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자료, 기사 사진

포스코 "이상득, 부산저축에 500억 출자 압력"

道雨 2012. 5. 18. 13:33

 

 

 

   포스코 "이상득, 부산저축에 500억 출자 압력"

 

"소망교회 박태규와 함께 집요한 압력, 포스텍 500억 전액 손실"

포스코 계열인 학교법인 포스텍이 2010년 6월 부산저축은행에 500억원을 투자하는 과정에 이명박 대통령 형인 이상득 새누리당 의원이 투자 압력을 행사했다는 포스코 내부 관계자들의 증언이 나와 파문을 예고했다.

이는 이상득 의원 최측근인 박영준 전 차관이 MB정권 출범직후 각종 불법적 압력을 행사해 정준양 회장을 포스코 회장에 임명했다는 의혹에 이어 터져나온 것으로, 마침내 권력서열 1위인 이상득 의원까지 수사선상에 오르기 시작한 양상이기 때문이다.

18일 <한겨레>에 따르면, 포스코의 한 고위 관계자는 17일 <한겨레> 기자와 만나 “500억원 투자는 이상득 의원이 정준양 회장에게 부탁했고, 정 회장이 이를 다시 이구택 포스텍 이사장에게 말해 이뤄진 것”이라며 “이는 500억원 투자가 문제를 일으키자 정준양 회장과 이구택 이사장이 회사 이사진한테 양해를 구하며 한 얘기”라고 말했다. 그는 “정준양 회장이 ‘이상득 의원의 부탁이라 어쩔 수 없었다’고도 말했다”고 전했다. 

복수의 포스코 관계자 말을 종합하면, 부산저축은행에 대한 500억원 투자는 2010년 4월 이구택 포스텍 이사장이 먼저 투자 의향을 밝히면서 시작됐다. 당시는 부산저축은행이 퇴출을 막기 위해 각계에 전방위 로비를 벌이던 시점이다.

이구택 이사장 지시로 그해 4월 중순 ‘기금자문운용위원회’가 꾸려졌고, 여기서 케이티비(KTB)자산운용사 사모펀드를 통해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방식, 5년 만기 연 12%의 수익을 계약조건으로 투자하는 구체안이 논의됐다. 

하지만 포스텍 등 포스코 관계기관 투자 실무자들은 한달여 검토 끝에 5월 말 ‘투자 부적격’ 의견을 내놓았다. 포스코 관계자는 “증자 참여는 투기나 마찬가지였다”며 “기본적으로 부산저축은행의 재무적 안전성이 취약하다는 이유로 내부 반대가 격심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 회장은 6월 "안 돼도 되게 하라"는 지시를 했고, 실무진은 반대 의견을 거듭 표명하며 반발했다. 한 포스코 고위관계자는 "이상득 의원과 박태규씨가 정회장을 통해 이구택 이사장에게 '늦어도 6월에는 투자를 하라'는 의견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포스코 관계자들은 부산저축은행 로비스트인 박태규(72·구속중)씨가 이상득 의원의 뜻이라며 투자 참여를 종용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박씨는 이 의원과 함께 소망교회를 다니는 교인으로, 현재 부산저축은행에서 17억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기소된 상태다.

결국 500억원 투자는 이사회 의결도 거치지 않은 채 실무 책임자급인 김두철 본부장의 전결로 결정됐고, 이후 부산저축은행은 2011년 2월 영업정지에 들어갔으며, 500억원은 4월에 전부 손실처리됐다. 한 포스텍 관계자는 "결국 급하게 처리하는 과정에 500억원이 먼저 지급되고 사후에야 이를 결재하는 웃지 못할 상황이 생겼다"며 "보수적인 기업 풍토로 유명한 포스코에서 수백억원이 사후에야 결재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고 말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이상득 의원과 박태규씨, 정준양 회장이 투자를 밀어붙이면서 포스텍만 큰 손실을 입었다”며 “사익을 위해 국민기업을 좌지우지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상득 의원은 “포스텍의 부산저축은행 투자는 100% 모르는 일이며, 따라서 전혀 관여하지 않았다. 관련 보도가 나가면 명예를 위해 법적 조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이구택 이사장도 “포스코 회장을 그만둔 뒤 이상득 의원과는 만난 적도, 전화한 적도 없다. 또 정준양 회장으로부터 포스텍 투자와 관련해 어떤 얘기도 들은 바 없다. 투자는 기금자문운용위원회의 자체적인 판단에 따라 이뤄졌다”고 말했다. 포스코그룹도 “정준양 회장이 ‘전혀 사실이 아니며 있을 수도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고 <한겨레>는 보도했다.
이영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