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메르스 환자 치료를 하는 공공병원은 인력과 보호 장비 부족을 호소하고 있는 와중에, 정부가 최근 메르스 관련 신문 광고에 12억3000여만 원을 쏟아 부은 것으로 확인됐다.
미디어오늘이 배재정 새정치민주연합(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의원실로부터 받은 ‘메르스 관련 정부광고(1·2차) 게재매체 내역’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10일과 11일(1차), 19일(2차) 보건복지부·국민안전처와 공동으로 메르스 관련 정부광고를 중앙일간지에 일제히 집행했다.
10일과 11일 양일간 나눠서 일간지 1면에 ‘메르스, 함께 이겨낼 수 있습니다!’라는 제목으로 실린 1차 정부광고는, 12개 종합일간지를 비롯해 경제지 10곳, 스포츠지 7곳, 영자·전문지 5곳 등 총 34개 언론사를 대상으로 6억4500여만 원이 투입됐다.
19일 집행된 2차 광고에선 ‘메르스, 최고의 백신은 함께 이겨낼 수 있다는 믿음입니다’ 등의 내용으로, 일부 일간지와 영자지가 빠진 30개 언론사에 5억8500여 만 원의 광고비가 쓰였다.
![]() | ||
▲ 문화체육관광부 메르스 1차 광고 집행 내역 | ||
![]() | ||
▲ 문화체육관광부 메르스 2차 광고 집행 내역 | ||
언론사별 1회당 광고료 차이도 컸다.
정부광고 대행을 맡은 한국언론진흥재단 관계자에 따르면, 매체별 발행부수에 따라 광고단가도 차등 적용된다. 하지만 발행부수가 가장 많은 조선일보(175만 부)와 중앙일보(126만 부), 동아일보(90만 부)는 부수 차이가 컸음에도 광고료가 4680만 원으로 같았다.
동아일보와 발행부수 차이가 불과 13만 부 정도인 매일경제(77만 부)는 3250만 원으로 뚝 떨어졌다. 한겨레와 경향신문, 한국일보가 3050만 원 그룹으로 묶였고, 국민일보·문화일보·서울신문·한국경제가 2850만 원으로 뒤를 이었다. 경제지 중에선 한경이 매경 다음으로 광고료가 높았지만, 발행부수로 보면 한겨레(25만 부)보다 2배(50만 부)가량 많았음에도 광고료는 더 낮았다.
언론재단은 관계자는 “1·2차 광고 모두 광고주인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유선 연락을 받고 시행했다”며, “2차 광고에서는 당초 17일 영자지 3곳만 제외한 31개 언론사에 광고를 게재할 예정이었지만, 18일 오후 3시경 문화부로터 한국일보와 국민일보 광고는 취소하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밝혔다.
![]() | ||
▲ 미디어오늘 분석 자료 | ||
앞서 미디어오늘은 중앙일간지 중 유일하게 2차 광고가 누락된 국민일보 편집국장에게 지난 16일,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이 박근혜 대통령 관련 기사로 항의 전화를 한 후 정부광고가 빠진 정황을 포착해 보도했다. (관련기사 : 청와대 홍보수석, 신문사 전화걸어 “그게 기사가 되냐”)
미디어오늘 취재 결과, 국민일보의 경우 김성우 수석이 박현동 편집국장과 김영석 정치부장 등에게 전화해, 박 대통령을 비판하는 기사에 대해 “그게 기사가 되느냐’며 항의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일보는 국민일보와 함께 광고가 빠진다는 통보를 받았다가 다시 광고를 실리게 됐다.
언론재단 관계자는 “우리는 18일 오후 3시경 문화부로부터 한국일보와 국민일보 광고 취소 요청을 받았고, 두 언론사에 19일자 광고게재 취소를 통보했다”며, “하지만 오후 4시30분께 문화부 담당자로부터 한국일보는 원래 계획대로 게재하라는 유선 연락을 받고, 다시 각 사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지난 19일 문화부 관계자는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처음에는 (신문사) 다 하려고 했는데 복지부에서 예비비를 못 따서 아마 내부적 결정 과정에서 그렇게(광고가 빠지게) 된 것 같다”면서도, 왜 한국일보와 국민일보만 빼려고 했는지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국민일보와 한국일보의 광고 취소 건과 관련해, 미디어오늘은 김성우 수석과 이의춘 문화부 국정홍보 차관보의 입장을 듣기 위해 수차례 연락을 취하고 메시지를 남겼지만, 답변을 듣지 못했다.
청와대와 문화부의 연결고리로 알려진 민병호 청와대 뉴미디어정책 비서관은 26일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청와대 비서관 자리 하나가 문화부 광고 집행을 지시할 수 있는 위치도 아니고, 국민일보 광고 누락 내막도 기사가 나고 한참 뒤에 알았다”며, “문화부에 해당 부처와 담당이 있고, 최소한 장관 결재가 나야 하는 사안인데, 요즘 시대에 밑에 사무관에게 함부로 말도 할 수가 없다”고 광고 탄압 의혹을 일축했다.
민 비서관이 보수 인터넷 매체 데일리안 대표로 있을 당시 이의춘 차관보는 편집국장을 지낸 바 있다.
'뉴스자료, 기사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경연, 올 성장률 2.7%로 또 낮춰. 메르스로 2% 될 수도 (0) | 2015.06.28 |
---|---|
메르스 상황(2015. 6. 28) : 1명 추가 사망, 치사율 17.6% , 신규 환자는 발생하지 않아 (0) | 2015.06.28 |
美연방대법원 "동성결혼은 합헌", 美전역서 허용 (0) | 2015.06.27 |
靑 "모든 수단 동원해 유승민 제거" (0) | 2015.06.26 |
대통령 거부권 행사에 야당 등 각계 인사의 비판 봇물. "국민 심판 받을 사람은 대통령" (0) | 201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