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수질, 4대강사업후 공업용수로 전락"
환경단체 "정부 수질개선 목표 달성 완전 실패"
4대강 사업으로 인해 낙동강의 수질등급이 공업용수 수준인 4등급 이하로 악화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4대강복원범국민대책위원회는 28일 서울 종로구 혜화동 녹색교육센터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4대강 사업 전후 강 유역 20곳의 COD(화학적산소요구량)을 비교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분석대상 지점의 75%에서 사업전인 2006년보다 사업후 수질이 악화됐다. 생활용수 가능수준인 3급수 이상에서 생활용수로 쓸 수 없는 4급수 이하로 떨어진 곳이 20개 지점 중 14개 지점에 달했고, 정부가 당초 제시한 '2급수'에 해당하는 곳은 단 한 곳에 불과했다.
보로 막히기 이전인 2006년은 하천COD, 2012년은 호소COD기준으로 조사한 결과, 2006년에는 2등급 이상이 전체 20개 지점 중 13곳이었지만 지난해에는 2곳에 불과했다.
특히 낙동강 유역은 COD 기준으로 수질등급이 공업용수 수준인 4등급 이하로 악화폭이 가장 컸다. 낙동강의 전체 11개 지점 중 최상류 2곳을 제외하곤 모두 4급수 이하로 수질이 악화됐다.
당연히 정부가 4대강사업을 하며 내세운 수질개선 목표치에도 한참 모자랐다.
정부는 지난 2009년 <4대강사업 마스터플랜>을 통해 2012년 수질예측치로 환경단체가 제시한 COD수치 대신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수치를 목표치로 설정했다. 보 건설로 인해 변화된 생태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기준이지만, 이마저도 4대강 본류 총 11개 지점 중 7개 지점에서 목표치를 밑돌았다.
감사원도 지난 17일 감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공사 이후 환경이 달라졌기 때문에 기존의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이 아닌 COD 등의 지표를 기준으로 수질을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와 함께 정부가 BOD와 함께 제시한 주요 수치인 TP(총인)도 11개 지점 중 5개 지점에서 목표에 도달하지 못해, 정부는 2009년 스스로 내세운 4대강사업 수질 개선 목표 달성에 크게 못미친 결과를 가져왔다.
4대강범대위는 "4대강사업은 정부 스스로가 제시한 목표조차 달성하지 못한 실패한 사업임이 드러났다"며 "COD와 같은 수질지표를 통해서 볼 때 4대강사업은 수질을 개선하기는 커녕 오히려 수질을 크게 악화시키는 사업이었음이 밝혀진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병성 기자
'4대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파선...보수언론들 앞다퉈 4대강 비난 (0) | 2013.02.04 |
---|---|
4대강 사업, 낯뜨거운 기록, 4대강 이렇게 만든 전문가, 이들입니다 (0) | 2013.01.30 |
4대강에는 ‘대통령 계엄령’이…취재하기 힘드네 (0) | 2013.01.28 |
4대강 대국민사기극 해결책, ‘복원’과 ‘처벌’ (0) | 2013.01.24 |
총체적 부실덩어리로 드러난 4대강 사업 (0) | 201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