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자료, 기사 사진

日언론들 "MB, 완전히 레임덕에 빠져"

道雨 2012. 2. 10. 11:37

 

 

 

      日언론들 "MB, 완전히 레임덕에 빠져"

'박희태 사퇴' 속보로 전하며 "MB 지지율, 20%로 추락"

일본 언론들이 박희태 국회의장 사임을 대서특필하며 이명박 대통령이 치명타를 입었다고 분석했다.

일본TV <TBS>는 9일 <'매수 의혹' 한국의 국회의장 사임>이란 기사를 통해 "여당 대표선거에 부정의혹을 사온 국회의장이 사임했다"며 "한국의 이명박 정권에게 타격"이라고 보도했다.

<TBS>는 박희태의 돈봉투 의혹을 상세히 전한 뒤, "박 의장은 이명박 대통령을 지지해온 유력의원중 한명으로, 4월 총선거와 12월 대선에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사임을 결심한 것으로 보인다"며 "남은 임기가 1년인 이명박 정권에게서는 이밖에도 많은 부정의혹이 발각돼 유권자 지지율은 20%대까지 추락했다"고 덧붙였다.

<지지통신>도 박 의장 사퇴 소식을 전한 뒤, "박희태씨는 이명박 대통령의 최측근"이라며 "다른 측근들도 잇따라 사임과 불출마를 강요 받고 있어, 임기를 1년 남긴 이 대통령이 완전히 레임덕에 빠진 양상"이라고 보도했다.

<요미우리> 신문 역시 "박 의장의 매수 사건에는 대통령실 고위관료도 관여돼 있어, 새누리당과 이명박 정권에게 한층 타격이 되고 있다"며 김효재 정무수석 연루 사실을 강조하며 MB정권 몰락을 기정사실화했다.

 

임지욱 기자

 

 

******************************************************************************************************

 

 이만섭 "MB 자신이 도덕적 기반이 있어야지"

"검찰, 盧 소환했었으니 박희태도 소환 수사해야"

이만섭 전 국회의장이 10일 봇물 터진 이명박 대통령 친인척 비리와 관련, "대통령이 철두철미하고 대통령 자신이 도덕적 기반이 있어야 돼요"라며 이 대통령의 도덕성 결여에서 원인을 찾았다.

이만섭 전 의장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민정수석실이 손윗동서부터 형님까지 얽힌 친인척 비리를 예방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 "그건 대통령 마음에 달린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옛날에 박정희 대통령은 친인척에 대해서 전부 정보원 미행을 시켰다. 너무 심하고 이러니까 박재홍이라는 국회의원을 했었지만 조카는 '아저씨가 대통령 되더니 정보원 붙이고 미행한다'고 불평하고 이랬는데 그렇게 엄하게 해야 된다. 그리고 국회분들도 조금 비행에 연루가 됐다는 정보만 있으면 철두철미하게 조사를 시키고 불러서 혼을 내고 이렇게 했다"며 "대통령이 그런 각오를 가지고 해야지 지금 보니까 무슨 동서, 처남, 전신 만신 전부 그렇게 써서 되겠나? 그러니까 국민들이 지도자를 믿느냐, 이말이야"라고 일갈했다.

그는 돈봉투 파문으로 박희태 국회의장이 사퇴한 것과 관련해선 "늦었어요. 그러나 지금이라도 그만 둔 건 마땅히 다행이라고 생각을 하고 그리고 내가 놀란 것은 이분이 돈봉투 사건에 청와대의 정무수석이 개입이 됐다니 아연실색할 노릇이다. 앞으로 검찰은 한점의 의혹 없이 철두철미하게 조사를 해야 한다"며 "앞으로 검찰이 국민들 보는 앞에서 정정당당하게 한점의 의혹 없이 이걸 조사해서 검찰이 명예를 회복해야 된다"며 엄정수사를 촉구했다.

그는 박희태 전 의장의 소환 여부에 대해서도 "과거의 노무현 대통령도 전 대통령을 검찰에서 불러서 대질심문까지 시키고 이러지 않았나. 그러니까 형평의 원칙에 의해서 공정하게 해야지"라며 검찰 소환수사를 촉구했다.

 

최병성 기자

 

 

********************************************************************************************************

 

         MB정권 '조중동 출신' 대몰락

김효재-신재민-최구식-김두우-최시중...조중동 '침묵'

 

MB정권의 조중동 출신들이 예외없이 몰락하고 있다.

<조선일보> 출신인 김효재 청와대 정무수석은 9일 고명진 전 국회의장 비서의 양심선언으로 그동안 해온 주장이 거짓말로 드러나면서, 정무수석직 사퇴와 검찰 소환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고명진씨는 김 수석이 검찰 수사때 허위진술을 하도록 강요했다는 주장까지 하고 있어, 검찰은 김 수석에 대한 사법처리를 자신하는 분위기다.

앞서 같은 <조선일보> 출신인 최구식 의원은 중앙선관위 디도스공격과 관련, 한나라당에서 나가달라는 압박을 가하자 버티다가 탈당했다.

검·경은 수사를 통해 최 의원에게 면죄부를 줬으나 이날 '디도스 특검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곧 특검의 재조사를 받을 궁지에 몰렸다.

또한 같은 <조선일보> 출신인 신재민 전 문화체육관광부차관은 이국철 SLS회장으로부터 억대 금품을 받은 혐의로 지난해 11월말 구속돼 재판이 진행중이다.

<중앙일보> 출신인 김두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은 부산저축은행 구명 청탁과 함께 현금 1억여원, 상품권, 골프채 등 억대 금품을 받은 혐의로 지난해 10월 구속돼 재판이 진행중이다. 검찰은 최근 그에게 징역 3년의 중형과 추징금 1억3천140만원, 골프채 몰수를 구형했다.

<동아일보> 출신의 'MB 멘토'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은 양아들 정용욱씨가 김학인 한국방송예술교육진흥원 이사장으로부터 수억원대 로비를 받은 의혹에다가, 본인 스스로도 친이계 의원 3명에게 3천500만원을 뿌린 혐의가 제기되자, 지난달 말 위원장직 사퇴를 발표한 상태다.

야당들은 검찰에 대해 최 위원장 즉각 소환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이처럼 MB정권의 실세로 군림하던 조중동 출신들이 예외없이 비리 혐의로 대거 몰락하면서 정부여당은 말할 것도 없고 조중동도 크게 당혹해하는 분위기다.

실제로 조중동은 자사 출신 인사의 비리 혐의가 터져나올 때 소극적 보도로 일관해 내심 얼마나 당혹해하고 있는가를 드러내고 있다.

MB정권 출범의 일등공신인 조중동은 지금 출범한지 세달이 다 돼가는 종편이 '0%대 시청률' 행진을 계속하면서 심각한 재정적 위기에 몰린 데다가, 정권과의 통로 역할을 해온 자사 출신들이 대거 몰락하면서 MB정권과 함께 벼랑끝으로 몰리고 있는 양상이다.

언론계 일각에서는 이와 관련, 언론계 출신들이 정치권으로 옮겨가는 '관행' 자체가 차제에 청산돼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한 예로 미국의 경우는 535명의 상하원 의원들 가운데 언론계 출신은 찾아보기 힘들다. 권력을 엄중 감시해야 할 '제4의 권력'인 언론계 출신이 정치권으로 이직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언론윤리가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 원칙에 따라 법원 판사 출신들도 정치권을 기웃거리지 않고 있다.

 

박태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