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검찰, 노무현 표적수사 중 나를 버린 카드로 써"
"정치검찰 조작이었다는 워치독 보도 흥미롭게 봐"
"수사 검사가 '재수 없었다'고 생각하라해서 묻은 일"
"중앙당 때문에 문제 됐지만 불만 표시하지 않았어"
"검찰 조작수사…벌할 사람 벌하고 제도 개선해야"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지난 2002년과 2008년 정치자금법 사건 당시 검찰에 의해 표적 수사 당한 정황과 관련, "저는 희생양이라기보다는, 노무현 대통령을 겨냥한 수사(당시)에, 저는 그때 (정치권에서) 변방에 이미 버려진 인물이고 잊혀진 인물이어서 (검찰이) 버리는 카드로 쓴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24일 오전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조국혁신당 황운하 의원이 탐사보도그룹 <워치독>의 단독 분석보도를 언급하면서 "검사들의 정치 표적 수사의 첫 번째 희생양이 김민석 후보자였다고 분석된다"고 말한 데 대해 이같이 답변했다.
앞서 <워치독>은 지난 2003~2004년 대검찰청 중수부가 중심이 된 대선자금 수사팀 검사들이 에스케이(SK) 그룹 비자금 사건을 여야 정치인들을 향한 불법 대선자금 수사로 확대하는 과정에서 김 후보자를 표적 수사한 정황을 확인해 보도한 바 있다.
SK 비자금과 대선자금 수사팀 핵심 인물들은 2008~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을 죽음으로 내몬 박연차 게이트 수사에 참여했고, 특수부 검사들은 노 전 대통령 수사 과정에서 김 후보자를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또다시 구속기소하고 피선거권까지 박탈한 정황도 보도했다.

2003~2004년 수사팀이었던 안대희 전 중수부장, 이인규 전 서울지검 형사9부장, 윤석열 검사(전 대통령), 한동훈 검사(전 국민의힘 대표) 등은 '우검회'라는 사조직을 만들어 검찰 내에서 세력화하고, 노 전 대통령뿐 아니라 한명숙 전 국무총리,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이재명 대통령 등을 표적 수사하며 정치에 개입했다.
☞ 관련 기사, 20일자 <김민석 정치자금 사건, '우검회' 일당 첫 작품이었다>
김 후보자는 특히 손길승 SK그룹 회장 등의 증언으로 재판에 넘겨진 2002년 정치자금법 사건과 관련, "왜 그 사건이 일어났는지를 모르고, 저를 부른 수사 검사가 얘기해 줬기 때문에 안다"면서 "수사 검사는 정확하게 당시 표현하기를 '(수사받은 걸) 재수 없다고 생각하십시오'라고 이야기했기 때문에, 저는 억울하게 생각하지만 다 받아들였던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황 의원은 "그 부분이 굉장히 억울하게 생각이 됐을 것 같은데, 그 당시에 검찰이 손길승 SK그룹 회장에게 '김민석이 건을 얘기하지 않으면 놔두지 않겠다' 이렇게 협박을 해서 검찰이 의도하는 진술을 받아낸 것으로 이렇게 알고 있는데 맞느냐"고 물었다.
김 후보자는 "그 또한 제가 알 수 없는 일이고, 저를 불렀던 수사 검사가 이야기해 준 일이기 때문에 저는 그렇게 알고 있다"면서 "그 이후에 SK의 회장급 인물들이 우연히 만났을 때 '유일하게 그간 기업인으로서 활동을 하면서 정치권 인사에게 미안한 게 저였다'라고 몇 사람이 있는 자리에서 이야기를 했다"고 답했다.


이어 "이번 청문회를 통해서 관련됐던 기업인들과 당시에 수사 검사도 불러서 이 자리에서 증언을 했으면 하는 개인적 바람을 강하게 표명한 바가 있다"면서 "결과적으로 이러저러한 과정 속에서 (여야 합의가 되지 않아) 증인으로 나오지 않아서 저는 좀 아쉽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그러면서 "(2002년 정치자금법 사건이) 윤석열 씨 등이 관여된 정치 검찰의 어떤 핵심 라인이 한 일종의 조작 사건 시작이었다라는 (워치독) 기사를 흥미롭게 본 적이 있다"고 덧붙였다.
김 후보자는 우검회 소속 정치 검사들의 '첫 작품'으로 드러난 2002년 정치자금법 사건과 관련,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이 당시 수사 검사(평검사)로 활동했다는 사실도 워치독 보도를 통해 최근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황 의원은 2002년 정치자금법 사건과 관련, "당시 후원금도 후보자가 요청했던 게 아니고 당에서 요청했고, 또 사용 내역도 선관위에 다 보고한 게 맞느냐"고 물었다.
김 후보자는 "중앙당이 해당 기업(SK그룹)에 요청했고, 해당 기업에서 가져와서 그것을 그대로 선거 캠프에 전달해서 선관위에 신고하고 쓴 내역"이라며 "당시 중앙당 후원회장을 맡았던 분께서 20년 정도가 지난 후에 제게 '왜 불만을 표시하지 않았냐' 말씀했던 적이 있지만, 중앙당이 한 일이니까 어쩔 수 없다고 생각했었다"고 답했다.

황 의원은 오후 질의에서도 관련한 질의를 이어갔다.
그는 "검찰이 없는 죄를 얼마든지 만들어낼 수 있는 조직"이라며 후보자도 동의하느냐고 물었다.
김 후보자는 "검찰 전체를 그렇게 이야기하면은 성실한 검사 전체를 문제로 삼을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일부 정치 검찰이라고 표현을 하겠다"며 "그중에서도 특히 윤석열류, 군사 쿠데타까지 이른 세력들이 (황 의원이) 말씀한 표적 사정, 증인 압박, 증거조작 등등의 방법을 취했던 것을 보기도 했고 경험도 했다"고 답했다.
황 의원이 "사람의 문제로 보느냐, 제도의 문제로 보느냐"고 재차 묻자, 김 후보자는 "제도와 사람의 문제가 섞여 있기 때문에, 사람의 문제는 벌할 걸 벌하고,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제도를 개선하면서 가야 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김성진 기자mindle1987@mindlenews.com
'사법, 검경, 공권력, 공공 비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쌍방울 김성태, 해외 도피 중 권성동 통해 검찰과 소통" (0) | 2025.06.30 |
---|---|
"이화영 제대로 잡자, 그러면 이재명 자동으로 잡힌다, 이런 테마" (0) | 2025.06.27 |
아직도 손바닥에 왕(王)자 그린 검찰 (0) | 2025.06.25 |
검찰총장과 민정수석, 누구도 몰랐던 ‘비밀 전화’ (0) | 2025.06.24 |
사법의 민주적 정당성 강화하기 위해 판사를 선출하면… (0) | 2025.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