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을 하나 드리겠습니다. 세월호 참사란 과연 무엇인가요?
아마도 이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대다수의 학자들이 큰
이견이 없을 겁니다. 왜냐하면 이것은 팩트의 영역이니까요. 사망자수, 생존자수, 사고 진행과정, 구조과정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다른 질문을 하나 드리겠습니다. 세월호 참사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이 대목에서는 어쩔 수 없이
학자들 간 의견이 엇갈릴 수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이것은 역사적 팩트에 대한 관점, 해석 및 평가의 영역이기 때문이죠. 혹자는 선사의 관리책임
실종 및 기관사 과실이라고 말할 것이고, 또 다른 사람은 재난 콘트롤타워 부재 및 부패한 관료조직 때문이라고 말할 것입니다.
정치적으로 너무 민감한가요? 그럼 다른 질문을 드리지요. 고구려의 멸망 과정은 어떻습니까?
이것은 팩트의
영역이니까 큰 이견이 없을 겁니다.
그러나 고구려의 멸망 원인으로 들어가면 이야기는 좀 더 복잡해집니다. 연개소문 아들들을 중심으로 한
귀족세력의 분열 때문일까요? 아니면 동맹외교의 실패 때문일까요? 이도 저도 아니면 타락한 종교로 인한 중앙집권제의 몰락일까요? 관점에 따라
다르겠지요.
박근혜 대통령, 새누리당 그리고 보수세력은 역사는 ‘하나’여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50%는 맞았고, 50%는
틀렸습니다.
역사적 팩트는 하나이지만, 그 팩트에 대한 해석과 평가는 하나일 수 없습니다.
일본이 35년간 한국을 식민 지배한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일제 식민 지배가 한국 근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답이 하나라고 말하기가 어렵습니다.
일본의 한국 식민지배가 한국
근대화에 기여했다는 것이 바로 식민사관이고, 일본 역사교과서의 왜곡 내용이지요.
그들이 팩트를 왜곡한 것이 아닙니다. 그 해석과 평가를 자신들의
관점으로 하나로 정한 거죠.
바로 이 부분에 한국사 국정화의 치명적 문제점이 있습니다.
팩트가 하나인 것은 당연한데, 그 팩트에 대한 해석과
평가가 하나인 것은 오로지 전체주의에서만 가능합니다.
그런데 우리들 대부분은 이미 경험을 통해 알고 있지요. 세상 돌아가는 일이라는 것이 그렇게
딱 떨어지고 단순하지 않다는 것을.
그런 상황에서 오로지 하나의 답만을 강요하게 되면 모든 학문적 연구와 논쟁이 원천적으로 봉쇄되지요.
오늘(17일) 일부 교수들이 한국사 국정화 찬성 의사를 밝힌 모양입니다. 그런데 묘하게도 그들 중 역사학 전공자는
별로 없더군요. 교육학, 철학, 종교학, 사회학, 정치학, 경제학 등…
이들에게는 그것이 가능할지 모르겠으나, 역사학을 전공한 학자에게는 그것이
그리 쉬운 문제가 아닙니다.
만일 새롭게 편찬되는 국정화 교과서가 하나의 사관(역사에 대한 관점), 하나의 해석, 하나의 평가만을 하게 된다면,
여기서 벗어나는 학문적 연구와 논쟁을 진행하기가 어렵습니다. 그것을 잘 알기 때문에 반대하는 거죠. 학자적 양심을 갖고 있다면 그렇게 하는 것이
너무 당연하기 때문이죠.
국사편찬위원장은 한국사 국정화 과정에서 논란이 큰 부분은 배제하겠다고 합니다.
그런데 역사학이라는 학문의 특성상,
팩트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부분에 있어서는 적지 않은 논란과 이견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들 대부분을 제외하고 나면, 결국 남는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는 역사적 팩트 밖에는 없게 되지요. 그러니,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의 가장 기본적이면서 핵심적인 학문인 역사가 팩트만을 단순하게 암기하는
암기과목으로 전락될 수밖에 없는 겁니다. 과연 그걸 찬성할 수 있을까요?
중세 유럽 암흑기에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돈다는 것을 말할 수가 없었지요. 혹 찰스 다윈이 몇백 년 일찍
태어났더라면 마녀사냥으로 처형되었을 것입니다.
그만큼 학문의 획일화 및 단일 세계관 강요는 엄청난 위험과 퇴행을 수반합니다.
그것을 알면서도
강행을 한다면 이는 도덕적 폭정이며, 혹 몰라서 강요한다고 하면 이는 학문적 무지 및 역사관 부재입니다.
어느 쪽이 되었건 역사를 말살하는
것이며, 국민에게 죄를 짓는 것에 앞서, 인류와 역사 앞에 중대한 죄를 짓는 행위지요.
혹자는 이번 싸움이 보수세력과 진보세력의 세 결집 싸움을 노린 정치적 노림수라고 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것이
그리 단순하고 정략적인 문제는 아닐 것입니다. 여기에는 더 본질적이고 중차대한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정치와 학문의 생존 대결이지요.
이번
한국사 국정화가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에게는 정치적 승부수일 지는 모르지만, 그 반대편에 있는 역사학계에 있어서는 이것은 생존과 가치의
문제입니다.
그러므로 이번 싸움은 보수세력이 절대로 이길 수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정치적 이익을 위해서 싸우는 쪽이 생존과 가치를 위해 싸우는
쪽을 넘어설 수 없기 때문이지요. 모든 역사학자들을 투옥시키고 고문시키지 않는 한 물러설 수 없지요.
그런 의미에서 이번 국정교과서 편찬위원회에 참여하는 역사학자들은 정치적 이익을 위해 역사학의 생존과 가치를 훼손한
사람으로 역사에 기록될 것이고, 참여를 거부하는 학자들은 학문의 생존, 자유 및 가치를 위해 스스로를 헌신한 사람으로 역사에 기록될 것입니다.
과연 이와 같은 싸움의 본질과 프레임을 알고, 박근혜 정부와 새누리당이 이번 싸움을 걸어왔을까요? 저는 그렇게 보지 않습니다.
박정희 정권이
통치했던 40년 전 사고와 가치관을 갖고, 이번 사태를 너무 단순하고 쉽게 바라보았기 때문이라고 저는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제 곧 현실을 깨닫게
되겠지요.
박근혜 정권 탄생의 주역 중 한 명이었던 이상돈 중앙대 교수가 말했더군요.
“박근혜 정부와 새누리당이 인문학에
대해 너무 안일하게 생각했다.”고…
그 처참한 대가를 치르게 될 날이 그리 멀지 않았습니다. 이제 와서 후회해도 이미 늦었지요.
이진우 /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센터(KPCC)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