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교육, 문화계 관련

기자들은 알지만 언론사는 감추려는 세 가지 비밀

道雨 2021. 8. 30. 12:37

기자들은 알지만 언론사는 감추려는 세 가지 비밀

 

‘기사형 광고’로 노출 중단 제재받은 ‘연합뉴스’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가 수행한 ‘디지털뉴스리포트’ 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은 뉴스신뢰도가 매년 최하위였습니다. 겨우 올해 들어서야 조사대상 46개국 가운데 공동 38위로 꼴찌에서 벗어났습니다.


언론사가 반드시 유지해야 하는 것이 바로 ‘공신력’입니다. 공신력 자체만으로 언론사가 나쁘다 좋다를 평가할 수는 없지만, 뉴스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려 불신을 야기하는 원인이 됩니다. 특히 공신력의 하락은 정치뿐만 아니라 사법부와 검찰, 경찰 등 공적 영역에도 영향을 끼칩니다.

 

한국 언론의 공신력이 떨어지는 이유 중의 하나는 상업성입니다. 언론사는 돈을 벌지 말라는 뜻이 아닙니다. 돈을 벌기 위해 언론의 신뢰를 내세워 국민을 속이는 것이 문제입니다.

 


언론에 종사하는 업계 사람들이나 기자들은 다 알고 있지만, 국민들은 잘 모르고 있는 언론계 비리를 정리해봤습니다.

 

‘기사형 광고’로 노출 중단 제재받은 ‘연합뉴스’

 

 


지난 7월 <미디어오늘> 금준경 기자는 <연합뉴스>가 홍보대행사로부터 돈을 받고 ‘기사형 광고’(기사로 위장한 광고)를 포털에 전송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후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는 네이버와 다음에서 <연합뉴스.>의 기사를 32일 동안 노출을 중단하는 제재를 내렸습니다. 포털을 통해 뉴스의 대부분을 소비하는 시대에, 언론사의 포털 노출 중단은 가장 무거운 처벌에 속합니다.


'기사형 광고'소비자가 기사 속에 나온 제품을, 마치 취재를 통해 좋은 평가를 받은 제품으로 인식해 구매를 유도할 수 있어,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입니다. 그러나 광고라는 표기를 제대로 하지 않는다면, 소비자를 기망하는 ‘사기’에 가깝습니다.


<연합뉴스>는 국가기간뉴스통신사로, 매년 정부로부터 300억원의 보조금을 지원받는 언론사입니다. 다른 언론사에 기사를 제공하고, 다수의 언론사들이 <연합뉴스>의 기사를 인용하는 국내 최대 통신사입니다.


어느 언론보다 기사의 신뢰가 요구되는 <연합뉴스>가, 한 두건도 아니고 무려 2000건이 넘는 '기사형 광고'를 포털에 송출했다는 것은, 앞으로 기사를 읽을 때마다 돈 받고 쓴 기사인지 의심을 품게 만듭니다.

 

방송인가 광고인가?... 돈만 내면 어떤 제품이라도 조작 방송 가능

 


<뉴스타파> 김강민, 김경래 PD는 방송의 뒷광고를 취재하기 위해, 페이퍼 컴퍼니를 만들어 체리를 파는 협찬 방송을 진행했습니다.


광고대행사는 660만원을 받고 방송사를 연결해줬고, 제작 PD의 요청에 따라 <뉴스타파> 김강민 PD는 체리를 먹는 시민으로, 김경래 PD는 체리 전문가로 출연했습니다.


<뉴스타파>가 돈을 내고 출연한 영상은, ‘SBS Biz’ <생생경제 정보톡톡>을 통해 건강식품으로 방송에 나왔습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SBS Biz’는 협찬금을 받고 제작된 영상이라고 알리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SBS Biz’ 측은 <뉴스타파>가 전문가를 사칭했다며 사기꾼인양 몰아갔고, 자신들의 잘못은 없었다는 식으로 사과 방송을 했습니다.


문제는 체리 영상이 나간 뒤,  YTN 660만 원, 서울경제TV 385만 원, 채널A 770만 원 등, 다른 방송사에서도 돈만 내면 체리를 홍보해주겠다는 연락이 왔다는 점입니다.

단순히 ‘SBS Biz’만의 문제가 아니라, 여러 방송사에서 돈만 주면 어떤 제품이라도 조작 방송을 해주고 있다는 문제점이 드러난 것입니다.

방송에서 어떤 제품이 몸에 좋다고 방송을 하면, 그대로 믿고 자녀에게까지 권유하는 우리의 부모님들이 모두 속고 있다는 사실을, 이번 기회에 다시 확인하게 된 셈입니다.

 


경찰, 조선일보·ABC협회 ‘부수조작 의혹’ 수사 착수

 




얼마 전 한국 신문들이 동남아에서 포장지로 활용되는 사진이 온라인에 등장하면서 큰 파문이 일었습니다. 특히 동남아로 팔려간 신문들이 한 번도 읽지 않은 ‘새 신문지’라 충격은 더 컸습니다.

 

지난 5월 <MBC 스트레이트>는 이런 한국 언론사들의 폐지 수출 실태와 신문 부수 조작 의혹 등을 다뤘습니다.
<MBC 스트레이트>는 한국 언론사들이 신문을 폐지로 동남아에 수출하더라도 발생 부수를 늘리는 이유는, 발행부수가 많아야 영향력도 커 보이고, 광고도 비싸게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현재 한국은 신문의 발생부수와 유료부수를 ABC협회에서 조사 발표하고 있습니다. <조선일보.>는 116만부를 발행하고 유료부수 비율이 96%라고 했지만, 문체부 조사결과 67%에 불과했습니다.

 

신문사들은 조작된 발행 부수로 광고비를 받아 왔습니다. 지난해에 신문을 포함한 인쇄매체에 지급된 정부광고만 2000억원이 넘습니다. 신문사들의 발행부수 조작으로 국민의 세금이 과하게 광고비로 지급된 것입니다.

지난 3월 ‘언론소비자주권행동’과 ‘민생경제연구소’는 <조선일보>가 ABC협회와 짜고 정부기관과 공공법인에 발행·유료 부수를 2배가량 허위로 늘려, 광고비와 정부 보조금을 부당하게 챙겼다며, <조선일보>와 ABC 협회를 고발했습니다.
고발한 지 5개월이 지난 8월 23일, 서울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는 고발된 사건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신문사들과 ABC협회의 비협조로 수사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 임병도 ]

 

본글주소: http://www.poweroftruth.net/m/mainView.php?kcat=2013&table=impeter&uid=2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