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자료, 기사 사진

누가 왜 검색결과를 조작하는가

道雨 2012. 7. 26. 12:40

 

 

 

                    누가 왜 검색결과를 조작하는가

[사설]

미디어오늘 | media@mediatoday.co.kr  

 

 

네이버는 명실상부한 우리나라의 최대 포털 사이트다.

지난해 기준으로 월 평균 순 방문자가 3122만명. 우리나라 인터넷 인구가 3718만명이니까 열 명 중에 여덟 명 이상이 한 달에 한 번 이상 네이버를 들른다는 이야기가 된다.

네이버 첫 화면의 순 방문자는 하루 1500만명에 이른다.

상당수 국민들이 네이버를 통해 정보를 검색하고 뉴스를 보고 세상을 이해한다. 네이버의 공정성이 강조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정우택 새누리당 의원의 성 상납 의혹이 처음 제기된 건 지난 4·11 총선 때였다. 정 의원은 관련 의혹을 전면 부인하면서 인터넷 게시물을 문제 삼아 몇몇 누리꾼들을 명예훼손으로 고발하기도 했다.

총선 이후 잠잠했던 이 사건은 인터넷 팟캐스트 ‘나는 꼼수다’에서 다시 의혹을 제기하면서 포털 사이트 인기 검색어로 떠올랐다.

그런데 놀랍게도 네이버에서는 ‘정우택’을 검색할 때 따라 나오는 ‘성상납’이나 ‘성추문’ 등의 연관 검색어가 사라졌다.

 

다음이나 네이트에서는 잘 뜨는 연관 검색어가 네이버에서만 사라진 이유가 뭘까.

네이버 사용자들은 다음이나 네이트 사용자들과 관심 사안이 다른 걸까.

 

네이버를 운영하고 있는 NHN은 미디어오늘 기자의 질문에 검색어 삭제 사실을 전면 부인했다. 정 의원 쪽에서도 NHN에 검색어 삭제를 요청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논란이 확산되자 NHN은 뒤늦게 정 의원 쪽에서 요청을 받아 삭제한 사실을 시인했다.

 

이 사건이 시사하는 바는 매우 심각하다. NHN이 일상적으로 검색 결과를 조작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이용자에게 알리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처음 있는 일도 아니다.

네이버는 과거 진성호 전 새누리당 의원의 성추행 의혹이 제기됐을 때도 연관 검색어를 조작해 논란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NHN 관계자는 “법원에서 위법하다고 판결이 나기 이전에도 명예훼손 등과 관련해 검색어를 비공개로 삭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관 검색어는 특정 단어를 검색할 때 다른 이용자들이 자주 함께 찾는 단어를 추천하는 기능이다.

‘정우택’의 연관 검색어로 ‘성상납’이라는 단어가 뜨는 건, ‘정우택 성상납’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찾는 이용자들이 많다는 이야기다.

정 의원의 성상납 의혹이 명예훼손이 된다면 그건 그 기사를 쓴 언론이 책임져야 할 문제다. 네이버가 인위적으로 정보를 차단하거나 이용자들의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는 것으로 해결할 문제가 아니라는 이야기다.

 

최근 네이버 뉴스캐스트의 선정성 문제가 화두로 떠올랐지만, 네이버 문제의 핵심은 과도한 집중도에 있다.

네이버에 뜨면 모두가 본다. 네이버의 높은 점유율이 자연독점의 결과냐 불공정 경쟁의 결과냐를 두고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결국 우리 모두 네이버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다.

네이버는 한국 사회의 가장 큰 정보 유통 플랫폼이다. 그렇기 때문에 네이버의 공정성 확보가 더욱 중요하다.

명예훼손의 우려 때문에 연관 검색어를 편집해야 할 수도 있다. 치명적인 권리침해로부터 긴급히 보호해야 할 사안이 있을 수도 있다. 다만 어느 경우든 합리적인 기준과 공정하고 투명한 운용이 전제돼야 한다.

전화 한 통으로 정보의 유통 경로가 인위적으로 변형되는데 이용자들은 뭐가 어떻게 바뀌는지도 알지 못한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외압의 유혹을 끊기 어렵다. 요청이 있을 때마다 검색 결과에 손을 댈 수는 없지 않은가.

 

한때 “네이버는 평정됐고 다음은 손을 봐야 한다”는 말이 떠돌았던 것을 기억하라.

그 말의 진위 여부와 무관하게 공정성을 의심 받는 순간, 포털의 권위와 신뢰는 추락한다.

네이버가 자체적으로 뉴스를 편집하던 시절, 진보와 보수 양쪽에서 공정성 시비가 끊이지 않았던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영화 ‘스파이더맨’의 대사지만 “큰 힘에는 큰 책임이 따른다”.

네이버는 높은 점유율과 영향력에 뒤따르는 사회적 책임을 고민하고 또 고민해야 한다.


 

***********************************************************************************************************

 

 

     이찬진 “검색조작 의혹 네이버 거짓말 옳지 않아”

 

‘정우택 성상납’ 검색어 삭제 비판…“구글, 트위터처럼 조치 내용 공개해야”

 

최훈길 기자 | chamnamu@mediatoday.co.kr

 

 

이찬진 드림위즈 대표가, 최근 NHN이 정우택 새누리당 최고위원(19대 의원)과 관련해 네이버의 일부 검색어들을 삭제하고도, 애초에 이를 인정하지 않고 그동안 삭제 결과를 공개하지 않는 것을 두고, 네이버의 검색 정책이 투명하지 못하다며 비판하고 나섰다.

 

이찬진 대표는 26일 자신의 트위터(@chanjin)에 네이버의 검색 조작 의혹과 관련해 “법원에서 위법하다고 판결이 나기 이전에도 명예훼손 등과 관련해 검색어를 삭제할 수는 있다고 봅니다”라면서도 “하지만 안했다고 거짓말 하는 건 옳지 않은 듯”이라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25일자 미디어오늘 사설<누가 왜 검색결과를 조작하는가>를 올린 한 블로그를 인용하며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미디어오늘은 사설에서 “네이버를 운영하고 있는 NHN은 미디어오늘 기자의 질문에 검색어 삭제 사실을 전면 부인했다”며 “그러나 논란이 확산되자 NHN은 뒤늦게 정 의원쪽에서 요청을 받아 삭제한 사실을 시인했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이 대표는 NHN이 검색어를 삭제하고도 이를 부인하는 거짓말을 했다며 비판을 한 것이다.

 

   
▲ 이찬진 대표 트위터.

 

이 대표가 글을 올린 직후 NHN은 곧바로 해명을 했지만, 이 대표는 네이버의 검색 정책의 문제를 잇따라 제기하고 나섰다.

NHN은 이 대표의 트윗에 대해 자사의 트위터 네이버 다이어리‏(@naver_diary)를 통해 “연관검색어 제외 요청 사실을 공개하는 것은 명예훼손 우려가 있어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라며 “하지만 이번에는 당사자측이 신청 사실이 없다고 해, 논란이 커져 부득이하게 공개하게 됐습니다”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찬진‏ 대표는 “일반인의 경우였다면 그럴 수도 있겠지만 정치인의 경우라면 안 그럴 것 같습니다. 제 생각은 그렇습니다”라고 재차 문제를 제기했다.

일반인과 달리 정치인과 같은 공인의 경우에는 연관검색어 제외 요청 사실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된다는 주장이다.

 

이찬진 대표는 이번 사태의 핵심이 ‘검색 투명성’이라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한 트위터리안(‏@saeginstyle)이 네이버가 제대로 검색 결과를 노출하지 않는다며 “네이버는 검색 포털이 아니라 광고회사”라고 주장한 것에 대해 “광고 회사인 건 구글도 마찬가지고 모든 인터넷 포털들이 그렇습니다. 광고 회사인 게 문제가 아니고 투명하지 못한 게 문제일 겁니다”라고 밝혔다.

 

이 대표는 “네이버도 구글이나 트위터가 하듯이 조치한 내용들에 대해서는 당당히 공개해야 하지 않을까요?”라고 덧붙였다. 구글과 트위터는 검색어 조정 요청이 들어오면 이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공개해 오고 있다.

 

이 대표는 “이번 일을 계기로 적절하고 합리적인 공론화 과정을 거쳐 투명하게 나가시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라며 “김상헌 대표님께도 제 의견을 좀 전해주시면 좋겠습니다. 그게 억울한 네이버를 위해서도 좋을 것 같습니다”라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24일 오전 미디어오늘 기사<“정우택 성상납” 네이버 검색어가 사라졌다>에 따르면, 네이버에 ‘정우택’ 검색어를 입력할 경우 다음·네이트·야후와 달리 자동 검색어와 연관 검색어에서 ‘성상납’이나 ‘성추문’이 포함된 것은 없었다.

 

이에 대해 애초 NHN 홍보팀 관계자는 “네이버 이용자들은 다른 포털과 달리 ‘정우택 성상납’, ‘정우택 성추문’으로 검색을 많이 하지 않아서 ‘정우택 내연녀·일식집·불륜’ 같은 검색어보다 순위가 밀린 것”이라며 삭제 사실을 부인했다.

이 관계자는 ‘정 최고위원측으로부터 검색어 삭제 요청을 받았는지’ 묻자 “어떤 특정인에 대한 인권 침해일수도 있기 때문에 밝히지 않는 것이 원칙”이라며 함구했다.

 

정우택 최고위원은 ‘NHN에 검색어 삭제를 요청했는지’ 묻자 “내가 직접 한 것은 없다”고 밝혀, NHN의 자의적인 조작 의혹이 증폭됐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보도가 나오자, NHN 홍보팀 관계자는 이날 오후 통화에서 “정우택 의원 본인이나 본인이 위임한 대리인이 삭제 요청을 한 것”이라며 해명했고, NHN은 관련 해명을 담은 알림자료를 배포하기도 했다.

이 관계자는 보도 전후로 검색어 삭제에 대한 해명이 바뀐 것에 대해 “(보도 전에는) 몰랐던 내용”이라며, 거짓말을 한 것은 아니라는 취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