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

우리 동네 야생화, 오늘(2017. 4. 16)의 꽃 : 새우난초,피나물,쥐오줌풀,벌깨덩굴

道雨 2017. 4. 20. 17:34




우리 동네 야생화, 오늘(2017. 4. 16)의 꽃

: 새우난초, 각시붓꽃, 앵초, 피나물, 쥐오줌풀, 솜양지꽃, 세잎양지꽃, 벌깨덩굴





* 새우난초

 






난초과에 속한 다년생초로서, 남쪽 지방의 숲속이나 대밭의 응달진 곳에서 자란다.

 

키는 50㎝ 정도이고, 뿌리줄기는 마디가 잘록하며 옆으로 뻗는다.

잎은 길이 20㎝, 너비 4~6㎝이며 잎가장자리는 잘게 주름이 져 있다.

 

흰색 또는 연한 붉은색의 꽃은 늦은 봄에 잎 사이에서 나온 꽃줄기 위에 무리져 핀다.

꽃이 여러 모양과 색을 가져 관상용으로 심고 있다. 

연한 홍자색 꽃이 피는 여름새우난은 한라산, 노란색 꽃이 피는 금새우난은 울릉도와 제주도의 숲에서 자란다.

 

뿌리줄기에 새우의 등처럼 생긴 마디가 많이 있어 새우난(새우난초)이라 불리운다.


새우난초 증식하기

 


울산들꽃학습원에서 재배중인 것이 관찰되었다.

 

새우난초는 자생지역이 넓지 않고 그에 따른 희귀성 때문에, 식물애호가들에게 난초과 식물 특히 야생에서
자라는 새우난초는 최고의 대접을 받고 있는 들꽃 가운데 하나입니다.

그러나 새우난초가 점점 사라지고 있습니다.

품위 있어 보이고 고고한 느낌이 있어, 좋은 새우난초를 한번쯤 집에서 키워보고 싶다는 생각에 자생지에서 남획 되는 바람에, 새우난초가 점점 사라지게 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 각시붓꽃





 

붓꽃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

키는 10-30cm, 근경과 수염뿌리가 발달.
잎은 칼모양, 길이는 30cm, 폭은 2-5cm, 뒷면은 분백색


꽃은 4-5월에 보라색으로 개화, 지름은 3.5-4cm, 꽃줄기 끝에 한송이씩 달림.

 

약용 부위나 효능 등은 붓꽃, 타래붓꽃과 같다.

 

일반 붓꽃에 비해 크기가 작고 아주 여리며, 아름다운 것에서 '각시붓꽃'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울산들꽃학습원에서 재배 중인 것이 관찰되었다.

 

 


* 앵초(앵초근 : 櫻草根)






앵초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에서 자란다.

 

근경이 짧고, 옆으로 비스듬히 서며, 잔뿌리가 내린다.

뿌리에서 모여 나는 잎은, 잎자루가 길고, 잎몸이 길이 3~9cm, 너비 3~6cm 정도의 타원형으로, 털이 있고 표면에 주름이 지며, 가장자리가 얕게 갈라지고, 열편에 톱니가 있다.

 

4~5월에 7~14개의 홍자색인 꽃이 산형으로 달린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어릴 때에는 식용하기도 한다.

 

꽃의 모양이 앵두나무의 꽃과 닮았기에 앵초라고 하였다고 한다.

 

뿌리를 약재(앵초근)로 쓰는데, 지해화담의 효능이 있어, 해수, 가래, 천식에 쓴다.

 

울산들꽃학습원에서 재배중인 것이 관찰되었다.





* 피나물(하청화근:荷靑花根)







  

양귀비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중북부지방에 분포하며 산지의 숲 속에서 자란다.

 

근경은 짧고 굵으며 옆으로 자라서 많은 뿌리가 나오고, 원줄기는 높이 30cm 정도로 근생엽과 길이가 비슷하다.

근생엽은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길이 2~5cm, 너비 1~3cm 정도의 넓은 난형으로,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어긋나는 경생엽은 5개의 소엽으로 구성된다.

 

4~5월에 개화한다. 원줄기 끝의 잎겨드랑이에서 1~3개의 화경이 나와 그 끝에 1개씩 황색의 꽃이 핀다.

 

삭과는 길이 3~5cm, 지름 3mm 정도의 원주형으로 많은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에 상처를 내면 피처럼 붉은색(주황색)의 유액이 나오기에 피나물이라고 하였다.

 

‘애기똥풀’과 달리 자방이 피침형이고, ‘매미꽃’과 유사하지만 꽃줄기에 잎이 달려 있다.

독이 있어서 함부로 먹으면 안 된다.

 

뿌리를 약재(하청화근)로 쓰는데, 祛風濕, 舒筋活絡, 散瘀消腫, 止痛止血의 효능이 있어, 풍습성 관절염, 타박상 등에 쓴다.

 

울산들꽃학습원에서 재배중인 것이 관찰되었다.





* 쥐오줌풀(힐초)







마타리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45~90cm 정도로 곧추 자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마디 부근에 긴 백색 털이 있고 뿌리에 강한 향기가 있다.

근생엽은 모여 나고, 경생엽은 마주난다.


5~6월에 산방상으로 달리는 꽃은 붉은빛이 돈다.


열매는 길이 4mm 정도의 피침형으로, 윗부분에 꽃받침이 관모상으로 달려서 바람에 날린다.


이 식물에서 쥐의 오줌과 같은 냄새가 난다고 하여 '쥐오줌풀'이라고 하였다.


뿌리를 약재(힐초)로 쓰는데, 성미는 辛苦,溫 하며, 心神不安, 胃弱으로 인한 胃痙攣, 腰痛, 月經不調, 타박상 등에 쓴다.


울산들꽃학습원에서 재배중인 것이 관찰되었다.



* 솜양지꽃(번백초:飜白草)





장미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으로, 괴근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바닷가와 산이나 들의 양지 바른 곳에 자란다.

 

잎 표면은 녹색으로 전체에 솜 같은 털이 밀생하여 분백색을 나타내며, 뿌리가 몇 개로 갈라져서 방추형으로 굵어지고, 원줄기는 높이 15~40cm 정도로서 비스듬히 자란다.

어긋나는 근생엽은 잎자루가 길고, 기수우상복엽으로 3~4쌍의 소엽이 있다.

어긋나는 경생엽은 3출엽이고, 소엽은 길이 2~5cm, 너비 1~2cm 정도의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4~7월에 개화하는 취산꽃차례에 달리는 꽃은 황색이다. 

 

‘양지꽃’에 비해, 잎 뒤에 백색 솜털이 밀생하여 솜처럼 희게 보이므로, '솜양지꽃'이라고 하였다.

 

뿌리와 지상부를 약재(번백초)로 쓰는데, 淸熱解毒, 凉血止血, 消腫의 효능이 있어, 세균성이질, 학질, 폐결핵, 해수, 천식, 토혈, 각혈, 자궁 출혈, 변혈, 열로 인한 종기 등에 쓰인다.

 

울산들꽃학습원에서 재배중인 것이 관찰되었다.




* 세잎양지꽃




장미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중남부지방에 분포하며 산지나 들에서 자란다.

 

굵고 짧은 뿌리에서 근생엽과 벋는 가지가 돋는다.

근생엽은 잎자루가 길고, 경생엽은 잎자루가 짧으며, 3출엽으로 전체에 털이 있다.

소엽은 길이 2~6cm, 너비 1~3cm 정도의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4~5월에 개화하며, 취산꽃차례에 피는 꽃은 황색이다. 수과는 털이 없고 길이 1mm 정도로 주름살이 있다.  ‘양지꽃’에 비해 잎은 3출엽이며, 약간 짧은 포복지를 낸다.

 

양지꽃 비슷하지만, 작은 잎이 3개이어서 '세잎양지꽃'이라 붙여졌다.

 

울산들꽃학습원에서 재배중인 것이 관찰되었다.






* 벌깨덩굴(미한화:美漢花)



꿀풀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의 나무 밑에서 자란다.



옆으로 벋는 근경의 마디에서 나온 줄기는 길이 40~80cm 정도이고, 5쌍 정도의 잎이 달린다.

마주나는 잎의 잎몸은 길이 3~6cm, 너비 2~4cm 정도의 심장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5~6월에 개화하며, 4개 정도 달리는 순형화는 자주색이다.



열매는 길이 3mm 정도의 좁은 도란형으로 잔털이 있다.



‘배초향’과 달리 4개의 수술이 비스듬히 서고, 꽃받침조각은 3각형으로 끝이 둔하고, 꽃이 핀 뒤에 가지가 길게 벋는다.

꽃이 필 당시에 전초의 모양과 잎은 배초향과 비슷한데, 꽃은 현호색을 닮았다.


벌깨덩굴은 처음에 자랄 때와 자란 뒤가 상당히 다른 모습이다.

처음에는 곧게 자라지만, 꽃이 지고 종자가 결실된 뒤부터는 곧게 서는 게 아니라 다른 식물을 감기 시작한다. 덩굴식물의 본색이 드러나기 시작하는 것이다.


지상부를 약재(미한화)로 쓰는데, 청열해독, 소종지통의 효능이 있다.


꿀풀과에 속해 벌이 잘 날아들며, 잎이 들깨와 비슷하고, 덩굴형으로 뻗기에 벌깨덩굴이라고 붙여진 것으로 유추한다.


울산들꽃학습원에서 재배중인 것이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