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전 위원장의 구속은 태생적으로 도덕성이 결여된 정권의 비참한 행로를 잘 보여준다. 음습한 돈은 이미 정권이 출범하기도 전부터 비정상적인 통로를 따라 밀실로 흘러들어갔다. 검은돈에 대한 도덕적 경각심은 애초부터 존재하지도 않았다. 돈을 먹이고 돈을 먹는 추악한 관계 속에서 정권은 병들어갔다.
최 전 위원장의 구속은 이 정권이 저지른 온갖 부정비리에 대한 진상규명의 시작일 뿐이다. 검은돈을 뿌린 곳이 파이시티 한 곳에 그치지 않을 것임은 상식에 속한다. 실제로 최 전 위원장 보좌관 박배수씨가 이국철 에스엘에스(SLS)그룹 회장한테 뇌물을 받은 혐의로 이미 구속됐고, 그의 ‘양아들’로 불리는 정용욱씨는 교육방송(EBS) 이사 선임 로비 명목으로 수억원을 받은 혐의가 드러나 해외도피중이다. 이런 돈의 종착지가 최 전 위원장이 아닌지를 차근차근 밝혀내야 한다. 이번 사건이 최 전 위원장의 개인비리 차원을 떠나 이명박 후보 캠프의 불법자금 조성이 아니었는지를 밝히는 것도 검찰의 책무다.
오늘 검찰에 소환되는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의 운명도 최 전 위원장과 크게 다를 것 같지 않다. 검찰은 박 전 차관의 ‘자금줄’로 지목되는 제이엔테크의 이아무개 회장이 박 전 차관의 돈을 세탁해준 정황을 포착했다고 한다. 이 자금세탁 경로를 집중수사하면 박 전 차관이 파이시티 이외에 다른 기업 등에서 받은 불법자금도 속속 드러날 가능성이 크다. 박 전 차관-제이엔테크-포스코의 유착관계, 정권 주변 인사들의 포스코 이권 챙기기 의혹도 명백히 밝힐 문제다.
박 전 차관의 혐의는 단순한 뇌물수수나 이권개입 정도에 그치지 않는다. 국무총리실 불법 민간인 사찰 사건의 ‘총사령탑’ 의혹은 어떤 면에서는 불법자금 수수보다 더 진실규명이 필요한 대목이다. 검찰이 최근 박 전 차관의 집과 선거사무소 등을 압수수색한 만큼 민간인 사찰에 대한 그의 개입 의혹을 뒷받침할 증거를 발견했을 가능성도 있다. 검찰은 이제 더 머뭇거리지 말고 사찰의 몸통 밝히기 수사에 마침표를 찍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