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모음 (감동, 충격, 생각)

감동적인 네버엔딩 러브스토리 (휴머스턴 부부 실화)

道雨 2010. 4. 30. 14:42

 

 

 

                       네버엔딩 러브스토리

 

               3년의 열애, 3주일의 신혼

               그리고 60년의 긴 이별.

 

               아내는 세상을 떠나면서

               남편 옆에 묻히길 바랬지요.

 

               간호사 낸시 밀리센트 휴머스턴과

               6.25 한국전쟁 때

               전사한 남편 휴머스턴 대위.

 

               부산 남구 UN기념공원에서

               합장으로 재회한 부부의 러브스토리는

               영원히 계속될 것입니다.

 

 

 

 

 

 

 

  濠 휴머스턴 여사, 6·25 때 전사한 남편 곁 합장… 60년만에 안식

- 오늘(2010. 4. 14), 부산 유엔공원서 추모식

 



* 1995년 낸시 휴머스턴 여사가 부산 남구 대연동 유엔기념공원에 있는 남편의 묘소 앞에서 깊은 상념에 빠져 있다.

왼쪽은 남편 휴머스턴 대위. <사진 제공 낸시 휴머스턴 유족>



지난해 6월 22일 부산 남구 대연동 유엔기념공원으로 한 통의 편지가 왔다. 발신지는 주한 호주 대사관.

편지 내용은 이랬다.

“6·25전쟁 때 전사한 케네스 존 휴머스턴 대위가 유엔기념공원에 안장돼 있습니다. 2008년 숨진 그의 아내 낸시 휴머스턴 여사가 남편 곁에 묻히고 싶다고 유언을 했습니다.

유엔공원에서 허락해 주시기를 요청합니다.”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10월 3일, 경북 왜관 근처 낙동강 전투에서 제27영국연방여단 호주연대 3대대 소속 휴머스턴 대위(당시 34세)는 교전 도중 숨졌다. 사망 원인은 확인되지 않았다. 당시 낙동강과 경북 성주에는 호주군과 영국군이 투입돼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전우들은 대구 유엔군 전사자 가묘에 그의 시신을 안장했다. 이듬해 4월 그의 유해는 부산 남구 대연동 유엔공원으로 이장됐다.

사망확인서에 그의 군번은 3/37558, 키 170cm, 몸무게 63kg, 갈색 머리카락, 감리교 신자로 기록돼 있다. 눈동자 색은 확인할 수 없었다.

홀로 남은 휴머스턴 여사는 남편을 잊지 못했다. 한국을 지킨다는 대의를 위해 머나먼 이국땅에서 산화한 남편을 그리워하며 평생 홀로 지냈다. 자녀도 없었다.

2008년 10월 휴머스턴 여사도 91세로 생을 마감했다.

그녀는 숨지기 전 조카 테리 홈스 씨(61)에게 “내가 죽으면 유해를 한국에 있는 남편 묘소 곁에 뿌려다오. 이제 남편 곁에 있고 싶다”는 유언을 남겼다.

 

그녀의 유언은 실현됐다.

유족이 지난해 주한 호주대사관에 소식을 전한 뒤 유엔기념공원의 최종 허가를 받았다.

14일 오후 2시 유엔기념공원에서 영연방국가(영국,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참전용사와 유족 등이 참석한 가운데 유해 합장식과 추모식을 갖는다.

합장식을 4월로 한 것은 영연방군의 1951년 4월 가평지구 전투 승리를 기념해 매년 영연방 소속 노병들이 부산을 찾고 있기 때문.

* 6·25전쟁 기간 호주는 육군 3개 대대와 항공모함 1척을 포함한 해군 함정 11척, 3개 전투비행대대를 한국에 파견했다. 교체 병력을 포함해 총인원 1만7000여 명을 보낸 호주군의 전사자는 339명에 이른다. 이 중 281명이 유엔기념공원에 안장돼 있다.

 

**  한국전쟁 발발 불과 4일 후인 50년 6월 29일, 미국에 이어 두번째로 한국전 참전을 결정한 호주는 9월 28일, 2차 세계대전 승전국의 자격으로 일본에 주둔하고 있던 호주 육군 3개 대대를 부산항으로 보냈다. 한국전쟁에 참전한 호주의 병력과 피해 상황은 다음과 같다.

- 육군: 3개 대대 및 지원부대 1만657명
- 해군: 항공모함 1척, 구축함 2척 등 함정 11척  4507명
- 공군: 1개 전투기 대대 2000명
- 사망자 : 339명(281구는 부산 유엔묘지에 안장)
- 부상자 : 1216명
- 포로: 29명(휴전 후에 송환됐다)



 
 
 

** 낸시 밀리센트 휴머스턴

 

1947년 호주 간호사 낸시는 영연방군을 따라 패전국 일본에 왔다.

그녀는 호주 장교 케네스 존 휴머스턴과 사랑에 빠졌다. 3년 간의 열애 끝에 1950년 9월 결혼식을 올린 직후 남편은 6·25가 터진 한국으로 떠났다.

10월 3일 낸시에게 전보 한 통이 날아들었다.

'제27영연방여단 호주연대 3대대 휴머스턴 대위 낙동강 전투에서 전사.'

결혼 3주 만이었다.

휴머스턴 부부 얘기는 제니퍼 존스와 윌리엄 홀든의 '모정'(慕情·1955년)을 닮았다.

 

▶ 낸시는 호주로 돌아갔다가 다시 일본 근무를 자원했다.

슬픔에만 빠져 있는 건 남편을 위한 일이 아니었다.

그녀는 1년 넘게 한국전에서 후송된 부상병들을 돌봤다. 귀국해서는 간호사로 일하며 이웃에 봉사해 1990년 호주 정부 감사패도 받았다.

그녀는 평생 홀로 살다 2008년 91세로 떠나며 조카에게 유언했다.

"내 유해를 한국에 있는 남편 묘소에 뿌려다오. 이제 남편 곁에 있고 싶다."

 

▶ 그녀가 그제(2010. 4. 14) 부산 유엔기념공원의 남편 곁에 잠들었다.

6·25에 참전했던 호주 노병(老兵)들이 유골을 들고와 휴머스턴 대위 묘소에 합장(合葬)했다.

유엔군 2300여명이 묻힌 유엔기념공원에서 부부 합장은 네 번째다.

몇 년 전엔 어느 미군 부인이 찾아와 "남편과 함께 묻히고 싶다"며 결혼증명서를 남기고 갔다.

자식도 두지 않은 부인이 합장된 건 낸시 휴머스턴이 처음이라고 한다.

 

 
 
 

 

*****  너무도 감동적이고 애닯은 사연에 눈물이 나려고 하는군요.

'사랑이란 이런 것이다'라는 것을 다시 한번 느끼게 해주고,

아울러 6.25가 우리 한민족만의 비극이 아니었다는 점을 상기시켜주기도 합니다.

휴머스턴 부부의 감동적이고도 영원한 사랑과 영면을 기리며...

 

 

 

 

 

 

*******  어제(2010. 6. 13) 유엔기념공원에 가서 휴머스턴 부부의 묘석을 찾아보고 사진에 담았다.

 

* 휴머스턴 대위 부부의 묘석이다. 원래 있던 휴머스턴 대위의 묘석 아랫부분에 최근 합장된 부인 낸시의 표찰이 붙여져 있다.

 

 

 

 

* 휴머스턴 대위의 부인인 낸시 밀리센트 휴머스턴 부인을 합장했다는 표지 부분을 확대한 사진.

1917년 4월 17일생으로 2008년 10월 10일에 사망했음을 알려주고 있다.

** 2010년 4월 14일에 합장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