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3대 시기(詩妓) 김부용의 사랑1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으로부터 약 150년 전에 뭇 사내의 가슴을 숯덩이로 만든 시기(詩妓) 김부용(金芙蓉)이라 해요.
고향은 평안도 성천이고요, 시명(詩名)은 운초(雲楚)여요.
저는 송도의 황진이(黃眞伊)와 부안의 이매창(李梅窓)과 함께 조선 시대를 통털어 시 잘 짓고 노래 잘 부르는 명기라고 세상에서 이야기해요.
사랑의 기쁨을 아세요?
어려서 부모님을 여읜 저는 하는 수 없이 어느 늙은 기생에게 몸을 의탁해 기생의 길을 걷게 되었어요. 겨우 제 나이 열 두 살 때지요.
재능이 총명하고 기예에 탁월했던 저는 시면 시, 노래면 노래, 춤이면 춤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할 만큼 높은 기량을 보였어요. 곧 천하의 명기로 소문나 술꾼들로 문전성시를 이루었어요. 얼굴까지 경국지색(傾國之色)을 빰 때릴 정도로 예뻐서 머리를 얹어 주겠다고 추근대는 한량들이 몇 트럭이나 되었지요. 저는 미모를 뽐내며 오만하지 않았고 오히려 저 때문에 사또의 수청을 놓쳐버린 다른 기생에게 미안한 마음까지 가졌어요.
하지만 부임하는 사또마다 저만 수청을 들라하니 동료 기생들의 시샘은 어쩔 수가 없었어요. 관청에 얽매인 가련한 신세이고, 또 사또의 사랑을 받아야만 먹고 사는 노류장화들이여요. 냉정한 세상이지요. 그래서 모두들 사또의 사랑을 받으려고 기를 쓰고 노력을 하지요. 그렇지만 저는 뭔지 마음이 허전하고 외롭기만 하였어요. 모두 지나가는 나그네들 뿐으로 제 몸뚱이만 탐하는 이리에 불과했어요. 진정코 제가 마음을 기댈 남자는 어디에도 없는 거여요.
그래요. 젊고 뜨거운 가슴을 꼭 껴안아 줄 내 낭군은 언제까지도 나타나지를 않을 지 몰라요. 인생을 한탄하기도 해 보았어요. 사랑은 인간의 의지와는 가장 동떨어진 먼 킬리만자로의 늙은 표범처럼 고독한 혼령의 투쟁이라 하지만은 가슴에 타오르는 ‘사랑하고픈 마음’을 정박시킬 남자는 어디에도 없었어요. 돛대도 없이 망망대해를 떠돌아 다니는 신세로 하루 하루를 안 운 날이 없어요.
차츰 나이까지 먹자 어떤 절박감이 다가 왔어요. 아마도 나만이 낙오되어 추락할 지 모른다는 본능적 직감에서 나온 반발음이었을 거여요. 속절없이 세월만 가는 것이 두렵기까지 했어요. 여자로 태어나 사랑도 없는 늙은 남자들의 노리개감으로 전락한 자신을 다시금 되돌아보았어요. 저의 이 고독과 절망감을 이해해 주실 거라고 믿어요.
마침내 기회가 왔어요. 열 아홉 살이 되었을 때지요. 새로 부임한 사또가 평양 감사에게 인사 차 가면서 저를 데려갔는데, 그곳에는 저의 마음을 꽁꽁 붙잡아 매는 멋있는 남자가 있었어요. 일찍이 시문을 통해 인품을 사모해 오던 분이었고 또 도골선풍형으로 인자한 분이였어요. 그런데 놀라지 마세요. 그 분은 평양 감사를 지낸던 김이양(金履陽, 1755~1845) 대감으로 그 때 대감의 연세는 자그만치 77세였어요. 19살의 꽃다운 저와 인생의 황혼기를 넘긴 노객이 서로 눈이 맞은 겁니다.
황당하고 기가 막히다고요? 만약 그렇게 생각하신다면 아마도 아름다운 사랑을 해보지 못한 분이거나 아니면 사랑에 대하여 모르는 분일거여요. 사랑은 절대로 객관적일 수는 없어요. 내 스스로 살아갈 인생을 선택하는 절대절명의 기회이니 타인이 관여할 몫도 아니지요. 사랑을 삶을 지탱하는 의미로 볼 때 제가 원하는 것은 추상적인 관념이 아니라 실체적인 욕구라고요. 따라서 사랑이 타인의 삶과 정신을 황폐화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랑에 따른 행위나 판단에 대하여 도덕과 이성을 들먹이며 옳다 그르다라고 말할 수는 없는 일이지요. 사랑은 도덕이나 냉철한 이성보다는 분명히 더 양심적이고 따뜻한 그 무엇이여요.
김 대감께서 저에게 말했어요. “아리따운 젊은 시인이 나 같은 노객을 상대할 수가 있겠는가?” 저는 단호하게 진심을 말했어요. “뜻이 같고 마음만 통한다면 연세가 무슨 상관이 있겠어요. 세상에는 삼십 객 노인도 있는 방면에 팔십 객 청춘도 있는 법입니다.” 저의 사랑의 고백이 어때요? 요즘도 돼먹지 못한 애 늙은이보다 젊잖고 패기있는 기혼 남자가 더 멋있는 경우도 많잖아요. 비록 제 낭군은 나이가 들어 남자 구실을 제대로 못했지만 그래도 시를 주고 받으며 마음을 맞추고 사니 사는 재미도 쏠쏠했어요. 모든 것이 그대로 멈추기를 바랬고, 세월만 짧게 느껴졌어요.
남자는 아름다운 배입니다. 여자를 아주 먼 곳으로 데리고 가 새로운 세상을 싫토록 구경시켜 주는 신기한 배여요. 김 대감과의 생활은 너무도 재미있고 행복했어요. 매일 사뿐사뿐 구름 위로 걸어다니는 기분이 들었어요. 그것은 제가 스스로 선택한 만족이며 또다른 자유였어요. 서로를 얽매지 않은 채 그가 있어 내 삶이 좀더 풍요로워질 수 있는, 정녕코 그건 자유였어요. 여자는 그가 있어야할 자리에 제대로 있을 때에 가장 커다란 행복을 느끼지요.
--- 다음으로 계속---
(사진: 천안 태화산에 있는 김부용의 묘) |
* 윗 글은 '고제희의 역사나들이'에서 옮겨온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