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3대 시기(詩妓) 김부용의 사랑2
그러나 꿈같은 세월은 덧없이 흘러가 우리는 이별의 기로에 섰어요.
임기가 차자 대감은 호조판서에 제수되어 한양으로 가야만 했어요.
어쩔 수 없는 지경에 이르자, 대감은 저를 기적(妓籍)에서 빼내 양인의 신분으로 만들어주더니 정식 부실(副室)로 삼았어요. 그리고는 곧 부르겠다는 약속만 남기고 떠나갔어요.
이별이란 누구에게나 눈물겹고 슬프지만 그 애탐은 전적으로 그가 겪은 사랑의 깊이에 좌우돼요. 사랑하면 욕심이 생겨 이별을 두려워하게 되지요. 사랑이 다가올 때도 한 인간의 보잘 것 없는 선택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다가오듯이 사랑을 보내야 할 때도 마찬가지잖아요. 만남과 이별은 하늘이 만드는 운명임으로 인간의 의지로는 어쩔 수가 없는 거여요. 그것은 생이 유한한 인간으로써 피할 수 없는 숙명이기도 하고요.
생이별을 한 저는 재회의 날만 손꼽아 기다리며 다시 외롭고도 그리운 나날을 보냈어요. 그러나 한 번 떠난 김 대감은 몇 달이 가도 소식이 없었어요. 아마도 중책을 수행하느냐 짬이 없었나 봐요. 그래도 멀리 있는 대감을 생각하면 때로는 보고도 싶고 때론 잊지나 않았나 의심도 들고 원망도 많이 했어요. 때로는 격한 슬픔에 밤을 뜬눈으로 지새운 적도 있어요. 피골이 상접하고 눈까지 휑하니 들어가 파릿파릿한 젊음이 일시에 삭아들어가는 기분이 들었어요.
그러나 곧 부르겠다던 약속은 해를 넘기고 시절이 바뀌어도 편지 한 장이 없었어요. 저는 더 이상 참을 수 없어 피를 토하는 듯한 애절한 시를 써서 대감에게 보냈어요. 그 시가 제가 남긴 가장 아름다운 ‘부용 상사곡’이란 보탑시이여요. 한 번 읽어보시면 제 심정을 잘 알 수 있을 거여요.
이별하옵니다
그립습니다
길은 멀고, 글월은 더디옵니다 생각은 님께 있으나 몸은 이 곳에 머뭅니다
비단 수건은 눈물에 젖었건만 가까이 모실 날은 기약이 없습니다
향각서 종소리 들려 오는 이 밤, 연광정에서 달이 떠오르는 이 때,
쓸쓸한 베개에 의지했다가 잔몽에 놀라 깨어 돌아오는 구름을 바라보니 멀리 떨어져 있음이 슬픕니다 만날 날 수심으로 날마다 손꼽아 기다리며, 새벽이면 정다운 글월 펴 들고 턱을 괴고 우옵니다 용모는 초췌해져 거울을 대하니 눈물 뿐이고
목소리도 흐느끼니 사람 기다리기가 이다지도 슬픕니다 은장도로 장을 끊어 죽는 일은 어렵지 않으나
비단신 끌며 먼 하늘 바라보니 의심도 많습니다 어제도 안 오시고 오늘도 안 오시니 낭군은 어찌 그리 신의가 없습니까
아침에도 멀리 바라보고 저녁에도 멀리 바라보니 첩만 홀로 속고 있는 것은 아닌가요 대동강이 평지가 된 뒤에나 말을 몰고 오시려 합니까
장림이 바다로 변한 뒤 노를 저어 배를 타고 오렵니까
이별은 많고 만남은 적으니 세상사를 누가 알 수 있으며
악연은 길고 호연은 짧으니 하늘의 뜻을 누가 알 수 있겠읍니까 운우무산에 행적이 끊기었으니 선녀의 꿈을 어느 여자와 즐기시나요
월하봉대에 피리 소리 끊기었으니 농옥의 정을 어떤 여자와 나누고 계십니까 잊고자해도 잊기가 어려워 억지로 부벽루에 오르니 안타깝게도 홍안만 늙어가고 생각치 말자해도 절로 생각나 몸을 모란봉에 의지하니 슬프도다 검은 머리 자꾸 쇠해가고
홀로 빈 방에 누우니 눈물이 비오듯하나 삼생의 가약이야 어찌 변할 수 있으며
혼자 잠자리에 누웠으나 검은 머리 파뿌리 된들 백 년 정심이야 어찌 바꿀 수 있으랴 낮잠을 깨어 창을 열고 화류계년을 맞아들여 즐기기도 했으나 모두 정 없는 나그네 뿐이고
베게를 밀고 향내 나는 옷으로 춤을 춰 보았으나 모두가 가증한 사내 뿐 입니다. 천리에 사람 기다리기 어렵고 사람 기다리기 이토록 어려우니 군자의 박정은 어찌 이다지도 심하십니까
삼시에 문을 나가 멀리 바라보니 문을 나가 바라보기 애처로운 천첩의 심정은 과연 어떠하겠읍니까 오직 바라옵건데 관인하신 대장부께서는 강을 건너 오셔서 구연의 촛불 아래 흔연히 대해 주시고
연약한 아녀자가 슬픔을 머금고 황천객이 되어 외로운 혼이 달 가운데서 길이 울지 않게 해 주옵소서
한 번 떠난 님을 생각하면 시름은 하염이 없었어요. 처마 밑에서 까치 울음 소리만 들려도 혹시나 하며 놀라 잠을 깨었어요. 그 때 한양에서 예조참판을 지내는 강순황 대감이 평양을 오셨어요. 그 분이 저를 만나자는 기별을 해 와 저는 행여나 대감의 소식이라도 듣고자 찾아갔지요. 그 분도 저에 대하여 많은 것을 알고 계셨고, 저 또한 마음은 솔깃했으나 어떻게 고무신을 꺼꾸로 신어요?
저는 이미 한 남자의 여자로 비록 연정과 미더움이 두 가슴에 남았다해도 헤어져야 할 인연이지요. 술상을 앞에 두고 저와 강 대감은 밤이 늦도록 인생의 덧없음과 애환을 이야기했을 뿐이여요. 기다리는 시간은 더디 오고 지나간 시간은 빨라 보이는 것이 인생이라고 하던가요. 사랑의 단절이 가져다 준 상실감은 모든 의욕을 잃게 만들었어요. 주렴이 봄 바람에 흔들여도 행여나 님이 온 것은 아닐까 싶어 깜짝 깜짝 놀라고, 해가 서산에 저물어도 아쉬워 사립문을 못 닫았어요.
아! 그런데 드디어 학수고대하던 대감이 저를 한양으로 불렀어요, 의심이 가시며 새 살이 돋는 기분이 들었어요. 우리는 남산 중턱에 신방을 차리고는 그곳을 ‘녹천당’이라 불렀어요. 김 대감은 친구 분들을 불러 함께 즐기며 놀았고, 친구분들도 저를 ‘초당마마’라 부르며 무척이나 아껴주었어요. 벼슬에서 물러난 대감은 과거에 급제한 지 60년이 되는 해에 회방 잔치를 벌렸어요. 그리고 대감은 저를 선영이 있는 천안 태화산으로 데리고 가 참배를 시켰어요. 정식으로 김씨 문중의 여자로 인정해 주셔 마음은 기쁘면서 뿌듯했어요.
아! 그런데 회자정리라고 했던가요. 만나면 반드시 헤어져야 하는 것이 인생인가 봐요. 김 대감은 92세의 천수를 누리고는 제 손을 꼭 잡은 채 눈을 감았어요. 그 때 제 나이는 33세 이었어요. 대감을 잃은 저는 일체 바깥 출입을 금하고는 오직 집안에 제단을 차려놓고서 대감의 극락왕생만을 빌었어요. 오직 즐거움이 있다면 꿈에서 대감을 만나 즐겁게 지내는 순간 뿐이었어요. 저 역시 죽음이 가까워지자 저는 유언을 남겼어요. “저를 대감이 계신 태화산에 묻어 주세요.” 대감의 후손들은 유언을 뿌리치지 않고서 저를 대감과 가까이 있는 곳에 묻어주었어요. 정말 고마운 일이지요.
저의 무덤은 화려하거나 위엄스럽지 않아요. 그저 생전의 제 모습처럼 소박하고 정갈하지요. 저는 찾아오는 손님을 위하여 사시사철 패랭이 꽃을 피워놓아요. 패랭이꽃은 화려하거나 추하지 않아 제가 제일로 좋아하는 꽃이여요.
태화산에는 광덕사가 있고, 그 경내로 들어서면 저의 무덤을 안내하는 표지판이 서 있어요. 저는 술을 팔던 기생이여요.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우울하거나 출출할 때면 부담없이 들려주세요. 기생의 집은 살아서나 죽어서나 변함없이 술집이니까요.
<사진: 운초 김부용의 무덤에 핀 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