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차는 6월에 떠나네
올 6월 사라지는 강원 태백과 삼척시 연결 스위치백 선로
… 거꾸로 달리는 기차 위에서 아날로그적인 추억을 되새기다
|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에 위치한 영동선의 철도역인 심포리역에서 힘겹게 올라오는 기차를 일본인 사진작가 요시쿠 시오즈카(41)가 촬영하고 있다. 그는 스위치백 구간을 찍으려고 여러 차례 한국에 왔고, 오는 6월에도 방문할 예정이다. |
| |
|
|
시간이 흐르면 많은 것들이 바뀌고 사라진다. 그리고 우리는 그 사라지는 것들을, 사라져가는 현상들을 경험하고 바라본다. 강원도 태백과 삼척시를 연결하는 (통리역~도계역 간) 스위치백(switchback) 선로가 다음달 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1940년 8월 개통한 스위치백은 일제강점기 물자를 수송하려고 생겼다. 스위치백은 가파른 경사구간의 높이 차이를 극복하기위해 전진과 후진 지그재그로 움직여 기울기를 해결하는 방식이다. 태백 탄광촌 사람들의 삶의 애환이 담긴 이 선로는 435m의 높이를 굽이굽이 뱀처럼 돌아서 16.5km를 오르내린다. 루프식으로 설계된 솔안터널이 생겨 기차는 더 이상 힘겹게 오르지 않아도 된다. 분명 더 좋아지고 있는데, 더 빨라지고 있는데…. 뭔가 허전하다. 그래서일까, 오늘도 이 구간엔 많은 이들이 찾아오고 서성거리며 사진을 찍는다. 거꾸로 달리는 기차에서 남겨놓은 사진을 보며 아직 보낼 준비가 되지 않은 사람들이 아날로그적인 추억을 되새기고 있다.
태백=사진·글 정용일 기자 yongil@hani.co.kr
|
» 통리역 주변에는 아직도 예스러운 흔적이 남아 있다. |
| |
|
|
|
» 무궁화호 기차가 흥전역 스위치백 구간에 들어서고 있다. |
| |
|
|
|
» 흥전역 사무소 벽에 스위치백 구간을 알리는 문구가 적혀 있다. |
| |
|
|
|
» 통리역에서는 아직도 아날로그식 조작판을 사용하고 있다. |
| |
|
|
|
» 기차의 끝에서 앞으로 내려가는 모습을 관광객이 촬영하고 있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