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랑세기(花郞世記)
《화랑세기》(花郞世記)는 신라의 대학자 김대문에 의해 저술된 신라시대 화랑도의 우두머리인 풍월주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신라 성덕대왕의 재위기간(702년 - 737년) 사이에 쓰였다. 《화랑세기》는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서술할 때까지 남아 있었으나, 이후 소실된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필사본 발견
1989년 2월에 남당 박창화가 일본 천황가의 보물창고인 일본 궁내청 서릉부에서 필사했다고 주장하는 《화랑세기》 한문 필사본이 김해에서 발견되었다. 1995년에는 162쪽 분량의 또 다른 필사본(모본‧母本)이 발견되었다.[1] 이 필사본에는 서기 540년부터 681년까지의 풍월주 32명의 전기가 담겨 있다.[1]
필사되었다고 주장되는 《화랑세기》는 유교적 가치관과 사뭇 다른 신라인에 대한 기록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지만, 현재까지 박창화가 필사한 원본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위작 시비가 끊이지 않고 있다.
《화랑세기》 필사본은 화랑도의 구체적인 구조 및 진골정통(성골 참조), 대원신통(진골 참조), 마복자 등 신라 사회에 대한 새로운 기록을 많이 전하고 있다. 문화방송 드라마 《선덕여왕》은 이 필사본을 소재로 삼고 있다.[1]
위서론
용수 문제
용수(龍樹) 혹은 용춘(龍春)은 바로 김춘추 즉 태종무열왕의 아버지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서는 용수와 용춘이 동일인물이라고 기록하고 있으나,[2] 필사본 《화랑세기》는 용수와 용춘이 형제지간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용수의 사망시기에 대한 필사본 《화랑세기》의 기록은 황룡사탑의 중수기에 보이는 용수의 사망시기에 대한 기록과 배치된다. 선덕여왕이 즉위한 이후에도 용수는 생존했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필사본 《화랑세기》는 선덕여왕이 즉위하기 전에 용수가 죽었고, 그 처와 아들을 아우인 용춘이 부양하는 책임을 맡았다고 하고 있다.
세종 문제
《삼국유사》에 따르면 세종(世宗)은 금관가야의 마지막 임금 구형왕의 장남으로 《삼국사기》에는 노종으로 등장하며, 532년 구형왕이 신라에 항복하고 본국을 식읍으로 받자 이를 따라 그 동생 무덕(삼국유사의 무득), 무력과 함께 신라에 귀순하였다. 즉 김유신의 큰할아버지가 되는데, 여기서 세종이라는 이름은 곧 누리+부와 같으므로 세종은 단양적성비의 내례부지(대아간지), 《삼국사기》 〈거칠부전〉의 노부(파진찬), 북한산비의 내부지(일척간), 마운령비의 내부지(이간),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노리부(이찬 상대등)와 동일인으로 추정되어 대아찬, 파진찬, 이찬으로 승진하는 행적을 비교적 자세히 알 수 있다.[3]
그러나, 《화랑세기》에서는 영실과 보현공주의 아들 노리부(사도태후의 오라비), 태종와 지소태후의 아들 세종(6대 풍월주, 미실의 지아비)만이 등장할 뿐, 구형왕의 아들인 세종이나 노리부에 대한 기록은 없다. 오히려 작중 15세 유신공의 세계에서는 구형왕의 아들로 무력, 무득만이 등장하고 세종이 누락되어 있다.[4]
이에 대해 진서론은 삼국유사의 기록에 문제가 있으며, 구형왕의 아들 세종과 풍월주 세종이 동명이인이라고 주장한다.[5] 그러나, 이 계보는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반복되어 나타나고 있으므로 오류일 가능성이 희박하며, 김태식은 자신의 저서에서 동시대에 두세 명의 동명이인이 활동했다는 화랑세기의 기록이 거칠부와 황종이 서로 싸웠다고 하는 것만큼 무리한 것이라고 혹평한 바 있다.[6]
박창화의 다른 저술
박창화가 저술한 다른 책들의 성격도 진위를 판별하는 논거가 될 수 있다. 그가 지은 것 중 '도홍기', '홍수동기', '어울우동기' 같은 음란 소설이 많다. 그가 쓴 수십권이 넘는 책 중 성이 모티브가 되는 것이 많다. 그리고 박창화가 위서를 만들려 한 예가 있다. 그가 남긴 유고에 '유기추모경'이 있다. 유기는 고구려 초기에 편찬된 사서의 이름이고 추모는 주몽의 다른 표기이다. 박창화가 썼으면서 고려 시대의 인물인 황주량이 왕명을 받아 쓴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유기추모경과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는 박창화의 다른 유고인 '추모경'은 한지에 쓰여 있고 황주량에 대한 기록이 없다.
금석문
등장인물 총 420명 중에 다른 사료에서 나타나지 않고 화랑세기 필사본에서만 보이는 인물은 240여 명인데, 신라 금석문에서 독자적으로 확인되는 인물이 없다. 반면 타 사료에서 발견되는 180명 중 24명은 금석문에서 확인이 되었다. 또한, 필사본에서 신라 왕을 제(帝)나 대제(大帝)라 했지만 이 역시 금석문에서 찾아볼 수 없다는 지적이 있다.[1][7]
박창화 자신이 존재 부정
광복 이후에 박창화가 쓴 글에 의하면, 한국 역사는 삼국사기, 고려사, 이조실록이며, 삼국사기 이전은 약간의 전설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8] 광복 이전에 화랑세기 진본을 필사한 사람이라면 이런 표현을 할 이유가 없으며, 스스로 생전에 필사본 화랑세기에 대한 언급을 한 일도 없다.
진서론
향가 문제
필사본 《화랑세기》에는 향가가 한 수 기록되어 있는데, 진서론자들은 아마추어 역사가인 박창화가 향찰로 향가를 창작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겨 진서론의 근거로 사용한다.[9] 하지만 이는 학자들마다 의견이 분분하여 위서론자들까지 위서론의 근거로 삼고 있는 실정이다.[10]
진서론자들은 《화랑세기》필사본이 박창화가 1930~1940년대 일본 궁내성 왕실도서관(도서료. 오늘날의 서릉부)에서 사무 촉탁으로 근무하면서 도서관 내의 《화랑세기》를 필사한 것이라며, 일제강점기 말에는 국어학자들도 향가를 겨우 한두줄 해석하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미실이 연인인 사다함에게 보내는 향가인 <송출정가>[11] 등이 향가의 형식을 빌어 창작되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1942년에 와서야 양주동 선생이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향가 25수 전편의 해독집인 <조선고가연구>을 출판하였다.[12] 진서론자들은 향가에 대한 해석조차 어려운 일제강점기에 아마추어 역사가인 박창화가 향가를 창작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겨 진서론의 근거로 사용한다.[13]
용수·용춘 형제 문제[
《화랑세기》에 따르면 진지왕에게는 용수와 용춘 두 아들이 있었고, 형인 용수가 천명공주와 혼인하여 춘추를 낳았으나 후에 동생 용춘이 천명공주를 아내로 삼고 춘추를 아들로 삼았다고 한다.[14] 이에 따르면 용수와 용춘이 형제인 두사람이 되나, 기존의 전통적인 사료 및 해석에 의하면 용수는 용춘의 이명(異名)으로 알려져 있다. <대역 화랑세기>의 역주해자인 서강대학교 사학과 교수 이종욱은 <대역 화랑세기>에 "《삼국사기》태종무열왕 즉위조에는 무열왕이 진지왕의 아들인 이찬 용춘의 아들이라고 나온다. 《삼국유사》왕락편에는 용춘은 일작 용수라고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기록은 용춘과 용수를 동일인으로 보고 있으나, 《화랑세기》를 통하여 형제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라고 하였다.[14]
노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이영훈은 화랑세기 필사본에 나타난 노(奴)와 비(婢)는 현재 알려져 있는 천민(賤民)과 전혀 다른 개념으로, 20세기에 창작해낼 수 없는 내용이라고 주장했다.[15]
구지
화랑세기에는 무관랑이 월성의 궁궐 담장을 넘다가 구지에 빠져 죽었다는 기록이 있고, 이것은 다른 사료에서 발견되지 않은 기록이다. 구지란 일종의 해자(垓子, 성 주위를 둘러 판 방어용 인공 연못)로 보이는데, 이 구지로 추측되는 연못 유적이 박창화가 사망한 이후에 발견되었다.[16]
이 내용은 삼국사기 사다함 조에 보면 나오는 내용으로, 사다함의 친구 무관랑이 해자에 빠져 죽었으며, 사다함이 이를 슬퍼하였다는 내용이 있다.[13]
진평왕
화랑세기 필사본에는 기존 사서 어디에도 생몰 연대가 밝혀져 있지 않은 신라 26대 진평왕(재위 579-632)이 13살에 즉위했다는 기록이 있다. 연합뉴스의 김태식 기자는 삼국사기를 분석하여 이 기록이 정확하다고 주장했다.[17]
각주
- ↑ 이동:가 나 다 라 하지혜 명예기자 (2009년 6월 28일). “'선덕여왕' 인기에 '화랑세기' 수면 위로”. 뉴스미션. 2009년 11월 9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삼국사기》 선덕왕 4년(635), "겨울 10월 이찬 수품과 용수-용춘이라고도 한다-를 보내 주와 현을 돌며 어루만졌다(冬十月 遣伊湌水品龍樹 一云龍春 巡撫州縣)." 《삼국유사》 탑상4 황룡사구층탑, "공장 아비지가 명을 받고 와서 목재와 석재를 경영하였고 이간 용춘-용수라고도 쓴다-이 주관하여 소장 200명을 이끌었다(匠名阿非知受命而来経營木石 伊干龍春 一云龍樹 幹蠱率小匠二百人)."
- ↑ 국립문화재연구소. “금석문”.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 ↑ 대역 화랑세기 243쪽
- ↑ 대역 화랑세기 242쪽.
- ↑ 김태식 (2002년 4월 5일). “미완의 문명 1백년 가야사”. 푸른역사. 263면.
- ↑ 유석재 기자 (2009년 6월 20일). “신라의 요부 미실, 사실은 가공 인물?”. 조선일보. 2013년 1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4일에 확인함.
- ↑ 박남수 (2007). “신발견 박창화(朴昌和)의 『화랑세기(花郞世紀)』잔본(殘本)과 "향가(鄕歌)" 일수(一首)”. 《동국사학》.
- ↑ 김태식 기자 (2004년 2월 16일). “"「화랑세기」향가, 조작한 흔적 없어"(이도흠 교수)”. 연합뉴스. 2009년 11월 4일에 확인함.
- ↑ 정창룡 기자 (2001년 2월 12일). “화랑세기 향가 `송랑가'는 위작”. 매일신문. 2009년 11월 4일에 확인함.
- ↑ 대역 화랑세기 464쪽
- ↑ 김완진. “양주동”.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이동:가 나 KBS (1999년 7월 10일). “<KBS 역사스페셜> 화랑세기 필사본의 미스테리”. 2005년 3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이동:가 나 대역 화랑세기 225쪽
- ↑ 송평인 기자 (2003년 1월 7일). “화랑세기 필사본은 신라시대 작품”. 동아일보. 2011년 5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4일에 확인함.
- ↑ 허미경 기자 (2002년 6월 14일). “발굴·연구성과 토대 “이래도 가짜?””. 한겨레신문. 2009년 11월 4일에 확인함.
- ↑ 강영두 기자 (2002년 6월 12일). “「화랑세기」는 신라인 김대문의 작품”. 《연합뉴스》. 2009년 11월 4일에 확인함.
***********************************************************************************************************************
화랑세기
花郞世記
요약
판본이 전하지 않고 〈삼국사기〉에 극히 일부가 인용되어 있다. 그런데 1989년 조선 후기 것으로 보이는 필사본이 발견되었다. 이 책은 총 16장 32면으로 후반부가 일부 탈락되어 있다. 내용은 근친혼·동성애·다부제 등 고대사회의 실상이 생생하게 그려져 있으며, <삼국사기> 열전과 같이 역대 화랑들의 영웅담이 아닌 가승의 성격을 띠고 있다. 구성은 서문에서 화랑의 기원을 설명하고 이어 1세 풍월주인 위화랑에서부터 2세 미진부, 3세 모랑, 4세 이화랑, 5세 사다함, 6세 세종, 7세 설원랑, 8세 문노, 9세 비보랑, 10세 미생, 11세 하종, 12세 보리, 13세 용춘, 14세 호림, 15세 유신까지의 행적을 기록했다. 그러나 김유신 부분은 중간 이하가 탈락되어 김유신에 관한 내용은 알 수 없다.
판본이 전하지 않고 〈삼국사기〉에 극히 일부가 인용되어 있다.
그런데 1989년에 조선 후기의 필사본으로 보이는 〈화랑세기〉가 발견되었다. 이 책은 총 16장 32면으로 후반부가 일부 탈락되어 있다. 분량은 총 7,406자이다. 이곳에 서술되어 있는 내용은 가히 충격적으로 근친혼(近親婚)·동성애·다부제(多夫制) 등 고대사회의 실상이 생생하게 그려져 있다. 아직 이 책의 위작 여부가 판명되지 않아 분명하게 단정지을 수는 없으나 이것이 진본이라면 고려시대 이전에 씌어진 역사서로, 유교의 영향을 받지 않은 사서 중에는 최초로 발견된 사서가 된다.
고대사뿐만 아니라 중세 사학사 연구에도 획기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이 책에 따르면 저자인 김대문은 4세 화랑인 이화랑(二花郞)의 후손이다. 이화랑의 큰아들은 원광법사이고 둘째 아들인 보리(菩利)는 12세 화랑이 되었다. 김대문은 보리의 아들 예원(禮元)의 손자인데, 예원의 동생 보룡(寶龍)은 곧 문무왕의 모친이다. 내용은 〈삼국사기〉 열전과 같이 역대 화랑들의 영웅담이 아닌 가승(家承)의 성격을 띠고 있다. 구성은 먼저 서문에서 화랑의 기원을 설명하고 이어 1세 풍월주(風月主:화랑)인 위화랑(魏花郞)에서부터 2세 미진부(未珍夫), 3세 모랑(毛郞), 4세 이화랑, 5세 사다함(斯多含), 6세 세종(世宗), 7세 설원랑(薛原郞), 8세 문노(文弩), 9세 비보랑(秘寶郞), 10세 미생(美生), 11세 하종(夏宗), 12세 보리, 13세 용춘(龍春), 14세 호림(虎林), 15세 유신(庾信)까지의 행적을 기록했다.
그러나 김유신 부분은 중간 이하가 탈락되어 김유신에 관한 내용은 알 수 없다.
서문에 따르면 화랑은 선도(仙道)의 조직으로 그 기원은 고대에 신궁(神宮)에서 하늘에 제사하던 의식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집행자는 처음에 여성이었으나 남성으로 바뀌면서 화랑이 되었고, 나중에는 낭도를 거느리고 서로 연마하는 제도가 되었다고 하는데, 낭도를 편제하여 준군사적인 조직을 만든 것은 사다함의 검술스승이며 진평왕 때 8세 화랑이 된 문노였다고 한다.
그의 모친은 가야의 공주였으므로 초기에는 배척받았으나 사다함과 연합하고 거칠부의 딸과 결혼함으로써 세력을 얻었다고 한다. 그는 골품에 관계없이 인물을 기준으로 발탁하여 미천한 사람들도 발탁했으며, 낭도들을 동원하여 군사들을 위로했다고 한다. 본문의 서술방식은 먼저 가족관계와 행적을 적고 사람마다 끝에 찬(贊)을 달았다.
찬의 내용도 유교적인 찬이나 사평과는 전혀 다른 것으로 주인공의 용모·행적 등 뛰어난 부분을 찬양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화랑의 행적은 정치적·군사적 행적보다는 가족관계와 계보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내용 중 선교와 불교의 관계, 화랑의 자리를 둘러싼 각 파간의 암투, 가야파의 성장 등이 흥미진진하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이 책의 대상시기인 법흥왕에서 무열왕에 이르는 시기는 삼국의 대립이 거세지고 신라의 국가체제가 대폭 정비되던 시기로 이로 인한 관습의 변동, 왕실의 계층분화 과정과 모권의 역할변동, 사회 내부에서의 계층간의 대립을 암시하는 부분이 많다.
등장인물은 총 138명에 달하는데, 그간의 사료에 등장하지 않는 사람도 많다. 또 신라골품에는 진골정통과 대원신통(大元神統)의 구분이 있는데, 대원신통의 격이 낮았다고 한다.
이 책의 내용을 〈삼국사기〉에서 인용한 부분과 비교하면, 근친혼 등의 사실을 배제하고 유교적 관점에서 보아 역사적 교훈이 되는 부분을 강조하거나 사건을 재해석했음을 알 수 있다. 일례로 화랑의 기원에 대한 설명은 별로 없고 후반부의 어진 재상과 충신, 훌륭한 장수와 용감한 병졸이 화랑도에서 나왔다는 부분만 인용했다.
즉 사다함의 경우 〈삼국사기〉에서는 그의 친구 무관랑(武官郞)이 병들어 죽자 사다함은 이를 슬퍼하다가 7일 만에 죽었다고 기록되어 있는 반면, 〈화랑세기〉에는 그의 부하인 무관랑이 공로는 컸으나 미천한 신분 때문에 국가에서 보수를 받지 못하고 죽자 사다함이 이를 애통해 하다가 죽었다고 되어 있다. 1989년에 번역본이 간행되었다.
'역사, 인물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라왕조 계보 및 왕위 계승 관련 (0) | 2021.05.20 |
---|---|
신라의 골품제도와 관등 (0) | 2021.05.15 |
신라 대원신통의 계승자, 색공녀 미실 (0) | 2021.05.14 |
조선시대 성리학(주자학)과 기타 학자들의 학통과 계보 (0) | 2021.03.31 |
조선시대 인물들의 호(號) 사전 (0) | 2021.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