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야생화, 오늘의 꽃(2019. 8. 16-17)
- 순비기나무, 문주란, 맥문아재비
* 제주도 섭지코지에서 야생으로 자생하고 있는 순비기나무
@ 순비기나무(만형자:蔓荊子)
마편초과의 갈잎떨기나무로서, 바닷가에서 짠물을 뒤집어쓰고도 잘 자라기 때문에, 바닷가의 통기성이 좋은 자갈밭이나 모래사장에서 흔히 자란다. 모래 위를 기어 다니면서 터전을 넓혀 방석을 깔아놓듯이 펼쳐나가므로 덩굴나무처럼 보인다. 바닷바람에 모래가 날리는 것을 막아줄 지표고정 식물로 가장 적합하다.
동으로는 구룡포에서 남해안을 거쳐 서해안을 누비고, 백령도 콩돌 해안까지, 우리나라 남서부와 제주도를 포함한 섬 지방의 바닷가 어디에서나 만날 수 있다.
오래된 줄기는 거의 팔목 굵기 정도에 이르지만, 대부분 손가락 굵기의 줄기가 이리저리 뻗는다.
넓은 타원형의 잎은 마주보기로 달리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초록 바탕에 은빛을 띤다. 잎 뒷면에는 회백색 털이 빽빽이 나 있어서 하얗게 보인다.
늦여름에 피는 보라색 꽃도 일품이다. 동전 크기만 한 꽃이 원뿔모양으로 꽃대를 타고 올라오면서 핀다. 아래 꽃받침은 유난히 긴 토인들의 아랫입술 같기고 하고 어찌 보면 술잔을 닮았다.
이색적인 꽃 모양과 함께 푸른 바다를 앞으로 두르고 흰 모래사장을 융단처럼 뒤덮고 있는 연보라색 꽃은 해수욕 시즌이 끝나고 조금은 을씨년스러워진 해수욕장의 풍경을 오히려 낭만으로 채워준다.
꽃이 지고나면 콩알 굵기만 한 열매가 열리고, 겉에는 코르크로 무장한다. 가볍고 물에 잘 뜨며 방수기능까지 갖춘 코르크로 치장을 하였으니, 종족을 번식시킬 만반의 준비를 한 셈이다.
또 유연한 적응력은 까다로운 나무들이 타산지석으로 삼을 만하다. 자기가 처한 곳이 따뜻한 남쪽지방이면 겨울에도 잎을 달고 있는 상록수였다가, 백령도와 같은 좀 북쪽에서 자라게 되면 겨울에 잎을 떨어뜨리는 낙엽수가 된다. 그래서 순비기나무는 일본과 동남아시아는 물론 호주까지 자람 터를 넓힌 마당발나무다.
순비기나무는 예부터 약으로도 그 쓰임이 널리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에 보면 “풍으로 머리가 아프며 골속이 울리는 것, 눈물이 나는 것을 낫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이빨을 튼튼히 하며, 수염과 머리털을 잘 자라게 한다. 습비(濕痺)로 살이 오그라드는 것을 낫게 하며, 촌충과 회충을 없앤다. 술에 축여서 찌고 햇빛에 말린 다음 짓찧어서 쓴다”라고 했다. 그 외에도 “열매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다음 베개에 넣어두면 두통에 효과가 있다”고도 한다. 잎과 가지에는 향기가 있어서 목욕탕 물에 넣어 향료로 쓰기도 한다.
이처럼 약으로 여러 쓰임이 있지만, 순비기나무는 그중에서도 특히 두통치료 효과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두통이 생기는 이유가 적어도 수십 가지는 될 터이니, 실제로 어떤 두통에 영향을 미치는 지는 아직 듣지 못했다. 다만 깊은 바다에서의 물질로 평생 두통에 시달리는 제주 해녀들과 관련지어 생각해볼 수 있다. 해녀들이 물속에서 숨을 참고 있다가 물 위로 올라오면서 내는 숨소리를 ‘숨비소리’, 혹은 ‘숨비기 소리’라고 한다. 순비기라는 나무 이름은 여기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순비기나무는 해녀들의 만성두통 치료제로 애용되었고, 또 그녀들의 숨비소리까지 들어주는 나무로 더 큰 사랑을 받지 않았나 싶다.
열매를 약재(만형자)로 쓰는데, 성미는 苦辛, 凉하고, 消散風熱, 淸利頭目의 효능이 있어, 현훈, 두통, 잇몸 종통, 안충혈 및 눈통증, 고혈압, 풍습성의 사지동통 등에 쓴다.
한의원 등에서 비교적 자주 쓰이는 약재에 속한다.
제주도 방언에 '숨비기소리'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해녀들이 물질을 한 후 위로 올라와서 숨을 비우고 세차게 내는 숨소리를 말한다. 잠수병이 많은 해녀들은 예로부터 두통 치료제로 이 나무(순비기나무)의 열매를 먹었는데, 이에 유래하여 '숨비기나무'라고 했다가, '순비기나무'로 변형되었다고 한다.
제주도 섭지코지 등에서 야생으로 자생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 가수 이름으로 더 유명한 문주란.
* 제주 섭지코지, 외돌개 주변에서 자생하는 문주란.
@ 문주란(文珠蘭, 나군대:羅裙帶)
수선화과의 상록다년초로 인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제주도에 분포하며 따뜻한 해변의 모래땅에서 자란다.
원주형의 인경은 지름 5~10cm 정도이고, 화경은 높이 40~80cm, 지름 18mm 정도로 잎이 없다.
선상 피침형의 잎은 털이 없고 육질이며, 윗부분은 길이 30~60cm, 너비 4~9cm 정도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인경을 둘러싼다.
6~8월에 개화한다. 산형꽃차례에는 많은 꽃이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2~3cm 정도이며, 화관은 백색으로 향기가 있다.
삭과는 둥글며, 종자는 둔한 능선이 있고 회백색이며, 길이와 너비가 각각 2~2.5cm 정도로 둥글고 해면질이다.
아름답고 작은 구슬같은 열매가 달리는 난초라는 뜻으로 문주란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잎을 한약재(나군대)로 쓰는데, 성미는 辛, 凉, 有毒하며, 淸火解毒, 散瘀消腫의 효능이 있어, 악창, 종기, 어혈, 타박상, 골절상, 사지관절염, 四肢腋窩腫大症, 피부궤양 등에 쓴다.
제주도 섭지코지, 외돌개에서 야생으로 자생하거나 식재된 것이 발견되었다.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토끼섬의 문주란은 천연기념물 제 19호로 지정되었다고 한다.
* 외돌개 부근에서 자생하는 맥문아재비
* 맥문아재비는 맥문동보다 잎이 훨씬 더 크고, 꽃은 흰색이다.
@ 맥문아재비
백합과에 속하며, 남쪽 지방의 섬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벋고 잎이 모여 난다. 땅속줄기나 종자로 번식한다.
잎은 선형이며 길이 30~80cm, 너비 1~2cm 정도로 짙은 녹색이다.
꽃은 5~7월에 피며, 백색 바탕에 연한 자줏빛이 돌고 밑으로 처진다.
화경은 높이 30~50cm, 너비 4~8mm 정도로서, 편평하고 윗부분이 넓으며 좁은 날개가 있다.
맥문동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맥문동과는 다르기에 맥문아재비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맥문아재비는 보통 한약재로 쓰이지 않는다.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동네 야생화, 오늘(2020. 4. 19)의 꽃 : 옥녀꽃대 (0) | 2020.04.21 |
---|---|
꽃차례(화서 : 花序)의 종류 (0) | 2020.01.09 |
우리 동네 야생화, 오늘의 꽃(2019. 8. 18) : 돌동부 (0) | 2019.08.23 |
우리 동네 야생화, 오늘의 꽃(2019. 7. 14) : 타래난초 (0) | 2019.08.23 |
매화와 벚꽃의 구별 (0) | 2019.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