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교육, 문화계 관련

韓 역사 최초 쌍끌이 수상...K무비, 폐막까지 빛냈다

道雨 2022. 5. 30. 10:55

韓 역사 최초 쌍끌이 수상...K무비, 폐막까지 빛냈다

 

두 작품 동시에 칸 수상..韓 영화 역사 최초
"K콘텐츠 향한 세계 시장 신뢰도 높아질 것"
'헤어질 결심'·'브로커', K무비의 글로벌 협업 성과물
"90년대 후반 이을 韓 영화 산업 확장의 엄청난 기회"

 

 
 
 
 
 
제75회 칸국제영화제 경쟁부문에 진출한 두 편의 한국영화 ‘헤어질 결심’(감독 박찬욱)과 ‘브로커’(감독 고레에다 히로카즈)가 나란히 트로피를 품에 안았다.

28일(현지시간) 프랑스 칸 뤼미에르 대극장에서 열린 제75회 칸국제영화제 폐막식에서 ‘헤어질 결심’ 박찬욱 감독은 감독상을, ‘브로커’의 배우 송강호는 남우주연상을 각각 수상했다.

한국 영화가 칸국제영화제에서 수상까지 성공한 것은 2002년 임권택 감독의 ‘취화선’(감독상 수상) 이후 이번이 8번째다. 경쟁부문에 두 작품이 동시에 진출한 것은 2004년 박찬욱 감독의 ‘올드보이와 홍상수 감독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 이후 6차례 있었지만, 두편이 함께 수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K무비 저력”…글로벌 작업 기반 단단해져

박찬욱 감독은 2004년 ‘올드보이’로 심사위원 대상을 처음 수상한 뒤, 2009년 ‘박쥐’로 심사위원상을 수상한 데 이어, 이번 ‘헤어질 결심’으로 감독상까지 받으면서, 한국에서 가장 많은 칸 수상기록을 보유한 감독이 됐다. 송강호는 이번 수상으로 한국 배우 최초 칸 남우주연상을 받은 배우로 이름을 올렸다. 남녀를 통틀어 주연상은 2007년 ‘밀양’으로 여우주연상을 받은 전도연이 최초다.

 

                  (그래픽=문승용 기자)

 
 
박기용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은 “올해 칸국제영화제에 직접 참여해서 얻은 가장 큰 성과는, K무비의 저력이 여전하고, 저변을 더욱 넓혀가고 있음을 확인했다는 것”이라며 “K컬처 세계화에 K무비도 있다는 것을 각인하는 계기가 됐다”고 수상 소식에 기쁨을 드러냈다.

윤성은 영화평론가는 “‘기생충’이 2019년 칸에서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받고, 이듬해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까지 휩쓸었는데, 이후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에 K콘텐츠들이 너무 큰 주목을 받다 보니, 작품들이 그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면 (K콘텐츠가) 과대평가됐다고 폄하될 수 있는 상황이었다”며 “이번 칸 수상은 그 우려를 씻어낸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이번 수상을 계기로 K콘텐츠에 대한 세계 시장의 신뢰도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한국의 영화인들이 국경을 넘나들며 작업할 수 있는 환경과 기반도 더욱 단단해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글로벌 협업 성과물…산업 확장 기회

전문가들은 특히 ‘헤어질 결심’과 ‘브로커’가 지닌 공통점으로, 두 작품 모두 국경을 초월한 협업이 포함된 프로젝트라는 점을 조명했다. 박찬욱 감독의 ‘헤어질 결심’은 여자주인공이 중국 배우인 탕웨이이며, 극중 한국어와 중국어 대사가 뒤섞여 등장한다. ‘브로커’는 출연 배우들은 송강호, 강동원, 배두나, 이지은, 이주영 등 한국인이지만, 일본을 대표하는 거장 감독 고레에다 히로카즈가 각본 및 연출을 맡았다.

오동진 영화평론가는 “K무비가 다양한 국적을 포괄하는 작품을 만들어 수상까지 성공한 것은, 언어 및 국가별 다른 시스템의 장벽을 충분히 해소할 수 있는 수준으로 국내 제작 환경 시스템이 선진화됐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브로커’의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은 칸 현지에서 가진 취재진과 인터뷰에서 “노동환경 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한국의 선진적 제작 환경과 감독 개인의 연출 스타일을 존중해주는 제작사의 배려로 많은 혜택을 누리며 촬영에 임할 수 있었다”고 회고했다.

‘헤어질 결심’의 탕웨이 역시 “언어의 장벽으로 인해 충분히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상황에도, 감독님을 비롯한 모든 스태프, 배우들이 힘든 기색 없이 차근차근 설명해줬고, 굉장히 많은 정보들을 제공해줬기에 큰 불편함 없이 연기할 수 있었다”고 만족스러움을 표현했다. 탕웨이는 앞서 박찬욱 감독이 녹음해 준 한국어 대사를 들으며 억양까지 따라해 촬영을 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아시아 영화 전문가이자 칸국제영화제 감독 주간 프로그래머로 활동한 제레미 세게는 미국 매체 버라이어티를 통해 “K콘텐츠와 협업하려는 다양한 세계적 시도들이 늘어난다는 건, K무비를 비롯한 K콘텐츠들이 꾸준히 글로벌 시장에서 보인 활약을 증명해주는 후속효과”라고 분석했다. 그는 “전세계 감독들이 한반도가 지닌 콘텐츠적 재능과 협력하고자 러브콜을 보내거나 한국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어하는 풍경이 자연스러워졌다”며 “지난 날 모든 영화제작자들이 자신의 커리어에 ‘아메리칸 드림’을 남기고 싶어했듯, 앞으로는 ‘코리안 드림’을 남기려는 세계 콘텐츠들의 갈망이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오동진 평론가는 “1990년대 후반 이후 한국 영화가 또 한 번의 엄청난 산업적 확장의 기회를 얻게 된 셈”이라며 “영어 등 외국어에 주눅들지 않고 작품에 매진해도 세계 시장에 나갈 수 있는 길이 열렸음을 증명한다”고 설명했다.

 

김보영 (kby5848@e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