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문화재

[스크랩] 안동 보광사서 쏟아진 국내 최고(最古)급 유물

道雨 2007. 7. 16. 23:16

천년전 고려인쇄물 보협인경 발견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상 복장

 

13세기 목조 불상..저고리도 수습

현재까지 알려진 목조불상 중 제작 연대가 가장 빠른 축에 속하는 13세기 불상이 확인되고, 그 복장(腹藏)에서는 꼭 천년 전인 1007년(고려 목종 10년)에 목판으로 찍어낸 불교 조탑경전(造塔經典)인 보협인다라니경(이하 보협인경)이 발견됐다.

문화재청과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산하 문화유산발굴조사단(단장 범하스님)은 불교문화재 일제조사 사업 일환으로 경북 안동시 도산면 보광사(주지 자명스님)를 조사하다가 13세기 목조관음보살좌상을 발견했다고 16일 밝혔다.

나아가 이 불상 복장에서 1007년 개성 총지사에서 간행한 보협인경을 비롯한 인쇄기술사 자료와 저고리 등 유물을 수습했다고 덧붙였다.

이 목조관음보살좌상은 현존 국내 최고 목조불상 중 하나로 꼽힐 정도로 제작 연대가 빨라 고려 불교조각사 연구의 획기적 자료가 될 전망이다.

복장 유물 중 탑을 세우면 복을 받는다는 내용을 설파하는 이른바 조탑경전 일종인 보협인경은 장정(裝訂)을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고려초기
목판인쇄 방식의 일면을 잘 보여준다고 조사단은 말했다.

이 보협인경 권수(첫머리)에는 '고려국총지사주진염광제대사석홍철경조보협인경판인시보안불탑중공양시통화이십오년정미세기'(高麗國摠持寺主眞念廣濟大師釋弘哲敬造寶협印經板印施普安佛塔中供養時統和二十五年丁未歲記)라고 하는 조성자와 간기(刊記)를 담은 문구가 확인됐다.

총지사(摠持寺) 주지인 진염(眞念) 광제대사(廣濟大師) 홍철(釋弘哲)이 보협인경을 조조(雕造.나무에 새김)해 인시(印施.인출)하고 불탑(佛塔) 속에다가 봉안했다는 뜻이다. 찍은 시기로 거론한 통화(統和) 25년 정미(丁未)는 고려 목종(穆宗) 재위 10년(1007)이다.

이런 총지사본 보협인경은
월정사 석탑 출토품이 현재 보존처리 중이며, 이 외에도 일본 도쿄박물관 소장 오구라컬렉션과 국내 개인 소장품(현재는 소장처 불명)이 있으나 실물은 극히 희귀하다. 나아가 최근에는 목판본이 아닌 필사본 보협인경이 1966년 수습된 석가탑 유물에서 확인된 바 있다.

복장 유물에서는 이 외에도 평양에서 선사 사원(思遠)이 교정하여 간행했다는 '범서총지집'과 '
금강반야바라밀경', '범자다라니' 등 고려시대 인쇄기술을 보여주는 더 많은 자료가 발견됐다.

함께 발견된 저고리 1점은 꼬깃꼬깃하게 접어 넣어 심한 구김이 있으나 거의 완전한 형태를 갖춘 홑으로 된 적삼이라고 조사단은 덧붙였다.

이 저고리는 견사(絹紗)로 직조한 라(羅)가 재료이며 감촉이 부드럽다. 라(羅)는 고려시대 직물인 문수사 불복장직물과 1302년 불복장직물(
온양민속박물관 소장)에서 발견된 바는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다른 견직물에 비해 실물이 보고된 사례가 많지 않다.

이들 복장유물은 조사와 함께 응급조치 후 불교중앙박물관 수장고로 옮겨져 보관 중이다.

 

****************************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2007.7.16>

 

 

 

 안동 보광사서 쏟아진 국내 최고(最古)급 유물

 



보광사목조관음보살좌상

 

 



비단적삼



범서총지집

 

 

기록이 남아있지 않는 이상 불상의 제작연대는 파악하기 곤란하다. 제작양식을 통해 대략적인 추정만이 가능할 뿐이다.

특히 목조불상의 경우 일반인은 목조불상인지조차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표면에 금칠을 해 화려하게 장식하고 금칠이 벗겨지면 다시 개금(改金)하기 때문이다.

경북 안동
보광사의 목조관음보살좌상(木造觀音菩薩坐像) 역시 오랜 세월 일반에 공개됐지만 누구도 주목하지 않았다.

그러나 5월 말 문화재청과 조계종 산하 문화유산발굴조사단이 보광사를 조사하던 중 보살상을 움직이자 '정원신역
화엄경소', '소전동', '인본다라니' 등의 유물이 쏟아졌다.

평범한 목조보살상으로 생각했던 곳에서 고려시대 인쇄물이 나온 것이다. 문화재청과 조계종 문화유산발굴단이 합동조사를 실시했고 한 달여 뒤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은 1천년의 신비를 간직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단은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자체가 국내 최고(最古)급 목조보살상임을 밝혀냈다.

현재 국내 최고 목조 불상으로 추정되는 것은 안동
봉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1199년 제작 추정)이며 두번째가 1280년에 보수한 기록이 있는 서산 개심사 목조아미타불좌상이다.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은 안동 봉정사 보살좌상과 모든 면에서 유사하다. 그러나 양감이 강조된 이국적인 얼굴 모습, 당당한 신체와 간략화된 무릎 주름 등은 서산 개심사 아미타불좌상과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손영문 문화재 전문위원은 "봉정사 보살좌상과 개심사 아미타불좌상 사이에 제작됐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우연한 기회에 국내에서 두번째 혹은 그보다 더 오래 됐을지도 모를 최고(最古)급 불상이 발견된 셈이다.

보광사 보살좌상에서 발견된 인쇄물 가운데 '일체여래심비밀전신사리보협인다라니경(一切如來心秘蜜全身舍利寶<人+莢>印陀羅尼經. 이하 보협인다라니경) 역시
직지심체요절에 이은 국내에서 두번째로 오래된 목판 인쇄물인 개성 총지사본으로 밝혀졌다.

정확히 1천년 전인 1007년 개성 총지사에서 간행한 목판본 보협인다라니경은 고려시대 조탑경전(造塔經傳. 탑을 세울 때 탑 내부에 넣는 경전)으로 널리 쓰였다.

현재 일본 도쿄박물관이 총지사본 1점을 소장하고 있으며 국내에는 현재 보존처리 중인
월정사 석탑 출토본과 고(故) 김완섭 소장본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김완섭 소장본은 현재 행방불명이다.

또 불국사
석가탑에서 목판본이 아닌 필사본 보협인다라니경이 목판본 무구정광대다라니경 함께 발견된 바 있다. 이는 고려시대 들어 조탑경전이 무구정광다라니경에서 보협인다라니경으로 바뀌는 양상을 한 눈에 보여주는 사례로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유물 가운데 또 하나 눈에 띄는 것은 '정원신역화엄경소 권6(貞元新譯花嚴經<流자에서 水변 대신 足> 卷六)'이다.

화엄경은 동진의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가 번역한 구역 화엄경 34품 60권짜리와 당나라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 신역 화엄경 39품 80권짜리, 당나라 반야(般若)가 번역한 정원본 1품 40권 짜리 등 3종류가 있다.

정원신역화엄경소는 정원본 화엄경에 대한 연구 논문을 엮어 간행한 일종의 논문집(교장ㆍ敎藏)으로 편찬자는 대각국사 의천이다. 즉 화엄경소에는 의천이 화엄경을 이해한 요체가 고스란히 담겨있는 셈이다.

의천의 화엄경소 가운데 신역 화엄경소는 일본 도다이사(東大寺)에 보관돼 있으며 정원본소는 일본 다이도큐기념문고(大東急記念文庫)가 제10권만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는 동국대 박물관이 정원본 화엄경소의 간기(간행기록)만을 소장하고 있으나 그마저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번각한 복사본이다.

이번에 발견된 화엄경소는 모두 10권으로 된 정원본소 가운데 제6권의 11장 한 장 뿐이지만 의천의 교장 원본이라는 점에서 간기와는 비교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다이도쿄기념문고의 제10권 말미에 기록된 '수창원년을해고려국대흥왕사봉선조조(壽昌元年乙亥高麗國大興王寺奉宣雕造)'라는 문구에서 고려
헌종1년(1095) 교장도감에서 판각된 판본임을 알 수 있으며 정교한 판각과 깨끗한 인쇄상태는 고도로 발달한 고려 인쇄문화를 입증한다.

****************************** <서울=연합뉴스) 김승욱 기자 2007.7.16>

 

***************************************

 

 

천년 전 불상 속 다라니경 발견

 

 금강반야바라밀경장엄정토분(왼쪽)과 범자다라니

 

지금까지 알려진 목조불상 중 제작 연대가 가장 이른 축에 속하는 13세기 불상이 확인되고, 그 안에서는 꼭 1000년 전인 1007년(고려 목종 10년)에 목판으로 찍어낸 불교 조탑경전인 '보협인다라니경'이 발견됐다.

문화재청과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산하 문화유산발굴조사단(단장 범하 스님)은 16일 불교문화재 일제조사 사업 일환으로 경북 안동시 도산면 보광사(주지 자명 스님)를 조사하다가 13세기 목조관음보살좌상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조사단은 이어 이 불상 복장(腹臟)에서 1007년 개성 총지사에서 간행한 보협인다라니경을 비롯한 인쇄기술사 자료와 저고리 등 유물을 수습했으며, 특히 보협인다라니경은 그 자체로 대단히 희소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장정(裝訂)을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고려 초기 목판인쇄 방식의 일면을 잘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마치 윤전기에서 출력되어 아직 제본하지 않은 상태에 비유할 수 있어 당시 인쇄기술을 잘 보여주는 자료"라는 게 문화재청의 설명이다

 

목조관음보살좌상 역시 현존 국내 최고 목조불상 중 하나로 꼽힐 정도로 제작 연대가 이르고, X선 검사를 통해 확인된 보관의 화려한 장식은 당시 금속공예기술의 높은 성취도를 보여주고 있어 주목된다.

이번에 발견된 보협인다라니경은 가로 32㎝, 세로 45㎝로 인쇄된 것으로, 본래 인쇄 후 잘라 연결해 권자본(卷子本)이나 첩장(帖裝)의 형태로 만드는 것이 보통이나 복장(伏藏)을 목적으로 그러한 과정을 생략한 채 인출된 것이라고 조사단은 설명했다.

이 보협인다라니경의 권수(첫머리)에는 "총지사(摠持寺) 주지인 진염(眞念) 광제대사(廣濟大師) 석홍철(釋弘哲)이 보협인경을 조조(雕造ㆍ나무에 새김)해 인시(印施ㆍ인출)하고 불탑(佛塔) 속에 봉안했다"는 내용을 담은 조성자와 간기(刊記)가 적혀 있다. 찍은 시기로 거론한 통화(統和) 25년 정미(丁未)는 고려 목종(穆宗) 재위 10년(1007)이다.

****************************** <매일경제/노현 기자 2007.7.16>

 

****************************************

 

보협인다라니경이란?

 

 

 

또 하나의 보협인다라니경 실물이 출현했다. 경북 안동시 도산면 보광사 본존불인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 유물 중 하나로 이 경전이 나타난 것이다.

약칭 보협인경이라고 하는 이 경전은 정식 명칭이 '일체여래심비밀전신사리보협인다라니경(一切如來心秘密全身舍利寶협印陀羅尼經)이다. 풀이하면 모든 부처님의 마음속에 지닌 비밀스런 사리의 보물 상자라는 뜻이다. 간단히 말해 보협인다라니가 부처님 진신사리를 담은 보물 상자라는 의미다.

이 보협인경이 한반도에 출현한 가장 빠른 형태는 고려 목종(穆宗) 10년(1007) 개성 총지사(摠持寺) 간행본이며 그 뿌리는 많은 이가 지적하듯이 중국 오월(吳越)에서 찾을 수 있다.

즉, 오월국 마지막 충의왕 전홍숙(錢弘淑)은 인도의 아소카왕이 부처 진신사리를 8만4천기의 탑에 나누어 봉안했다는 고사를 본떠 금ㆍ동ㆍ철 등의 재료로 한 소탑 8만4천기를 만들고 그 속에 각각 보협인경을 안치했다 한다.

고려에서도 그 영향 아래 총지사본 보협인경을 간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경전을 안치한 탑을 보협인탑이라 하는데 그 형식은 매우 독특하다. 국내에서 이런 탑으로는 유일하게 동국대박물관 소장품이 국보 209호로 지정되어 있다.

총지사 간행 보협인경 국내 실물로는 고 김완섭씨 소장품이 있었으나 현재는 행방불명된 상태다. 이와 같은 판본이 일본 도쿄국립물관 오구라 컬렉션에 있다.

이들 고려 간행 총지사본을 전홍숙이 956년과 975년에 간행한 목판본과 형태가 비슷하다 해서 그것을 수입해 고려에서 번각(飜刻)했다고 여기는 사람이 있으나 불교서지학자인 박상국 문화재위원은 전혀 다르다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오월국 판본을 총지사본과 비교할 때 본문 글씨나 변상도 등의 구도나 판각 기법은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수준이 뒤진다. 따라서 총지사본은 오월국에서 유행한 판본을 모본으로 하되 그 면모를 일신시킨 새로운 판본이라는 것이다.

이 보협인경 간행본을 통해 11세기 초에 고려의 목판인쇄술이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고, 이는 결국 1011년에 시작된 초조대장경 조조라는 거대한 사업을 성취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다고 평가된다.

보협인경은 대략 다음과 같은 이야기로 시작한다.

부처님께서 마가다국 무구원보광명지에서 제자들에게 둘러싸여 설법하고 계셨는데, 대중 가운데 무구묘광이라는 바라문이 부처님과 대중들을 아침 공양에 초청했다. 부처께서 제자들과 그 집으로 가던 도중에 오래되어 무너져가는 형체를 알아볼 수 없는 탑이 있었는데, 부서지고 붕괴되어 엎어져 가시덤불에 묻혀있고 여러 가지 나무와 풀이 무성하여 그 돌 부스러기들을 가려 주어 형상이 흙무더기 같았다.

부처님께서 탑으로 가니 탑 위에서 큰 광명이 비추고 흙무더기 속에서 소리를 내어 찬탄했다. 그 때 부처께서 오른쪽으로 세 번 돌고 웃옷을 벗어 그 위를 덮으시고 눈물을 줄줄 흘리시자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 함께 우시고 광명을 놓으시며 이 탑을 비추었다.

이 때
금강수보살이 "무슨 인연으로 광명이 나타나고 무엇 때문에 눈물을 흘리십니까" 하고 질문한 것을 시작으로 보협인경은 본격적인 조탑공덕을 설파한다.

경전에 의하면 탑은 여래의 진신사리가 있는 곳으로 보협인다라니를 쓰거나 독송하거나 몸에 지니거나 공양을 올리면 무량한 공덕이 있어 모든 나쁜 재앙을 물리치며, 모든 부처님의 신력으로 가호를 받게 된다.

보협인경이 탑을 쌓는 데 주로 사용된 까닭은 바로 이런 내용에서 말미암는다.

***************************************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높이 111㎝, 무릎 너비 70.5㎝ 크기의 목조관음보살좌상은 그간 학계에는 알려져 있지 않던 목조불상으로 비교적 연대가 오래된 편에 속한다.

신라 금관을 연상시키는 화려한 보관에 섬세하고 아름다운 장식을 한 보살상으로 수인은 설법인을 취하고 있다. 손영문 문화재 전문위원은 “당당하고 균형잡힌 신체와 탄력있는 옷주름, 영락장식 등 품격 높은 고려 불교문화의 단면을 보여주는 불상으로 13세기 고려불교조각사 연구의 공백을 메워줄 것으로 기대된다”.

 

 

보협인다라니경을 비롯, 인쇄물 9종과 비단 적삼 1점을 수습했다. 보협인다라니경은 32×45㎝ 크기의 종이에 세로로 길게 인쇄돼 있으며 총 23장이 수습됐다. 특히 보협인다라니경은 장정을 거치기 전 목판인쇄 직후의 상태로 구겨져 있다. 본디 다라니경은 인쇄를 한 후 잘라서 연결해 두루마리 형식의 권자본이나 인쇄된 종이를 병풍처럼 접어 앞뒤에 표지를 붙이는 첩장의 형태로 만들지만 그러한 장정과정이 생략된 것으로 보아 조사단은 불상 안에 넣어두기 위한 목적으로 인쇄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보협인다라니경 첫 부분에는 ‘고려국총지사 주진염광제대사석홍철 경조보협인경판인시보안불탑중공양 시통화이십오년정미세기(高麗國摠持寺主眞念廣濟大師釋弘哲敬造寶협印經板印施普安佛塔中供養時統和二十五年丁未歲記)’라는 명문이 있어 조성자와 간행 연대가 함께 기록돼있다. 총지사 주지 진염 광제대사 홍철이 불탑 안에 봉안하기 위해 보협인다라니경을 통화 25년 정미년에 처음 찍었다는 뜻이다. 통화 25년 정미년은 고려목종 10년인 1007년에 해당한다.

서지학자인 서병패 문화재전문위원은 “먹색도 좋고 인쇄도 잘된 상태이며 변상도 역시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것으로 중국 오월국의 개보판(975년)과는 차이를 보인다”면서 “보협인다라니경으로는 가장 연대가 오래된 상태이며, 현재 일본
도쿄국립박물관에 소장된 권자본 보협인다라니경과 동일한 판본”이라고 설명했다. 서위원은 “5개 판을 위에서부터 차례로 찍어 장정하기 이전의 형태로 원형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며 서지학과 미술사, 불교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라고 평가했다.

보협인다라니경은 1077년 개성 총지사 간행본이 유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 도쿄박물관 외에 국내 개인이 1점 소장하고 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소재가 불분명하고 보존처리중인
오대산 월정사 석탑 출토본은 정밀조사를 거치지 않은 상태다. 때문에 보광사에서 수습된 보협인다라니경이 국내에서 유일본으로 판단된다.

 

 산스크리트어 진언이 수록된 ‘범서총지집(梵書摠持集)’은 1150년 개판된 것으로 추정되며 절첩본 형태로 된 ‘정원신역화엄경소’는 고려 헌종 때 교장도감에서 판각된 판본이다. 이와 함께 금강반야바라밀경, 백지묵서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 소전동(所詮童), 잡문, 범자다라니, 인본다라니 등 9종의 인쇄물이 출토됐다. 또 뒤집어넣은 비단적삼 1점이 출토돼 고려시대 복식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출처 : 토함산 솔이파리
글쓴이 : 솔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