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문화재

무령왕릉 발굴 50주년 특별전, 국보 17점 등 5천여점 전체 전시

道雨 2021. 9. 13. 15:58

역대 가장 무거운 금귀걸이, 무령왕비 살아생전 차던 은팔찌..

 

무령왕릉 발굴 50주년 특별전
국보 17점 등 5천여점 전체 전시
공주박물관에서 내년 3월초까지

 

* 무게 각 53.4g, 54.7g의 무령왕릉 금귀걸이는 국내에서 발견된 금귀걸이 중 가장 무겁다. 국립공주박물관은 무령왕릉 발굴 50주년 특별전을 14일부터 내년 3월 6일까지 연다. 국립공주박물관

 


얇게 편 금으로 만든 나뭇잎 모양이 수없이 달려있고, 가운데 기둥에는 금 알갱이를 하나하나 박았다. 재질도 거의 순금에 가깝다. 고리 장식 끝에는 구부러진 옥(곡옥)을 달았다. 신라 금관에서도 보이는 형태다.

왼쪽 54.7g, 오른쪽 53.4g의 이 금귀걸이는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역대 금귀걸이 중 가장 무겁다. 금이 가장 많이 들어간 것이라고 할 수 있는 금귀걸이다.

발굴 50년 무령왕릉 특별전… 5232점 전체 한 자리

 

* 국보 진묘수. 무령왕릉 입구에서 발견된 '진묘수'는 입에 붉은 칠(나쁜 기운을 쫓음), 발에 녹색 채색(무덤을 지킴), 몸통에 날개문양(망자를 좋은 세상으로 안내함) 등이 특징이다. 무령왕릉의 벽돌 구조를 차용해온 중국 남조에서 '진묘수'를 썼지만, 사진의 돼지와 비슷한 형상이 아니라 물소, 악어 형상이 많았다. 돼지는 무령왕릉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형상이다. 사진 국립공주박물관

 


‘무령왕릉 발굴 50주년 기념 특별전’이 14일부터 내년 3월 6일까지 국립공주박물관에서 열린다. 그간 특별전 등으로 일부 유물 공개는 종종 해왔지만,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유물 전체를 한자리에서 공개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전시에는 무령왕릉의 존재를 알린 '지석', 무령왕릉을 둘러싸고 있던 연꽃무늬 벽돌을 비롯해 출토 유물 5232점 전체를 전시한다.

올해는 무령왕릉 발굴 50주년이 되는 해다. 무령왕릉은 지난 1971년 공주 송산리고분군(현 무령왕릉과 왕릉원) 일대 배수로 공사 도중 벽돌 문이 드러나면서 발견됐다. 무덤 입구 안쪽에 놓인 ‘지석’(국보 163호)에는 '영동대장군 백제 사마왕' '계묘년(523년) 사망' 등 무덤 주인의 신분과 출생, 재위, 사망 연도가 자세히 적혀있었다. 2박 3일에 걸쳐 수습이 끝난 무령왕릉에서는 국보 17점을 비롯해 수천점의 유물이 쏟아졌다.

 

* 무령왕릉 묘지석. 무덤의 주인(무령왕)과 사망연도가 적혀있다. '송산리 고분군'으로만 알려졌던 공주 일대 고분군이 백제 무령왕의 무덤이었다는 사실을 알려준 가장 뚜렷한 자료다. 사진 국립공주박물관

 

딱 11일만 볼 수 있는 '무령왕릉 목침'

 

* 국립공주박물관 측은 이번에 공개되는 '받침있는 은잔'이 '백제 금동대향로만큼 의미있다'고 분석한다. 잔과 받침에 그려진 각종 문양이 백제 시대 종교와 사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 국립공주박물관

 


그중 '받침있는 은잔'은 동으로 만든 받침 위에 은으로 만든 잔과 뚜껑, 금장식이 특징이다. 국립공주박물관 최장열 학예연구실장은 "무령왕릉 내에서도 왕비 쪽에서 발견된 유물로, 용·비익조·산 등 다양한 문양이 받침·잔·뚜껑에 빼곡히 새겨져 있어 이 시기 백제의 종교와 사상에 대한 내용을 많이 담고 있는 귀한 사료"라며 "널리 알려진 백제 금동대향로만큼 의미 있는 유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 왕의 베개(오른쪽)와 발받침은 올해 처음으로 실물을 공개한다. 왕의 물품에는 왕비의 것에는 없는, 금으로 만든 꽃모양 꾸미개가 빼곡히 붙어있다. 국립공주박물관

 


왕의 나무 두침(베개)와 발받침도 지금껏 한 번도 공개하지 않았던 실물을 전시한다. 왕비의 베개와 발받침은 10년 전 무령왕릉 발굴 40주년 전시에 실물이 공개된 적이 있지만, 왕의 베개와 발받침은 처음 대중에 선보이는 유물이다. 그동안에는 복제품을 전시해왔다. 최 실장은 "왕의 베개·발받침은 상태가 좋지 않아 수장고에서 빛을 가린 채 고이 보관만 해오던 것"이라며 "이번 전시에서도 14일부터 26일까지 첫 11일간 공개 후 복제품으로 전시하는 방향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날개달린 화형 금꾸미개. 무령왕릉에서 수습해온 바닥 흙에서 금과 은, 청동으로 된 꾸미개가 수없이 발견됐다. 얆게 편 금으로 꽃 모양을 만들고, 매달 수 있는 고리를 꼬아 걸었다. 천 등에 바느질을 할 수 있게 작은 구멍도 뚫려있어, 백제의 금속 세공 기술을 보여주는 한 단편이다. 최장열 학예연구실장은

 

왕비가 차던 은팔찌, 무령왕릉 만든 연꽃벽돌도

 

* 무령왕릉비가 살아있을때부터 찼을 것으로 추정되는 은팔찌. 팔찌 안쪽에 만든 사람과 일자가 새겨져있다. 사진 국립공주박물관

 


왕비 쪽에서 발견된 은팔찌에는 안쪽에 '정자년에 대부인을 위해서 '다리'라는 사람이 팔찌를 만들었는데, 230수(동전의 무게를 나타내는 단위로 추정)의 은이 들어갔다'는 내용이 정확히 새겨져 있다. 최 실장은 "왕비가 526년에 사망했는데, 정자년은 520년에 해당한다"며 "장례를 위해 만든 게 아니라 생전에 찼던 팔찌를 채워서 묻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백제시대에 제작되어 사용된 연꽃무늬 벽돌. 사진 국립공주박물관

 


이번 전시에서는 무령왕릉 입구에서 강렬한 첫인상을 줬던 연꽃무늬 벽돌도 볼 수 있다. 공주 일대 벽돌무덤 3곳 중 교촌리 고분군과 무령왕릉만 벽돌무덤인데, 교촌리 고분은 동전 모양 벽돌을 사용했다. 연꽃무늬 벽돌은 무령왕릉에서만 발견됐다. 백제 시대 불교 문화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송산리 고분군'→'무령왕릉원' 이름 변경

 

* 백제는 금을 얇고 섬세하게 가공하는 기술이 탁월했다. 왕이 사용했던 금 관꾸미개. 검정색 비단 모자에 아래쪽 뾰족한 침을 꽂아 고정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사진 국립공주박물관


'송산리 고분군'으로 불리던 무령왕릉 일대는 오는 17일부터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으로 정식 명칭이 바뀔 예정이다. '능'은 왕실의 묘에만 붙는 특별한 호칭이다. 문화재청은 "백제 왕실의 무덤, 특히 무령왕의 무덤인 사실이 확실히 밝혀져 '무령왕릉' 이름을 포함해 사적 명칭을 바꾸는 것"이라며 "일반 국민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고, 왕릉급 무덤임을 명확히 해 역사적·문화재적 위상을 세우는 취지도 있다"고 설명했다.

 

 

김정연 기자 kim.jeongyeo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