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

치수 없는 옷 - 바지

道雨 2008. 5. 22. 11:43

 

 

 

              치수 없는 옷


                                  바지

서양의 기능주의, 합리주의가 무엇인지를 알려면 양복바지를 입어보면 된다. 정확하게 허리둘레의 치수를 재어 1인치의 오차도 없게 옷을 마른다. 바지가 허리춤에 꼭 맞을수록 일류재단사 소리를 듣는다. 바지만이 아니다. 여자 스커트의 경우도 그 길이는 들쭉날쭉하더라도 허리춤만은 꼭 맞아야 한다. 이 정확한 치수개념이 오늘날 인간이 달나라에까지 갈 수 있게 한 과학기술을 낳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핫바지를 만든 전통적인 한국인의 눈으로 보면 서양 사람의 양복바지만큼 우스꽝스러운 것도 없다.

원래 사람의 허리는 재는 것이 아니다. 인체의 허리는 밥 먹었을 때 다르고 굶었을 때 다르며 건강할 때와 병을 앓고 있을 때가 모두 다르다. 아무리 치수를 정확하게 재어 만든 옷이라도 사람의 몸은 콘크리트 건축물이 아니기 때문에 수시로 변하는 것이다. 살아 있는 것의 몸을 잰다는 것은 흐르는 물에 표를 해놓고 떨어진 칼을 찾으려는 것처럼 어리석은 일이다. 생명체를 어떻게 자로 잴 수 있단 말인가.

자로 잴 수 없는 것을 재려고 드는 것이 서양의 합리주의요 기능주의이다. 그래서 양복바지는 몸이 조금만 불어도 그 허리가조여 불편하기 짝이 없고 또 몸이 약간 축이 나도 그것이 흘러내려 거북하게 마련이다.

그래서 한국인이 만든 바지는 아예 자로 재지 않고 처음부터 넉넉하게 만들어 입도록 고안되었다.

한국 바지의 허리춤은 세계에서 가장 넓은 것으로 누가입어도 되도록 융통성을 부여한 데 그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몸이 불어나면 좀 덜 조이면 되고 몸이 마르면 더 조여 입으면 된다. 여자 치마도 몸에 두르는 것이기 때문에 허리가 가늘든 굵든 신경쓸 필요가 없다.

남자 것이든 여자 것이든 한국 옷은 치수라는 합리성을 넘어선 산물로서 그때 그때의 상황에 융통성 있게 적응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사람이 먼저이고 옷이 나중이다. 옷은 사람이 입기 위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양복은 사람이 벗어놓아도 입체적인 자기 형태를 갖고 있다. 그래서 옷걸이에 걸어 놓아야만 한다. 그러나 한국의 옷은 입으면 인체와 마찬가지로 3차원의 형태를 하고 벗으면 2차원의 평면으로 돌아간다. 그러니까 한국 옷은 걸지 않고 개켜둔다.

한국의 바지 저고리는 그리고 그 치마는 사람이 입었을 때 비로소 완성되는 것으로 자기 형태라는 것을 따로 갖고 있지 않다. 치수가 잘못되면 사람이 옷에 맞추어야만 하는 주객전도의 양복문화 그것이 인간소외 현상을 낳은 것이라면, 넉넉한 한국의 괴춤은 끝없이 인간을 감싸주는 융통성 있는 문화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윗 글은 이어령의 ‘우리문화박물지’에서 옮겨온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을 할 때와 사랑을 받을 때  (0) 2009.01.09
화로 (불들의 납골당)  (0) 2008.06.16
마음을 살찌워야  (0) 2008.05.29
집잡기 놀이  (0) 2008.02.16
道雨의 辯  (0) 2007.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