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김건희, 측근) 관련

김건희, 윤 대통령 오랜 친구들의 암묵적 금기어

道雨 2022. 7. 8. 09:20

김건희, 윤 대통령 오랜 친구들의 암묵적 금기어

 

*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지난달 27일 성남 서울공항을 출발한 공군 1호기에서 자료를 검토하는 윤석열 대통령과 함께 있는 김건희 여사.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의 아주 오래된 친구들만 아는 암묵적 금기어가 있다. 김건희 여사다. 대통령의 40년 지기는 “(윤 대통령이) 와이프에 대해 남달리 과하게 반응하는 게 있어서” 언제부턴가 다들 입에 올리지 않게 됐다고 했다. 흔한 부부 동반 모임도 기억에 없다고 한다. 그는 대통령 부부가 애정 이상의 것을 공유하고 있고, 주도권은 김 여사에게 있는 것 같다고 했다.

검찰총장 시절 윤 대통령을 가까이서 보좌했던 한 전관 변호사는 대선 캠프에 합류했다가 곧장 결별을 당했다. 당시 봇물 터지듯 쏟아지던 김 여사 의혹에 대해 대통령 면전에서 직언을 한 것이 화근이었다고 한다. 역시 대선 과정에서 주요 직책을 맡아 김 여사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한 여당의 한 의원은 집권 이후 뉴스에서 사라졌다.

 

윤 대통령 부부의 관계는 범상하지 않다. 국가 보안시설인 대통령 집무실에서 찍은 사진을 팬클럽을 통해 유출해 ‘보안 사고’ 논란이 일었을 때, 대통령은 침묵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 묘소에 ‘공식’ 참배를 가면서 전에 운영하던 사업체 직원을 대동해 공사 분별 못 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자, 대통령은 “봉하마을은 국민 누구나 갈 수 있는 데 아닙니까”라고 되레 반문했다. 그러니 또다시 아무 공적 지위가 없는 지인을 해외 순방에 거리낌 없이 데려가는 것이다. 최고 권력자가 이렇게 ‘실드’ 쳐주는 대상을 오래전부터 ‘역린’이라고 불렀다.

그런 김 여사 주변에서 요즘 심상찮은 잡음이 들려오고 있다. 그와 직접 소통한다는 팬클럽 회장은 사설 단체를 만들고 회비를 걷어 우려를 자아내더니, 최근엔 여권 내 정치 현안에 훈수까지 두는 지경이 됐다. 김 여사의 오빠는 대선 전부터 이런저런 일로 입길에 꾸준히 오르내리고 있다. 김 여사 자신은 헌정사상 유례가 없는 피의자 신분 영부인이다. 후보 시절 윤 대통령을 몇번이나 궁지에 몰아넣었던 의혹도 김 여사 혹은 김 여사 어머니 등 처가와 관련된 것이었다.

최근 들어 김 여사는 ‘1일 1일정’이라고 할 만큼 활동 폭을 의욕적으로 넓히고 있다. 그는 원래 오랜 기간 자신의 사업체를 운영했던 사람이다. 남편의 당선 이후 사업은 정리했다고 하지만, 이미 만들어진 인적 네트워크는 여전히 존재한다. 그 업체의 일부 직원은 대통령실에 채용돼 앞으로 관저에서 일한다고 한다. 관저는 ‘최순실 게이트’에서 드러났듯 딴 세상이다. 누가 드나드는지,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일반에 공개되지 않는다. ‘비선’은 권력의 음지에서 싹트는 법이다.

그럼에도 윤 대통령에게 김 여사는 거론 불가 ‘언터처블’이다. 지난 대선 때부터 김 여사 문제로 부딪쳐본 사람들은 대통령의 성난 얼굴을 기억한다. 그러면 측근들조차 입을 다물게 된다. 게다가 대통령 주변엔 온통 만만한 ‘부하들’뿐이다. 정권의 성역이 그런 토양에서 탄생한다. 그리고 권력의 힘이 빠지면 성역은 어느 순간 아킬레스건으로 돌변한다.

지금 윤 대통령이 남에게 조언할 입장이었다면, 십중팔구 특별감찰관(특감)을 빨리 임명해야 한다고 주장했을 것이다. 특감이 만능은 아니지만, 특감법이 정한 1번 ‘감찰대상자’가 “대통령의 배우자 및 4촌 이내 친족”이니, 맞춤형 예방·감찰 시스템이 이미 존재하는 셈이다. 대통령은 직계가 연로한 부모뿐인데, 일찍이 홀로 된 여동생이 모시고 산다. 반면 김 여사 본인이나 친정 쪽은 사정이 전혀 다르다. 특감이 임명되면 누굴 주시할지는 긴 설명이 필요치 않다.

“특감의 위험성을, 특수통 출신인 윤 대통령이 모르겠어요? 최순실 게이트 때도 당시 이석수 특감의 내사가 기폭제가 됐잖아요. 그래서 일부러 임명하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앞으로도 쭉 비워 둘 거라고 봅니다.” 윤 대통령을 초임 검사 때부터 잘 아는 법조계 인사의 예상이다. 아닌 게 아니라 10일이면 취임하고 두달인데, 심지어 국회가 정상화됐는데도, 대통령은 특감 후보자 추천을 요청하지 않고 있다. ‘문재인 정부도 5년 내리 공석으로 두지 않았냐’는 편리한 핑계가 있긴 하다. 그러나 그건 ‘상식이 회복된 반듯한 나라’를 1번 국정 목표로 정한 윤 정부에 도무지 어울리지 않는다. 정히 특감을 두기 싫으면 설치 근거인 특감법을 폐기하자고 제안하는 게 ‘상식’에 맞는다.

조마조마하죠. 터지는 건 시간문제라고 생각해요. 그나마 작은 게 터지면 다행인데, 아니면…”

법조인이기도 한 윤 대통령의 오랜 친구가 정말 걱정이라는 표정으로 말했다.

 

강희철ㅣ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