이 절반이다.
아버지는 가장 외로운 사람이다.
아버지는 비록 영웅(英雄)이 될 수도 있지만...
폭탄을 만드는 사람도
감옥을 지키던 사람도
술가게의 문을 닫는 사람도
집에 돌아오면 아버지가 된다.
아버지의 때는 항상 씻김을 받는다.
어린 것들이 간직한 그 깨끗한 피로
**** 김현승 시인
- 1913 광주 출생, 1937 숭실전문학교 문과 졸업, 1975 사망
- 시집 : <견고한 고독>(1968), <절대고독>(1970) 등 다수.
일제 식민지하에서 강인한 의지와 민족적 낭만주의 경향의 시들을 발표하여 문단의 주목을 받은 바 있는 김현승은, 일제 말기에는 타협을 거부하여 붓을 꺾고 10년의 세월 동안 침묵을 지키다가, 해방 이후에야 비로소 다시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하였다.
'아버지의 마음'은 1970년 발표된 시집 <절대고독>에 실려 있다.
독실한 기독교 신앙에 뿌리를 두고 작품 활동을 한 시인의 인생관을 내포하고 있는 이 시는, 아버지의 사랑과 희생, 그리고 고독을 노래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모든 인간들이 끊임없는 자기 성찰을 통해서 인간 본연의 순수함으로 거듭 태어나야 한다는 함축적 의미가 담겨 있다고 하겠다.
김현승은 남달리 고독의 문제에 특별한 관심을 갖고 이를 끈질기게 추구한 시인으로, 이 작품 역시 '아버지의 고독'이라는 제목을 붙여도 좋을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뉴스자료, 기사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 등록금이 없는 나라 (0) | 2009.04.10 |
---|---|
의료민영화 韓·美·伊 세자매경험으로 본 실태 (0) | 2009.04.03 |
세계인 심금 울린 ‘원이 엄마 편지’ (0) | 2009.03.06 |
기축년 영화계 울린 '워낭소리'...10만 돌파의 의미 (0) | 2009.02.04 |
[스크랩] 진정한 명문가에 대물림 되어 온 위대한 유산 (0) | 2009.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