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한국, 민주주의 강점 드러냈다" 코로나19 대응 일제히 주목
로이터, 이탈리아와 한국 상반 대응 비교
WP “시민들, 자발적 협조”…BBC “메르스 경험 바탕”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위기에 대응하는 한국의 방식에 외신이 주목했다. 기민한 추적 검사를 호평하며, 이제 막 코로나19 확산기에 진입한 다른 나라들에 좋은 참고가 될 수 있다고 보도한 것이다.
로이터 통신은 12일(현지시간) 한국과 이탈리아의 대응방식을 비교하며, 한국이 공격적이고 지속적인 검사로 효율적인 방역을 전개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탈리아와 한국은 지난 1월 말 첫 확진자가 나온 후, 이탈리아는 북부, 한국은 대구ㆍ 경북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확산됐다.
이탈리아는 초반 광범위한 검사를 시행했지만, 이후 유증상 의심자로 검사 대상을 좁혔다. 또 지난달 22일 북부 11개 지역을 대상으로 주민 이동제한령을 내린 데 이어, 지난 10일 이동제한령을 전국으로 확대한 바 있다. 11일에는 모든 상점에도 휴업령을 내리는 등, 전례 없이 강력한 조치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 한국은 바이러스 감염 의심자를 적극적으로 추적해, 하루 평균 1만 2,000여건의 검사를 진행했다. 환자와 의료진간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량에 탑승한 채 검사를 받는 ‘드라이브 스루’ 검사시설도 전국 50여곳에 설치했다. 특정 지역을 폐쇄하는 강제적 조치보다, 전방위적인 추적 검사에 집중하면서, 감염자를 조기 발견할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로이터는 한국이 이탈리아보다 누적 확진자가 적다며 “(두 사례는) 공격적인 검사가 바이러스와 싸우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라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한국의 민주주의 체제에 주목했다.
칼럼니스트 조쉬 로긴은 11일 WP의 기고에서 “민주주의는 고유한 강점을 활용한다면, (중국의 권위주의 통치보다) 공중 보건 보호에 더 적합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시민사회 역시 자발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주요 행사들이 취소됐고, 교회 예배는 온라인으로 이뤄진다”며 “정부는 도시 전체를 감옥으로 변모시키지 않으면서도, 시민들에게 확진자 대다수가 나온 대구와 거리를 두라고 설득하는 데 성공했다”고 평가했다.
영국 BBC는 한국이 짧은 시간에 검사를 늘리고 전방위적 조치를 취할 수 있었던 이유로, 한국인 특유의 ‘빨리빨리 유전자’를 소개하기도 했다.
권계철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이사장은 BBC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인은 빨리빨리 유전자가 존재한다”며 “한국인들은 시험을 설계하고 테스트를 만들고, 전국에 걸쳐 실험실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모든 것을 17일 안에 끝낼 수 있다”고 말했다.
또 BBC는 한국이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ㆍ메르스) 사태 때 얻은 교훈이 도움이 됐다고 분석했다.
BBC는 “한국은 메르스로 36명이 사망한 이후, 전염병에 대한 접근을 다르게 하기 시작했다”며 “한국의 질병관리센터는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특별 부서를 세웠다”고 설명했다.
이소라 기자 wtnsora21@hankookilbo.com
*************************************************************************************************
"한국, 코로나19와 싸움서 민주주의의 힘 보여줘" <WP>
미국·이탈리아와 대조되는 한국 코로나19 대응책에 찬사
"중국, 권위주의 체제 우월 주장하나, 수개월간 코로나19 부인·은폐·실책"
"한국 정부의 대처, 비판과 시험을 열린 자세로 대해 더 강력"
![어린이들도 자발적으로 실천하는 '사회적 거리두기' [성동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https://img6.yna.co.kr/photo/yna/YH/2020/03/06/PYH2020030619120001300_P4.jpg)
어린이들도 자발적으로 실천하는 '사회적 거리두기' [성동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한국이 민주주의 국가가 공공보건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증거라는 평가가 나왔다.
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는 11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둘러싼 글로벌 대응책을 다룬 논평에서, 이 같은 견해를 밝혔다.
WP는 한국의 사례를 다른 국가들과 비교하며 "민주주의 국가들이 코로나19에 대항해 성공할 수 있다는 점을 한국이 증명했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 같은 진단은, 권위주의 국가인 중국에서 코로나19가 진정되고 있으나, 유럽과 미국 등 자유 민주주의 국가들에서 확진자가 급증하는 대조적인 상황에서 나왔다.
중국은 자국 통치체계의 우월성을 선전하는 데, 이런 상황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반면 이탈리아 정부는 현대사에서 보기 드문 전국 이동제한령을 발동해 혼란을 불렀고, 미국 정부는 코로나19의 위험성을 저평가하고, 정치적 목적으로 확진자 수를 낮게 통제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WP는 "실제로 민주국가들이 보유하고 있는 강점을 이용하기만 한다면, 공공의 건강을 보호하는 데 더 적합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그 실현 방식을 증명하는 한 국가가 있는데, 바로 한국"이라고 지목했다.
미국과 이탈리아의 코로나19 대응 부진이 개별 정부의 잘못일 뿐, 자유 민주주의 사회의 모델에 결함이 있는 게 아니라는 주장이다.
![앞자리 비우고 식사](https://img9.yna.co.kr/photo/yna/YH/2020/03/05/PYH2020030517240005500_P4.jpg)
(전주=연합뉴스) 전북도청 직원들이 지난 5일 구내식당에서 앞자리를 비워둔 채 비대면 점심식사를 하고 있다. 이는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의 하나다. [전북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WP는 한국이 일련의 단호한 조치를 통해 코로나19의 확산을 억제하고 있지만, 그 수단이 중국 정부와 다르다는 점을 강조했다.
신문은 "한국 정부의 조치는 대중교육, 투명성 제고, 시민사회 참여에 집중돼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는 수백만명을 강제로 가택연금하고, 소수자들에게 공장 강제노역을 시키며, 정부 조치를 비판하면 누구든 없애버리는 중국 정부의 방식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에 맞서 싸우는 한국의 가장 효과적인 무기로는, 현재 하루 1만5천건, 지난 1월 3일 이후 누적 21만건에 이를 정도로, 검사 규모를 신속하게 확대한 조치가 꼽힌다.
WP는 한국에서는 대규모 검사 때문에 확진자가 급속하게 늘었으나, 치사율은 겨우 0.71%에 불과하다고, 통계 자체도 긍정적인 시각으로 소개했다.
한국 시민사회가 코로나19 대응에 자발적으로 동참하고 있다는 점도, 코로나19 대응의 강점으로 평가됐다.
대규모 행사들이 취소됐다는 점, 교회들이 미사나 예배를 온라인으로 대체했다는 점, 정부가 주요 발병도시인 대구 전체를 감옥으로 만들지 않고, 시민들의 방문 자제를 설득해냈다는 점이 그 사례로 거론됐다.
WP는 한국이 미국 등지로 출국하는 승객들에 대한 검사 수위를 공항에서 높이는 등, 코로나19를 해외로 퍼뜨리는 것을 막는 데 진력했다는 점도 높이 샀다.
신문은 "한국 정부는 다른 국가들이 한국과 계속 거래를 하고, 한국인들을 받아들일 수 있다는 신뢰감을 주길 원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은 사안을 왜곡하고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리는 중국의 거듭된 행태가 아닌, 투명성과 개방성을 높이는 데 주력했다"고 강조했다.
WP는 중국이 7∼8주 전에 한국처럼 노력했다면, 코로나19 사태가 지금처럼 악화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중국과 같은 권위주의적 접근법에는 불필요한 대규모 고통이 수반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신문은 "한국 정부의 이번 대처는 비판과 시험을 열린 자세로 대하기 때문에 더 강력하다"며 "그 덕분에 한국의 공공보건과 경제 상황은 더 빠르게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중국 체제의 우월성이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다시 한번 증명됐다는 중국 공산당 기관지의 선언에 대해, WP는 두 가지 뚜렷한 문제가 있다며 거센 비판을 쏟아부었다.
WP는 "코로나19 억제에 성공했다는 중국 정부의 자평을 받아들이려면, 일단 믿고 보는 거대한 맹신이 먼저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중국의 대처를 승리로 보고 찬사를 보내려면, 지구촌 전체에 코로나19를 퍼뜨리는 데 중대 역할을 한, 중국 정부의 수개월치 부인, 은폐, 실책도 모두 눈감아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WP는 민주주의 국가들은 개인의 자유, 정부의 책임 사이에서 균형점을 잡는다며, 한국의 사례를 민주주의 가치가 국민을 취약하게 하는 게 아니라 더 강하게 하는 모델로 거듭 주목했다.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
'뉴스자료, 기사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들불' 독일, 뒤늦은 메르켈 등판...이제 '한국 배우기' (0) | 2020.03.14 |
---|---|
대구 콜센터 63명 확진...대부분 신천지 신도 (0) | 2020.03.14 |
병원·유치원 등 다중시설종사 신천지 교인 3천162명 진단검사 (0) | 2020.03.13 |
전주시, 재난 기본소득 취약계층에 52만여원씩 지급 확정 (0) | 2020.03.13 |
1회 충전에 800km 질주...삼성의 '배터리 초격차' (0) | 2020.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