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사업후 응집제 투입 급증, 알츠하이머 증가 우려 "
장하나 "녹조 막으려고 생태계 악영향 미쳐"
4대강 사업 과정에 총인처리시설을 335개를 증설하면서, 인체에 유해한 응집제 등 약품 사용량이 대폭 증가, 하천의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장하나 민주통합당 의원이 5일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4대강 사업 총인처리시설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국 301개 하수처리장의 총인처리시설은 녹조현상 등 물이 썩는 부영양화의 원인물질인 '인'을 처리하기 위해,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응집제 사용을 240%나 늘렸다.
구체적으로 인 처리를 위한 응집제 비용은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6개월간 68억 3천523만원으로, 전년 대비 24억원이 증가했다. 약품사용량은 올해 6월까지 1천701만9천384kg을 투입, 지난해 500만9천529kg 투입에 비해 240% 증가했다.
특히 응집제 중에서는 인 처비리용이 대폭 증가해, 지난 해 4억 8천786만원이었던 액수가 올해 6개월 동안에만 24억 151만천원으로 392% 증가했다. 4대강에서 해마다 원인 모를 녹조가 발생할 때마다 총인처리를 위한 약품을 대량으로 투입할 수밖에 없어, 약품비의 증가는 불가피한 상황이다.
문제는 응집제의 과다 투입이 인체에 미칠 영향이다. 장 의원은 "학계에서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황산알루미늄(Alum)이나 폴리염화알루미늄(PAC)과 같은 응집제는 알루미늄을 주요 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다"며 "이러한 알루미늄 농도는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신경성 장애로 인한 알츠하이머병이라 불리는 악성 노인성 치매나 경련 등 뇌질환 및 고등동물의 신경원에 신경원 섬유변성을 일으킨다"고 지적했다.
환경부도 이미 2년전 4대강 총인처리시설에 도입한 화학적 인처리의 문제점을 지적한 사실도 뒤늦게 드러났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 2010년 펴낸 '4대강 중점관리지역 하수종말처리시설의 물리화학적 인 최적처리 및 최적관리방안'보고서를 통해 "응집제의 요구량이 증가하고 과량의 슬러지 발생이 예상된다"며 "이로 인해 응집제 사용에 의한 시설의 노화가 보고됐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약품 투입 등의 화학적 인처리를 우선하기보다는 '최대한 인의 생물학적 제거를 유도하고, 추가적으로 응집제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장 의원은 "이는 사실상 4대강 사업에 따른 녹조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2년 만에 화학적 총인처리시설을 335개소나 증설했지만, 생물학적 처리 공법 개선은 전혀 검토하지 않은 사업방식에 대한 비판인 셈"이라며 "약품을 무리하게 투입해 4대강 사업으로 인한 녹조 발생을 막아보려 했지만, 이는 오히려 수생태계와 식수를 독성에 노출시키는 결과만 초래할 뿐"이라고 비판했다.
장하나 민주통합당 의원이 5일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4대강 사업 총인처리시설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국 301개 하수처리장의 총인처리시설은 녹조현상 등 물이 썩는 부영양화의 원인물질인 '인'을 처리하기 위해,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응집제 사용을 240%나 늘렸다.
구체적으로 인 처리를 위한 응집제 비용은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6개월간 68억 3천523만원으로, 전년 대비 24억원이 증가했다. 약품사용량은 올해 6월까지 1천701만9천384kg을 투입, 지난해 500만9천529kg 투입에 비해 240% 증가했다.
특히 응집제 중에서는 인 처비리용이 대폭 증가해, 지난 해 4억 8천786만원이었던 액수가 올해 6개월 동안에만 24억 151만천원으로 392% 증가했다. 4대강에서 해마다 원인 모를 녹조가 발생할 때마다 총인처리를 위한 약품을 대량으로 투입할 수밖에 없어, 약품비의 증가는 불가피한 상황이다.
문제는 응집제의 과다 투입이 인체에 미칠 영향이다. 장 의원은 "학계에서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황산알루미늄(Alum)이나 폴리염화알루미늄(PAC)과 같은 응집제는 알루미늄을 주요 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다"며 "이러한 알루미늄 농도는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신경성 장애로 인한 알츠하이머병이라 불리는 악성 노인성 치매나 경련 등 뇌질환 및 고등동물의 신경원에 신경원 섬유변성을 일으킨다"고 지적했다.
환경부도 이미 2년전 4대강 총인처리시설에 도입한 화학적 인처리의 문제점을 지적한 사실도 뒤늦게 드러났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 2010년 펴낸 '4대강 중점관리지역 하수종말처리시설의 물리화학적 인 최적처리 및 최적관리방안'보고서를 통해 "응집제의 요구량이 증가하고 과량의 슬러지 발생이 예상된다"며 "이로 인해 응집제 사용에 의한 시설의 노화가 보고됐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약품 투입 등의 화학적 인처리를 우선하기보다는 '최대한 인의 생물학적 제거를 유도하고, 추가적으로 응집제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장 의원은 "이는 사실상 4대강 사업에 따른 녹조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2년 만에 화학적 총인처리시설을 335개소나 증설했지만, 생물학적 처리 공법 개선은 전혀 검토하지 않은 사업방식에 대한 비판인 셈"이라며 "약품을 무리하게 투입해 4대강 사업으로 인한 녹조 발생을 막아보려 했지만, 이는 오히려 수생태계와 식수를 독성에 노출시키는 결과만 초래할 뿐"이라고 비판했다.
최병성 기자
'4대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4대강 공사 후유증과 치유대책 (0) | 2012.11.21 |
---|---|
낙동강 칠곡보 바닥보호공 대규모 균열, 위험 심각 (0) | 2012.11.13 |
4대강이 죽어간다 (0) | 2012.11.01 |
금강서 136cm 초대형 메기도 죽었다 (0) | 2012.10.27 |
부여~강경 30km..물고기 썩는 냄새 진동 (0) | 2012.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