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디스, '메르스 무능' 한국 성장률 2.6%로 대폭하향
"한은, 기준금리 0.5%까지 내릴 수도", 경제위기 심화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3일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또다시 2.6%로 대폭 낮췄다.
무디스는 지난 3월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의 3.4%에서 3.1%로 낮춘 데 이어, 이날 또다시 2.6%로 0.5%포인트 낮췄다.
불과 넉달 사이에 0.8%포인트나 낮춘 것으로, 해외에서 우리 경제를 바라보는 시선이 대단히 싸늘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한 증거다.
무디스는 보고서에서 이같이 하향조정하면서 "대외 부문의 성장 지속에도 메르스 발생 탓에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있다"며, 메르스 사태가 주요 변수로 작용했음을 밝혔다.
무디스는 메르스 사태 여파로 2분기 성장률이 종전 전망치 2.9%에서 2.6%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무디스는 특히 메르스 사태와 관련, 한국 정부의 무능이 필요 이상으로 사태를 악화시키며 경제에도 큰 타격을 가하고 있음을 신랄하게 지적했다.
무디스는 "메르스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빚어진 혼란과 비밀주의가 대중의 불안을 부채질했다"며, "이는 오랜 기간 내수 수요를 급감시킨 작년 세월호 참사 때 정부의 엉성한 대응과 비슷했다"고 꼬집었다.
무디스는 "최근 발표된 재정 자극책과 기준금리 인하 조치는 올해 하반기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면서, 경제가 계속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할 경우, 한국이 추가로 기준금리를 여러 차례 대폭 인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내다봤다.
무디스는 "한은이 역사적 저점인 연 1.5%까지 기준금리를 내렸지만, 소비 심리가 계속 떨어진다면 연말까지 기준금리를 연 0.5%까지 내릴 수도 있다"며, 앞으로 무려 1%포인트나 추가 인하할 가능성을 지적했다.
무디스 전망대로 한은이 기준금리를 추가로 내릴 경우, 가계부채 폭발 위험은 더욱 커지고, 향후 미국금리 인상에 따른 해외 금리차로 외국자금 대거 이탈로, 주가가 급락하고 환율이 급등하는 등, 금융시장 혼란도 우려되고 있다.
'뉴스자료, 기사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션, '예체능' 사이클편 1000만원 기부..결혼 후 기부금 '38억' (0) | 2015.07.07 |
---|---|
"정부, 친정부 인터넷매체 4곳에만 광고" (0) | 2015.07.06 |
"보건부, 문서 조작후 <무한도전>에 책임 전가" (0) | 2015.07.06 |
메르스 상황(2015. 7. 6) : 열흘만에 일반인 환자 발생 (0) | 2015.07.06 |
메르스 상황(2015. 7. 4) : 삼성서울병원 의사 또 메르스 감염..확진 185명으로 (0) | 2015.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