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새 780조원 팔았다"...코로나 속 역대최대 수출호황 비결은?
코로나19(COVID-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2년차인 2021년, 한국은 6445억달러(약 776조원)을 수출하며, 무역역사상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5422억달러)과 비교하면 2년 사이 19% 가까이 늘었다.
현 시점에서 국가 간 비교가 가능한 통계가 나온 1∼9월 수출만 놓고 보면, 전년 대비 증가율이 26.2%로, 다른 일본(22.6%)이나 독일(22.1%)보다 앞섰다. 우리나라는 어떻게 팬데믹 속에서도 수출에서 이처럼 괄목할 성과를 거둘 수 있었을까.
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수출액은 전년대비 25.8% 증가한 6445억4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역대 최대치다. 수입은 31.5% 늘어난 6150억5000만달러였다. 무역수지는 294억9000만달러로 13년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무역액도 사상 최대치인 1조2596억달러를 기록, 세계무역순위가 기존 9위에서 8위로 한 계단 상승했다.
2020년 세계 경제는 코로나19의 급격한 확산과 함께 사실상 마비됐다. 유럽 등 선진국을 시작으로 대부분의 국가들이 봉쇄조치를 내렸기 때문이다. 식료품 구매 등 생존을 위해 필수적인 활동을 제외하고는 일상이 멈췄고, 경제활동 또한 중단됐다. 한국의 경우 'K-방역'으로 피해가 덜했지만 역성장(-0.9%)은 피할 수 없었다.
화이자와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등 제약사들이 코로나 백신을 배포하며 상황은 반전됐다. 델타변이와 오미크론변이가 등장하며 여전히 코로나19에 고통받고 있긴 하지만, 적어도 경제활동을 재개할 수 있는 기반이 됐다. 세계 각국은 경제활동을 재개하며 원자재와 중간재 수요를 크게 확대했다. 2020년 봉쇄조치로 실행되지 못했던 소비가 올해로 이연되면서 그 효과는 더 커졌다.
세계경제의 가파른 회복에 따른 수혜는 한국에 집중됐다. 봉쇄가 없었던 우리나라는 급격히 불어나는 해외 수요에 대응해 생산량을 늘리기가 상대적으로 유리했다.
WTO(세계무역기구)에 따르면, 지난 1~9월 한국은 전세계 수출액 상위 10개국 중 4번째(네덜란드와 동률)로 전년 대비 높은 수출 성장률(26.2%)을 기록했다. 제조업 중심으로 경제구조가 한국과 유사한 독일(22.1%), 일본(22.6%)보다 높은 수치다.
산업부 관계자는 "주요국들이 코로나 상황에서 락다운(봉쇄)이 해소가 되며 경제와 산업이 정상화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우리나라가 제조업 기반으로 잘 대응해 온 결과가 아닌가 한다"라고 말했다.
지난해 반도체 수출액은 전년대비 29% 증가한 1280억달러를 기록했다. 한국 수출액(6445억달러) 중 약 20%가 한 분야에서 나온 셈이다. 단가도 크게 올랐다. 주력 품목인 D램 단가는 약 20% 올랐다. 낸드플래시메모리 가격도 3% 상승했다.
세계적인 탈탄소 기조도 우리나라의 수출 호황에 한몫했다. 주요국들이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친환경차 수요가 확대됐고,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 또한 급격하게 성장했다. 이 덕분에 한국의 이차전지 수출액은 86억7000만달러로 전년대비 15.5% 증가했다. 자동차와 선박 수출도 친환경차·LNG(액화천연가스)선의 약진에 힘입어 각각 24.2%, 16.4% 확대됐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소비 이연에 따라 수출이 늘어난 부분이 있다는 것은 분명하지만, 디지털 전환 속도가 빨라지며 반도체 등 한국의 주력품목이 수혜를 입은 것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올해는 수출이 작년과 같은 급성장세를 보이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지난해 수출이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인 데 따른 여파다. 산업연구원은 지난해 11월 발표한 2022년 경제산업전망에서, 올해 수출이 1.3% 증가할 것으로 내봤다.
변수는 결국 코로나19다. 오미크론변이가 델타변이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미한 증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전염성이 매우 높아 봉쇄조치가 재현될 경우 세계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미국 등 주요 선진국들이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풀었던 유동성을 다시 흡수하는 것도 변수가 될 수 있다. 미국이 금리인상에 나서는 경우 환율이 올라 수출에 긍정적이나,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면 실물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성 교수는 "유동성 축소로 금융시장 불안이 나타날 수 있는 것은 변수"라며 "다만 통화당국이 시중에 풀린 자금을 흡수한다는 것은 경제가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시사,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종의 횃불 (0) | 2022.01.11 |
---|---|
판사는 전지전능한가 (0) | 2022.01.11 |
30주년 수요시위 장소 꼼수로 가로챈 보수단체의 몰상식 (0) | 2022.01.05 |
‘황당한 거짓말 잔치’로 끝날 자영업자 지원 공약 (0) | 2022.01.05 |
민주주의의 성패는 교실에서 갈린다 (0) | 2022.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