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
'정신대' 단체가 '위안부' 이용했다?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 회견서 주장해 파장
위안부-정신대, 서로 다른 개념이나 90년대 초반까지 혼용
기자회견하는 이용수 할머니 이용수 할머니 대구서 두번째 기자회견 (대구=연합뉴스) 김현태 기자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92) 할머니가 25일 오후 대구 수성구 만촌동 인터불고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0.5.25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는 윤미향 국회의원 당선인 관련 논란의 와중에 25일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정신대 피해자 지원 단체인 정대협(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이 자신과 같은 위안부 피해자들을 이용했다'고 주장했다.
이용수 할머니는 회견에서 "정신대 할머니와 함께 하는 시민모임이 위안부 할머니랑 합쳐서 쭉 이용해왔다"며 "위안부와 정신대가 어떻게 같으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위안부는 2차대전 당시 일본군이 각 전장에 만든 위안소에서, 거부할 자유나 외출할 자유를 박탈당한 채, 일본 군인들의 성 상대가 되었던 여성들을 말한다.
반면 정신대는 일본군이 2차대전 중 군수공장 등에 데려가 강제노동을 시킨 근로정신대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조선여자근로정신대'의 일원으로서 전쟁시기 강제노동을 했던 여성들을 보통 '정신대'라고 부르지만, 엄밀히 말해 정신대라는 일본 용어 자체에는 남녀 구분이 없다.
때문에 이용수 할머니가 비판한 정대협의 명칭은 엄밀히 말해 실제 활동과 괴리가 있다.
정대협은 1990년 출범때부터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일본 정부의 사죄와 배상을 요구해온 위안부 문제 전문 NGO(비정부기구)로 자리매김해왔다. 현재는 '정의·기억연대'라는 새 간판 아래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주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을 해온 단체인데, 단체 이름에 위안부가 아닌 정신대가 포함된 것이다.
그 배경에는 위안부 문제가 한국사회에서 본격 제기됐을 당시, 국내에서 위안부와 정신대가 마치 '동의어'인 것처럼 혼용됐던 사실이 존재한다.
'공장에 취업해 일하게 되는 줄 알고 갔다가 위안부가 됐다'는 피해자 증언에 비춰보면, 정신대와 위안부 피해자 간에 일부 접점도 있지만, '강제징용 피해'의 맥락에서 다뤄져온 정신대는 전쟁시기 일본군대에 의한 여성 인권유린이었던 위안부와는 다른 개념인데도 명칭이 혼용됐던 것이다.
1990년 초반까지 국내 언론 보도에서도 정신대와 위안부는 사실상 동의어로 취급됐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장기간 연구해온 윤명숙 박사는 25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일본에서 위안부 문제가 먼저 알려졌고, 1970년대 한국에서 처음 소개됐을 당시부터 '정신대'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고 밝혔다.
윤 박사는 "1977년 '의병문제연구소'가 발간한 '민족의 함성'이라는 제목의 책에, 일본 언론인이 쓴 위안부 관련 서적을 요약해서 번역한 내용이 '여자정신대의 기록'이라는 제목의 챕터로 들어가 있다"며 "여기서 보듯 한국에 위안부 문제가 처음 소개됐을 때부터 '정신대'라는 명칭이 사용됐다"고 말했다.
정대협, 정신대문제연구소 등의 단체들이 실제로는 위안부 문제를 다루면서도 이름에 '정신대'를 넣은 데는 이와 같은 배경이 있었던 것이다.
위안부 문제를 국내에 처음 소개한 책 중 하나인 1977년 발간 서적 '민족의 함성' [윤명숙 박사 제공=연합뉴스]
윤 박사는 "1990년대 들어서 근로 정신대와 위안부는 별개라는 것이 조금 알려지면서, 정대협이라는 명칭에 대해 지적이 있었지만, 쉽게 수정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정대협도 당시 위안부 문제가 이렇게 장기화할 것으로 생각을 못해서 서둘러 이름을 바꿔야 한다는 생각을 못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일제강제동원ㆍ평화연구회 대표 연구위원인 정혜경 박사는 "정신대와 위안부가 혼용되다 보니, 근로정신대 피해자 할머니를 돕기 위해 공무원들이 조사를 나가면, 가족들이 위안부 피해자인 것으로 알고 할머니에게 상처를 주는 일들이 있었다"며 "명칭에 대한 문제제기가 있었고, 정대협도 이름을 바꿀 필요가 있었는데 바꾸지 않았다"고 말했다.
강제징용 피해 배상 소송을 지원해온 최봉태 변호사는 "위안부 문제와 관련, 초창기에는 '정신대'로 총칭했고, 운동이 발전해 감에 따라 '일본군 위안부', '일본군 성노예피해자'로 전개되었다"며 "명칭 문제가 근로정신대 피해자들이 위안부 피해자로 오해받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고 소개했다.
사학계 원로인 강만길 고려대 명예교수도 1997년 역사문제연구소가 발간한 백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진상'에 발표한 '일본군 종군위안부의 개념과 호칭문제'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명칭 혼용의 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
`정신대'는 전시체제하에서 일본 제국주의의 전투력 강화를 위해 노동력을 제공하는 조직 등을 지칭한 일반명사였으므로, `위안부'와 성격이 다르다고 지적했다.
결국 이용수 할머니의 지적은 오랜기간 국내 학계 및 시민사회에서 위안부와 정신대의 개념 구분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개념 구분이 된 이후로도 단체(정대협) 명칭을 바꾸지 않은 점 등을 지적했다는 점에서 그 타당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정대협이 정신대 문제 관련 단체임에도 위안부를 이용했다"는 이 할머니의 지적은 맥락상 정확치 않다는 평가도 가능하다. 정대협 명칭에 '정신대'라는 단어가 있긴 했지만, 그것은 출범 당시 위안부와 정신대의 개념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탓이며, 정대협은 출범 당시부터 시종 위안부 문제를 주로 다뤄왔기 때문이다.
1998년 정대협 기자회견 모습 윤정옥 (가운데)공동대표를 비롯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들이 1998년 4월21일 오후 서울 충정로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팩트체크팀은 팩트체크 소재에 대한 독자들의 제안을 받고 있습니다. 이메일(jhcho@yna.co.kr)로 제안해 주시면 됩니다.>>
(서울=연합뉴스) 조준형 기자 =
jhcho@yna.co.kr
'팩트체크,가짜(조작,오보)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앙일보가 비난한 부산지하철노조, 500만원 상금 받고 1200만원 내놓았다 (0) | 2020.06.11 |
---|---|
조선일보의 ‘교묘한’ 윤미향 월북 회유 보도의 ‘진실’ (0) | 2020.05.28 |
민경욱 '사전투표 QR코드, 개인정보 담겨' 검증해보니, '거짓' (0) | 2020.04.29 |
'韓진단키트 80% 불량' 日가짜뉴스...진원지는 한국 종편 방송사? (0) | 2020.04.28 |
당신이 혹했던 '코로나 속보'... 따져 보니 가짜 뉴스 (0) | 2020.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