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관련

<동아일보>도 "4대강사업은 대재앙, 대책 막막"

道雨 2013. 8. 26. 14:36

 

 

 

 <동아일보>도 "4대강사업은 대재앙, 대책 막막"

보수지 모두 4대강 비판으로 돌아서, 친이계-국토부 고립무원

4대강사업을 감싸온 <동아일보>도 26일 뒤늦게 4대강사업을 "대재앙"으로 규정하며 MB정권 비난대열에 합류했다.

<동아일보>는 이날 1면 톱기사 <"4대강 수문 열면 지하수 말라붙는다">와 3면 해설기사 <"4대강사업은 재앙 수준...대책 막막">을 통해 4대강사업을 맹비난했다.

<동아일보>에 따르면, 정부가 4대강 수질 관리 과정에서 보(洑)의 수문을 개방할 경우 지하수에 영향을 줘 주변 토양이 황폐화될 우려가 있다고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25일 “4대강 사업 때 강바닥을 너무 깊이 파서 강 인근 지하수보다 깊어졌다. 수질 관리를 위해 수문을 개방하면 강물 수위가 낮아져 강 주위의 지하수를 빨아들이면서 주변 토양이 황폐화될 우려가 있어서 실제 위험성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4대강 사업은 대재앙 수준”이라며 “이런 대재앙이 초래됐는데도 국토교통부와 환경부가 어떤 대책을 세워야 하는지 막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향후 국무조정실의 조사 결과에 따라 수질 개선을 위해 보를 철거해야 한다고 판단하더라도 철거 과정에서 지하수가 고갈되고 주변이 황폐화될 우려가 있어 정부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도 이런 내용을 파악하고 있으며, 국무조정실에 구성될 4대강사업조사평가위원회에서 4대강 수심의 변화가 주변 지하수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정밀 조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또 4대강에 창궐한 녹조에 대해서도 “녹조 현상은 4대강 사업으로 물이 흐르지 않는 호수화 현상 때문에 일어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4대강 사업에서 3조9천여억 원을 수질 개선에 투입했는데도 오히려 수질이 나빠졌다”며 “4대강 사업은 강을 수로로 만들어 버렸고 치수 효과도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어종도 110여 종에서 90여 종으로 줄었다. 고인 물에 사는 어종이 늘고 물살이 빠른 물에 사는 어종의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든 것도 4대강 사업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수질 개선을 위해 올해에도 1조여 원이 투입되는 것으로 알려져 4대강 사업에 따른 이중의 예산 낭비도 심각한 것으로 감사원은 파악하고 있다.

감사원은 4대강 사업이 대운하 사업과 다름없이 진행됐다는 증거들도 다수 확보한 것으로 알려져 이런 실체가 9월 정기국회에서 밝혀질 경우 4대강 사업 논란이 최대 이슈로 떠오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동아>는 전망했다.

<동아일보>는 그러나 보름여 전인 지난 9일만 해도 사설을 통해 "4대강 사업의 공과는 좀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가뭄과 홍수조절 효과는 분명해 보인다. 사상 유례가 없는 긴 장마에도 4대강 주변에서 대형 침수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것은 4대강 사업의 효과를 무시하고는 설명하기 어렵다"며 4대강사업을 감쌌었다.

보수신문 가운데 마지막까지 4대강사업을 감쌌던 <동아일보>조차 4대강사업을 "대재앙"으로 규정하고 나서면서 여전히 4대강사업을 감싸고 있는 친이계와 국토부 등 관련부처들은 더욱 고립무원이 된 양상이다. 여야는 이미 4대강 국정조사에 합의한 상태여서, 9월 정기국회에서 4대강 문제는 정국 최대 현안중 하나로 급부상할 전망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김동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