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인물 관련

[스크랩] 영원한 라이벌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道雨 2010. 8. 16. 14:02

 

영원한 라이벌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삼국시대의 역사를 이야기하려면 '삼국사기'와 일연의 '삼국유사'를 함께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두 역사서는 꼬박 대칭을 이룬다. 정사와 야사, 유학자와 불승, 문헌조사 중심과 현지 조사 중심 등으로 대비된다. 이 때문에 '삼국사기'를 읽으면 '삼국유사'가 궁금해지고, '삼국유사'를 읽으면 '삼국사기'를 비교하고 싶은 충동이 든다.

'삼국사기' < 열전 > 과 '삼국유사' < 기이편 > 에 동시에 실려 있는 신라의 박제상 이야기를 비교해 보자.

 

 

 

 

대마도에 있는 박제상 순국지비

 

 

박제상은 계림의 신하다. 박제상은 고구려에 억류되었던 왕자 복호를 구하고, 일본에 억류되었던 왕자 미사흔을 탈출시키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정작 박제상 자신은 일본 왕에게 잡혀 온갖 고문을 당한 끝에 죽임을 당한다.

이야기는 여기서 끝이 아니다. '삼국사기'에서 죽은 박제상은 대아찬에 추증되고 그의 가족들은 후한 상을 받았으며 제상의 둘째딸은 미사흔의 아내가 된다. 미사흔의 귀환으로 왕실은 화락함을 되찾는다. 그러나 '삼국유사'의 뒷이야기는 이와 다르다. 박제상의 아내는 왜국으로 떠나는 남편을 따라잡지 못해 망덕사의 모랫벌 위에 누워 길게 울었다. 오래 뒤 제상의 아내는 그리움을 견딜 수 없어 치술령에 올라 왜국을 바라보며 통곡하다가 죽어 치술신모가 된다.

김부식은 국가인의 시선으로 사건을 기술한다. 김부식에게 국가는 주체고, 개인은 객체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가 충신에게 부여한 영광에 초점을 맞춘다.

반면 일연은 박제상의 부인을 주체로 다룬다. 왕실은 가족을 되찾았지만 정작 제상의 아내는 남편과 이별하게 되고 사무치는 그리움 때문에 죽게 되는 이 역설. 명예와 영광 이면에 도사리고 있는 비감어린 가족사. 일연은 이 부분에 주목했다.

김부식은 국가에 집중했고, 일연은 국가 외부의 개인에게 시선을 던졌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대해, 역사책으로서 그 우열을 판정하고 가치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확실한 건 '삼국사기'가 국가 내부를 사유하게 한다면, '삼국유사'는 국가 외부를 사유케 한다는 점이다.

역사 기술의 출발점이 다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영원한 맞수이자 서로를 비춰주는 거울이다.

 

 

 

***********************************************************<서울신문 2010.7.26>


출처 : 토함산 솔이파리
글쓴이 : 솔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