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자료, 기사 사진

靑 "모든 수단 동원해 유승민 제거"

道雨 2015. 6. 26. 16:11

 

 

 

"朴대통령, 의총 보고받고 엄청 화 내"

靑 "모든 수단 동원해 유승민 제거", 친박 집단당무거부?

 

 

박근혜 대통령이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 유임을 결정한 새누리당 의원총회 결과를 보고받고 엄청 화를 냈으며, 이에 청와대가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유 원내대표를 퇴진시키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새누리당이 계속 유 원내대표를 감쌀 경우, 친박 지도부가 집단적으로 당부를 거부하면서, 김무성 대표 체제도 붕괴시킬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나서, 여권내 헤게모니 다툼이 말 그대로 점입가경이다.

26일 <문화일보>에 따르면, 한 친박계 핵심 의원은 “박 대통령이 의총 결과를 보고받고 엄청나게 화를 냈다고 들었다”면서 “자신이 그렇게까지 말했는데도, 당이 아무것도 안 하고 그냥 뭉개듯이 지나가려 하니 그런 것 아니겠느냐”며 박 대통령의 격노 소식을 전했다.

청와대 관계자도 “박 대통령의 25일 국무회의 발언은 신뢰 정치를 하겠다며 당선된 정치인들이 정작 자기를 위한 정치를 하고 있다는, 정치의 근본을 지적한 것”이라며 “새누리당 의원총회의 모습이야말로 그런 자기 정치의 모습”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자신들이 처리한 법안에 대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했는데 책임을 지는 모습도 없고, 국민들에게 설명하는 모습도 없다”며 “마치 아무 일 없었던 것처럼 넘어갔다”고 비난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향후 대응과 관련, “유 원내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이 행사한 거부권의 대상”이라며 “대통령이 이대로 끝내지 않을 것이다.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친박계 인사는 “친박계 최고위원들이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촉구하는 것뿐 아니라, 집단적으로 당무를 거부하거나 사퇴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면서, “친박계 최고위원 4명(서청원·이인제·김태호·이정현)이 사퇴하면 현 지도부는 붕괴하는 것”이라며, 유 원내대표를 감싸는 김무성 대표체제를 붕괴시킬 수도 있음을 경고했다.

이와 관련, 이정현 최고위원은 “머리 한 번 숙이면 다 해결되는 문제인가”라며, 박 대통령에게 사과하면서도 사퇴를 거부하고 있는 유 원내대표를 비난하면서 “정치적 책임은 분명히 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태호 최고위원도 “여전히 ING(진행형)라고 본다. 이 문제는 덮고 갈 문제는 아니다”고 가세했다.

친박 의원은 '박 대통령의 탈당이나 친박계의 신당 창당, 조기 전당대회 등도 가능하냐'는 질문에 “그것이 대통령이 동원할 수 있는 수단이고 할 수 있는 것은 다 동원할 것”이라며 “그게 권력”이라고 답했다.

 

이영섭 기자

 

 

*************************************************************************************************

 

 

朴대통령, 유승민 안 자르면 '탈당'?

비박계 "시간 흐르면 제 풀에 꺾일 것. 국민이 가만 있겠나"

 

 

박근혜 대통령이 25일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배신의 정치인'으로 규정하고 맹비난했음에도 불구하고, 새누리당 의원들이 5시간 동안의 마라톤 의총 끝에 유 원내대표를 재신임하면서 사실상 박 대통령에게 항명을 하자, 여권 일각에서 박 대통령의 새누리당 탈당 가능성이 거론돼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25일 유 원내대표를 정면 비판한 뒤 "정치적인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것은 오직 국민들뿐이고, 국민들께서 선거에서 잘 선택해 주셔야 새로운 정치문화가 자리 잡을 수 있게 될 것"이라며 “당선된 후에 신뢰를 어기는 배신의 정치는, 결국 패권주의와 줄세우기 정치를 양산하는 것으로, 반드시 선거에서 국민이 심판해주셔야 한다”며, 사상 초유로 여당 정치인 심판을 호소했다.

박 대통령 발언은 단순히 유 원내대표의 원내대표직 사퇴를 요구한 데에서 더 나아가, 유 원내대표를 비롯해 자신에게 반기를 드는 비박계와는 향후 정치를 함께 할 수 없다는 의미로, 여권에서는 내년 총선 공천과정에 비박계에게 공천을 줄 수 없다는 메시지로 받아들였다.

박지원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도 트위터를 통해 "새누리당 비박계 숨통을 위협, 차기 총선 공천권을 행사하려는 전략"이라고 분석했다.

당연히 비박계는 격앙된 반응을 보였고, 그 결과는 5시간 의총 끝에 나온 유승민 원내대표 재신임이었다. 의총 과정에 40명이 발언에 나섰으나 유 원내대표 퇴진을 요구한 의원은 발언자의 10분의 1인 4명뿐이었다. 박 대통령에 대한 항명이자 선상반란이었다.

그러자 친박의원들은 즉각 언론에 "우리 당 의원들이 심각성을 몰라도 너무 모른다"며, 박 대통령이 '탈당'을 할 수 있음을 경고하며 강력 반발했다.

박 대통령의 '탈당' 가능성이 거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7월 15일 전당대회에서 자신이 밀었던 서청원 의원 대신에 김무성 의원이 대표로 당선되자, 김무성 신임 지도부와 청와대에서 오찬을 하는 자리에서 “야당이 정부를 공격하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일이지만, 여당이 공격하면 정부는 일할 수 있는 힘을 잃게 된다”면서, “새누리당이 만약 그렇게 하면 내가 여당에 남아 있을 이유가 없다”라며 탈당을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무성 대표는 보도후 사실무근이라고 부인했으나, 여권내에서는 박 대통령 발언을 '팩트'로 받아들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이 더 나아가 탈당후 '친박 신당'을 만들려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만약 이런 생각을 하고 있다면 큰 착각이라는 게 지배적 관측이다. 지지율이 레임덕 바로미터인 30%선 아래로 추락한 상황에서 박 대통령에게 그런 추동력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지역별 세력판도를 봐도 그렇다. 현재 친박 의원들이 포진하고 있는 곳은 영남권이 주무대다. 수도권은 친이계가 압도적이다.

더욱이 영남권도 완전 장악하지 못한 상태다. 박 대통령의 정치적 텃밭인 대구만 해도 경북고 출신의 '정통 TK'인 유승민 원내대표를 '미래 정치지도자'로 밀려는 움직임이 대단히 강하다.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이 유 원내대표를 계속 궁지로 몰아넣을 경우 "대구도 두토막 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부산 역시 비박인 김무성 대표가 절반 정도는 장악한 상태다.

박 대통령이 탈당후 신당을 만들어 정계개편을 하려 해도, 여권 공멸을 초래할 뿐, 정국 주도권을 되찾을 수는 없을 것이란 얘기인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박계 등 새누리당 의원들은 박 대통령의 강공에 바짝 긴장하는 분위기다. '살아있는 권력'인 박 대통령에게는 그들을 벼랑끝으로 몰 수 있는 무시무시한 '힘'이 있기 때문이다.

만에 하나 박 대통령이 탈당후 여야 구분없이 사정의 칼날을 휘두른다면 성할 사람이 별로 없을 것이란 위기감을 느끼고 있는 것이다.

의총에서 유 원내대표를 재신임하면서, 국회법 개정안은 박 대통령 뜻대로 자동폐기시키기로 당론을 정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비박계의 한 관계자는 "지금은 박 대통령과 정면으로 붙을 때가 아니다. 하지만 조금 시간이 흐르면 제 풀에 꺾일 것이다. 성난 국민들이 가만 있겠나"라고 반문했다.

 

이영섭, 심언기 기자

 

*****************************************************************************************************

 

 

친박 이장우 "유승민 사퇴 안하면 朴대통령 탈당할 수도"

"최고위에서 유승민 사퇴 논의할 것"

 

 

 

친박 이장우 새누리당 의원은 26일, 유승민 원내대표가 계속 사퇴를 하지 않을 경우 박근혜 대통령의 탈당 가능성에 대해 "그런 경우에는 대통령이 그런 결정도 하실 수 있다고 본다"며 탈당을 경고했다.

이장우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전직 대통령들이 탈당한 예가 있는데, 여당은 실질적으로 대통령의 국정을 뒷받침 해줘야 하는 것이고, 당과 청이 하나가 되어서 국정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는데, 만약에 청와대에 대한 여러 가지 당의 뒷받침이 제대로 안 되고, 그런 경우에는 여당으로서 역할을 안 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그렇게 되면 사실 국가적으로도 굉장히 어려움이 있고, 전체적인 국민들에게 상당히 피해가 가기 때문에 그래서는 안 된다고 보고, 그러기 위해서 당청 간의 골이 깊었던 여러 가지 원인을 제공했던 핵심, 유승민 원내대표가 사퇴하는 것이 원활한 청관계를 위해서 좋다"며, 유 원내대표 즉각 사퇴를 촉구했다.

친박 의원이 박 대통령의 탈당을 경고하고 나선 것은 이 의원이 처음으로, 박 대통령의 의중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의원은 전날 의총에 이어 이날도 유 원내대표를 맹비난하면서 "지금이라도 원내대표는 국회법 파동에 대한 책임을 지고, 또 그동안 미숙한 협상에 대한 책임을 지고 스스로 거취를 표명하고 사퇴하는 것이 맞다"며 거듭 퇴진을 요구했다.

그는 그러면서 "아마 조만간 최고위원회가 또 있을 텐데, 이 최고위원회에서도 거취문제와 관련해서 상당히 많은 논란이 있으리라고 본다"며 "저는 최고위원회의 여러 가지 논의를 지켜본 다음에, 의원들하고 다시 상의하도록 하겠다"며, 유 원내대표가 퇴진하지 않을 경우 친박이 집단행동에 나설 것임을 경고하기도 했다.

 

심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