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상식

언론파동으로 치닫는 MB의 언론 장악

道雨 2012. 3. 2. 12:15

 

 

 

     언론파동으로 치닫는 MB의 언론 장악

 

 

 

이명박 대통령이 심혈을 기울여 장악한 공영매체들이 잇따라 분규에 휩싸이고 있다.

제각각 낙하산 인사와 보도의 공정성 문제를 둘러싸고 빚어졌지만, 이제 모든 매체가 일제히 궐기하는 양상으로 발전했다.

대규모 징계, 제작거부, 고소·고발, 총파업 등 사실상 언론파동으로 치닫고 있다.

결국 정권의 낙하산 사장 문제인 만큼, 이들이 퇴진하고, 정권이 공영매체의 보도와 인사에서 손을 떼야만 해결될 사안이다.

 

이미 한달 넘게 총파업이 진행되고 있는 <문화방송>은 현재 간판 앵커 등 보직 간부만도 135명이 파업에 참여하고 있다.

<한국방송>은 오늘 기자회의 제작거부에 이어, 6일부터 새노조가 총파업에 들어간다.

보도채널 <와이티엔>도 노조가 파업 찬반투표를 진행하고 있으며, 공영통신사인 <연합뉴스>도 이례적으로 기자 230여명이 연가투쟁을 벌였다.

쟁점은 같다. 김재철(문화방송)·김인규(한국방송) 사장의 퇴진과 배석규(와이티엔)·박정찬(연합뉴스) 사장의 연임 반대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권은 공영매체에 대한 통제의 고삐를 놓기는커녕 더욱 조이려 하고 있다.

김재철 사장의 경우 지난 2년간 법인카드로 명품가방, 보석, 화장품 등을 매입하고 호텔 마사지를 받는 등 7억원 가까이를 썼다고 한다.

어지간한 인물이라면 그것만으로도 석고대죄하고 사퇴해야 마땅하다. 하지만 그는 노조 간부 16명을 업무방해 혐의로 고소한 데 이어 기자회장을 해임하는 등 중징계를 남발했다. 정권의 비호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배석규·박정찬 사장도 대다수 종사자들의 거센 반대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연임이 내정됐다. 게다가 정부 입김에 좌우되는 <서울신문> 사장 인선에까지 청와대가 개입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 대통령은 그의 음덕을 입은 이들이 불안한 임기말을 보호해주리라 기대할지 모른다.

한마디로 터무니없는 환상이다.

공영매체의 언론파동은, 5공 언론통폐합처럼 그와 이 정권을 역사의 심판대에 세울 수밖에 없다.

 

지금이라도 당장 손을 떼야 한다. 그래야 오히려 심판의 부담도 덜 수 있다.

 

[ 2012. 3. 2  한겨레 사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