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인물 관련 275

그리스 지배를 위한 패권 다툼, 펠로폰네소스 전쟁

그리스 지배를 위한 패권 다툼, 펠로폰네소스 전쟁 * 발생 : 기원전 431년 * 종결 : 기원전 404년 목차 그리스 제국을 꿈꾼 아테네 펠로폰네소스 동맹, 드디어 반기를 들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시작-아르키다모스 전쟁(기원전 431~기원전 421년) 시칠리아에서 다시 맞서다 아이고스포타미 전투로 막을 내리다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후 ┗ 아테네와 스파르타의 차이 그리스 제국을 꿈꾼 아테네 페르시아는 비록 페르시아 전쟁에서 패했지만, 여전히 그리스를 공격할 기회를 노리고 있었다. 그런 탓에 페르시아가 다시 쳐들어올까 두려워하던 소아시아(아시아의 서쪽 끝에 있는 흑해, 에게 해, 지중해에 둘러싸인 반도)의 폴리스들과 에게 해의 섬에 있는 폴리스들은 아테네를 중심으로 동맹을 맺었다. 기원전 478년에 결성된 ..

매국노가 낳은 애국자 : 우장춘 박사는 '씨 없는 수박'을 만들지 않았다

우장춘 박사는 '씨 없는 수박'을 만들지 않았다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역사 속 '그날'의 이야기를, '장트리오' 장현성-장성규-장도연이 들려주는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이하 '꼬꼬무'). 본방송을 놓친 분들을 위해, 혹은 방송을 봤지만 다시 그 내용을 곱씹고 싶은 분들을 위해 SBS연예뉴스가 한 방에 정리해 드립니다. 이번에 '당신'에게 들려주고 싶은 '그날'의 이야기는, 지난 16일 방송된 '매국노가 낳은 애국자' 편입니다. 이야기 친구로는 배우 최영준, 브라운아이드걸스 제아, 가수 라이머가 출연했습니다.(리뷰는 '꼬꼬무'의 특성에 맞게, 반말 모드로 진행됩니다.) ▲ 한국에 보내달라는 일본 과학자 때는 1950년 1월. 일본 나가사키현에 위치한 한 수용소야. 이 수용소가 어떤 곳..

같은 시대 다른 삶 : 신채호 & 최남선, 마틴 루터 킹 & 말콤 X

같은 시대 다른 삶을 살다 간 사람들… 신채호 & 최남선…마틴 루터 킹 & 말콤 X 역사에 나타난 인물 중 참 대조적인 인물이 많다. 신채호와 최남선… 이들은 신숙주와 최영의 후손이다. 신숙주는 세종 때 성삼문과 함께 훈민정음 창제에 혁혁한 공을 세우고 세조의 각별한 지우를 얻어 병조판서로 지냈지만 변절자의 대명사로 역사에 남아 있다. 난세가 부른 영웅 최영장군은 고려 말 왜구와 홍건적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큰 공을 세웠고, 공민왕을 시해하려던 흥왕사의 난, 최유의 모반 등을 평정하기도 하고, 요동 정벌에 나섰으나 이성계 일파의 위화도회군으로 참수를 당한 고려의 충신이다. 충신과 역사는 시대가 만드는 것일까? 이들의 후손 신채호와 최남선은 반대의 삶을 살다 떠났다. 같은 시대 다른 삶은 살다 간 사람은 ..

임진왜란의 숨은 영웅 이복남 장군

임진왜란의 숨은 영웅 이복남 장군 이복남(李福男, 1555년[1] ~ 1597년 9월 26일(음력 8월 16일)[2])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이며, 본관은 우계(羽溪)로 자(字)는 수보(綏甫),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무과 급제후 선전관에 초임된 뒤, 절충장군 전라도병마절도사(折衝將軍 全羅道兵馬節度使)에 이르렀다. 1588년(선조 21년) 무과 식년시(武科 式年試)에 병과로 급제, 선전관, 별장을 거쳐 1592년(선조 25) 나주 판관(羅州判官)이 되고, 그해 7월 나주판관 재직 중 임진왜란(壬辰倭亂)이 터지자, 겸 도복병장에 임명되어 전주 웅치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으며, 승전의 공으로 그해 12월 당상관에 승진했다. 1593년(선조 26) 전라조방장, 전라방어사(全羅防禦使)를 거쳐 충청조방장..

임진왜란 공신 목록

임진왜란 공신 목록 공신명 등위(인원수) 공식명칭 성명 호성공신 (扈聖功臣) 1등(2명) 충근정량갈성효절협력호성공신忠勤貞亮竭誠效節協力扈聖功臣 이항복, 정곤수 2등(31명) 충근정량효절협책호성공신 (忠勤貞亮効節協策扈聖功臣) 유성룡, 이원익, 윤두수, 윤근수, 김응남 외 3등(53명) 충근정량호성공신 (忠勤貞亮扈聖功臣) 정탁 외 선무공신 (宣武功臣) 1등(3명) 효충장의적의협력선무공신 (效忠仗義迪毅協力宣武功臣) 이순신, 권율, 원균 2등(5명) 효충장의협력선무공신 (效忠仗義協力宣武功臣) 신점, 권응수, 김시민, 이정암, 이억기 3등(10명) 효충장의선무공신 (效忠仗義宣武功臣) 정기원(鄭期遠)·권협(權悏)· 유사원(柳思瑗)·고언백(高彦伯)·이광악(李光岳)·조경(趙儆)· 권준(權俊)·이순신(李純信)· 기효근(奇..

임진왜란의 판도를 바꾼 전적지 웅치와 이치

임진왜란 판을 바꿨다, 영화 '한산'에 나오는 이 고개 스무 고개, 수많은 이야기 〈19〉 웅치·이치 웅치(熊峙)는 어디인가. 웅치는 725만 관객을 모은 영화 ‘한산 : 용의 출현’에 나온다. 임진왜란 때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고개다. ‘육지의 한산대첩’으로 불린다. 웅치는 호남을 지킨 임진왜란의 성지(聖地)다. 원불교 성지도 근처에 품은 웅치는 이제는 트레킹과 라이딩·드라이빙의 성지가 됐다. * 웅치는 전북 완주군과 진안군을 잇는 고개다. 사진 앞 능선을 가로지로는 고개는 덕봉길로 옛 웅치라고도 부르며, 뒤의 익산-포항고속도로가 보이는 곳에는 현재의 웅치, 즉 곰티재가 있다. 역사학자들은 덕봉길을 임진왜란 웅치전투의 주 전투지로 보고 있다. 김홍준 기자 # 정여립 사건 탓 전북 의병 활동 위축 “어..

삼포왜란

삼포왜란 삼포(三浦) * 조선 전기 일본인들의 왕래와 거주를 허가하였던 동남 해안의 세 포구(浦口). - 부산포(釜山浦, 또는 富山浦), 제포(薺浦, 또는 乃而浦), 염포(鹽浦) * 지금의 부산진(釜山鎭)에 해당하는 동래의 부산포(釜山浦, 또는 富山浦), 지금의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제덕동(괴정마을)에 해당하는 웅천(熊川)의 제포(薺浦, 또는 乃而浦), 지금의 경상남도 방어진과 장생포 사이에 해당하는 울산(蔚山)의 염포(鹽浦)를 말한다. - 제포(薺浦)와 내이포(乃而浦)는 같은 곳(지금의 창원시 진해구 제덕동 괴정마을)으로서, 내이포의 ‘내이’는 냉이를 가리킨다. 냉이를 한약재로 쓸 때 명칭이 제채(薺菜)라서, 내이포(냉이포)를 제포(薺浦)라고도 한 것이다. 1510년(중종 5) 삼포왜란(三浦倭..

신라 왕 계보 중 성씨 변경에 관해

신라 왕 계보 중 성씨 변경에 관해 * 유리이사금(박씨)-탈해이사금(석씨)-파사이사금(박씨) - 가계 : 유리는 남해차차웅의 아들. 탈해는 외래계(다파나국 출신)로 남해차차웅의 사위. 파사는 유리의 아들 - 유리와 탈해 사이에 잇금 경쟁. 탈해는 유리의 유언에 의해, 파사는 일성보다 총명해서(?) - 해석 : 탈해 세력(철기)의 일시적 집권 후, 다시 구 세력(박씨)의 회복. * 아달라이사금(박씨)-벌휴이사금(석씨) - 가계 : 아달라는 일성의 아들. 벌휴는 탈해의 손자. 아달라의 왕비(내례부인)가 이매(벌휴의 아들)의 부인이 됨(내해 이사금의 생모) - 아달라와 벌휴의 세력 다툼에서 벌휴가 승리하고, 귀족회의에서 추대됨. * 첨해이사금(석씨)-미추이사금(김씨)-유례이사금(석씨) - 가계 : 첨해는 조분..

김구가 태극기에 남긴 143자... 그 절절한 당부

김구가 태극기에 남긴 143자... 그 절절한 당부 [한국의 유물유적] 보물로 지정된 3점의 태극기... 데니·진관사·김구서명문 태극기 ▲ 현존하는 태극기 중에서 가장 오래된 데니 태극기. 고종이 외교 고문이었던 오웬 니커슨 데니(Owen Nickerson Denny 1838~1900)에게 하사한 것이다. 한 나라의 국기(國旗)는 그 나라의 뿌리와 정체성을 나타내는 상징물로 국민의 정신과 주권을 대표하는 표상이다. 따라서 국기에는 국가의 권위와 존엄이 담겨 있고 이를 통해 그 나라의 역사와 전통을 이해할 수 있다. 밝음과 평화, 순수를 상징하는 흰색 바탕. 음과 양의 기운이 담긴 파랑과 빨강의 태극 문양. 사방 모서리에 새겨진 하늘·땅·물·불·을 의미하는 건(乾)곤(坤)감(坎)리(離)의 검은색 4괘. 대..

신라의 전성기를 이끈 명장, 이사부와 거칠부

신라의 전성기를 이끈 명장, 이사부와 거칠부 이사부(異斯夫) 이사부(異斯夫, 생몰년 미상) 또는 태종(苔宗)은 신라 지증왕 ~ 진흥왕 시대의 장군 · 정치가로, 내물 마립간의 4세손이다. 《일본서기》에는 실제 이름 발음으로 이질부례지간기(伊叱夫禮智干岐) 또는 이질부례지나말(伊叱夫禮知奈末)로 소개되어 있다. 《삼국유사》이후에는 풍습에 따라 단성으로 박(朴)씨로 기록되었으며, 이름은 이종(伊宗)이라 나타난다. 박문영이 작곡·작사한 대한민국의 대중 가요인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과 〈독도는 우리 땅〉에 등장한다. 독도 인근의 해산인 이사부해산에 그의 이름이 붙었으며 강원도 삼척시의 '이사부길', 경상북도 울릉군 독도의 '독도이사부길'에도 그의 이름이 붙었다. 이사부(異斯夫) 생애 : 미상 시대 : 신..

신라의 역대 왕비

신라의 역대 왕비 1. 개요 2. 역대 왕비 3. 추존왕의 비 4. 여담 1. 개요 신라의 역대 왕비 목록을 서술하는 문서. 공주이자 왕비였던 경우는 ☆을 표시한다. 2. 역대 왕비 군주 시호·이름 출생 사망 아버지(본관) 어머니(생모) 비고 박씨 이사금조 : 8대 241년[1] 혁거세거서간 赫居世居西干 알영부인 박씨 閼英夫人 B.C. 53 ? 계룡 선도성모 오릉 배향 난생설화 남해 차차웅 南解次次雄 운제부인 雲帝夫人 ? ? - - 유리 이사금, 아효부인의 모후 유리 이사금 儒理尼師今 이리생부인 伊利生夫人 ? ? 일지 갈문왕 - 일성 이사금의 모후 김씨 ? ? 사요왕 - 파사 이사금의 모후 탈해 이사금 脫解尼師今 아효부인 박씨[2] 阿孝夫人☆ ? ? 남해 차차웅 운제부인 파사 이사금 婆娑尼師今 사성부인 ..

신라 왕사 및 왕의 계보

신라 왕사 및 왕의 계보 신라 왕조 新羅王朝 기원전 57년 ~ 935년 신라의 군기 천마총 천마도 국성 밀양 박씨, 경주 석씨, 경주 김씨 창건자 시조 거서간 (BC 57 ~ AD 4) 마지막 군주 경순왕 (927 ~ 936) 국호 사로국, 신라, 계림 (BC 57년 ~ 503년) 신라 (503년 ~ 935년) 군주 직함 거서간 (BC 57 ~ AD 4) 차차웅 (4 ~ 24) 이사금 (24 ~ 356) 마립간 (356 ~ 503) 대왕 (503 ~ 935) 통치 국가 신라 (BC 57 ~ 935) 1. 개요2. 역대 군주 2.1. 추존왕 3. 계보 3.1. 사료의 연대에 대한 여러 견해3.2. 상고 시대3.3. 성골 왕실(중고)3.4. 무열왕계 왕실(중대)3.5. 원성왕계 왕실(하대) 4. 금석문이나 ..

갈문왕, 그리고 천전리 각석과 사부지갈문왕

갈문왕(葛文王) * 허루(許婁)갈문왕 : 파사이사금의 장인. * 마제(摩帝)갈문왕 : 지마이사금의 장인 * 일지(日知)갈문왕 : 일성 이사금의 외조부. * 아도갈문왕 : 파사 이사금의 손자 * 내음(奈音)갈문왕 : 조분이사금의 장인(유례이사금의 외조부) * 골정(骨正)갈문왕(=홀쟁갈문왕)=세신(世神)갈문왕 : 조분이사금과 첨해이사금의 아버지. * 구도갈문왕 : 미추이사금의 아버지 * 이칠(伊柒)갈문왕 : 미추 이사금의 장인 * 파호갈문왕 : 내물 마립간의 차남(복호). 자비 마립간의 장인 중 한 명. * 지도로(至都盧)갈문왕 : 지증왕. 왕(王)이라는 호칭 이전에 사탁부의 수장 자격으로 사용된 듯. * 습보(習寶)갈문왕 : 지증왕의 아버지, 소지마립간의 장인 * 사부지(徙夫智/ 徙夫知)갈문왕 =입종(立宗..

"우리들이 왕비를 죽였다" 日 외교관의 명성황후 암살 고백 서한 발견

"우리들이 왕비를 죽였다" 日 외교관의 명성황후 암살 고백 서한 발견 "생각 외로 너무 쉬워 놀랐다" 감상까지 * ‘을미사변’으로 불리는 명성황후 암살사건에 가담했던 일본 외교관이, 사건 다음 날 “우리들이 왕비를 죽였다”며, 시해 정황을 자세하게 적어 보낸 서한이 발견됐다고, 아사히신문이 16일 보도했다. 아사히신문 촬영 ‘을미사변’으로 불리는 명성황후 암살사건에 가담했던 일본 외교관이, 사건 다음 날 “우리들이 왕비를 죽였다”며, 시해 정황을 자세하게 밝힌 서한이 발견됐다고, 아사히신문이 16일 보도했다. 역사가들은 “사건의 상세한 내용을 밝히는 중요한 1차 사료”라고 평가한다. 보도에 따르면, 서한은 암살 실행 그룹의 일원이었던 현지 영사관보 호리구치 구마이치(堀口九万一·1865~1945)가,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