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전한 근로의욕 꺾어버리는 ‘가상통화 광풍’
‘가상통화 광풍’은 우리 사회의 건전한 근로의욕을 떨어뜨린다. 클릭 몇번으로 쉽게 떼돈을 벌 수 있다는데 뭐 하러 땀 흘려 열심히 살아가야 하느냐는 잘못된 인식을 번지게 한다.
근로의욕 저하는 가상통화에 투자한 사람이나 그렇지 않은 사람 모두한테서 나타나고 있다. 가상통화는 24시간 거래되는데다 등락 폭에 제한이 없다 보니, 투자자들은 손에서 스마트폰을 놓지 못한다고 한다. 중독에 가깝다. 일이 손에 잡힐 리 없다.
투자를 하지 않는 사람들도 ‘진작 했으면 큰돈을 벌었을 텐데’ 하는 상실감에 투자 충동에 빠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한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이제라도 적금을 해지하고 가상통화에 투자해야 할지를 고민하고 있다는 글들이 올라온다. 오죽하면 ‘비트코인 우울증’이라는 신조어까지 생겨났겠는가.
가상통화 투자자 가운데 특히 20~30대 젊은층이 많아 걱정이 아닐 수 없다. 국내 최대 가상통화거래소인 빗썸 회원 250여만명 중 20~30대가 60%를 차지한다. 취업난과 저임금으로 고통받는 젊은이들이 가상통화 시장에서 일확천금의 꿈을 꾸고 있는 것이다. 아예 구직 활동을 포기하고 전업으로 가상통화 투자에 나선 취업준비생들도 있다고 한다.
일부에서는 가상통화를 ‘흙수저의 마지막 탈출구’로 여기는 듯하다. 지난달 28일 청와대 누리집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가상화폐 규제 반대, 정부는 국민들에게 단 한번이라도 행복한 꿈을 꾸게 해본 적 있습니까?’라는 제목의 청원에 14일 현재 17만명 가까이 참여했다.
안 쓰고 안 먹고 월급을 평생 모아도 집 한채 마련하기 힘든 현실에서 가상통화를 ‘유일한 동아줄’로 보는 심정을 이해하지 못할 바는 아니다. 하지만 위험천만한 투기에 희망을 거는 것은 개인으로나 사회 전체적으로나 바람직하지 못하다.
다만 가상통화 투자 광풍의 배경에 팍팍한 생활고, 무너진 계층 이동 사다리, 갈수록 커지는 빈부격차 등 암울한 현실이 자리잡고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가상통화 광풍을 잡으려면 투기 억제책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땀 흘려 일한 만큼 정당한 보상을 받고, 적어도 내일은 오늘보다 나아질 것이라는 희망을 가질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좋은 일자리 확대, 임금격차 해소, 집값 안정 등을 위해 정부가 온 힘을 쏟아야 한다.
물론 쉽지 않은 일이다. 이전 정부들도 모두 실패했다. 하지만 흔들림 없이 일관되게 나아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투기 광풍이 또다른 형태로 언제, 어디서 불어닥칠지 모른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editorial/827678.html#csidx3208184434c2acc97de1d217aa6d25d
****************************************************************************************************
유시민 "암호화폐는 인간 어리석음 이용해 돈 뺏는 것"
"엔지니어가 만든 이상한 장난감
전 세계 사기꾼 달려들어 도박
맨 마지막 잡고 있던 사람 망할 것
17세기 튤립 버블의 21세기 버전
정부, 광풍에서 시민 보호해야"
유시민 작가는 12일 중앙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열풍에 대해 이렇게 경고했다.
“투기 광풍의 또 다른 버전” “그야말로 미친 짓” “사기” 등의 격한 표현까지 써가며 최근 열풍을 비판했다.
유 작가는 “지금 고등학생들까지 자기 돈을 넣고 있다. 거품이 딱 꺼지는 순간까지 사람들은 사려들 것”이라며 “다 허황된 신기루를 좇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전 세계 사기꾼이 여기에 다 모여있다. 지금 정부와 지식인과 언론들은 여기에 뛰어들지 말라는 메시지를 분명히 내야 될 때”라고 강조했다.
“투기판에 뛰어들었다가 돈 날린 사람들은 정부나 사회를 원망하지 말라”고도 했다.
Q : 최근 암호화폐 열풍을 어떻게 보나.
A : 그야말로 광풍이다. 미친 짓이다. 미친 짓. 전체가 다 ….
Q : 답답한 느낌이 드는가.
A : 인간이 참 어리석다는 것을 새삼 느낀다. 인류 역사에서 수없이 되풀이됐던 투기 광풍이라고 본다. ‘17세기 튤립 버블의 21세기형 글로벌 버전’ 그 이상의 의미는 없다. 인간의 어리석음을 이용해 누군가가 지금 장난을 쳐서 돈을 뺏어 먹는 과정이다. 여기에 전 세계 사기꾼이 다 모여있다. 그런데 지금 우리나라 고등학생들까지 자기 돈을 넣고 있잖은가. 거품이 딱 꺼지는 순간까지 사람들은 살 거다. 그러면 맨 마지막에 잡고 있던 사람들은 망할 거다. 이 투기판에 뛰어들었다가 돈 날린 사람들이 정부나 사회를 원망하지 말라, 이 메시지는 확실히 줘야 된다. 누가 권한 것도 아니고, 국가에서 제도로 시장을 만들어준 것도 아니잖나.
Q : 이 사안은 투기자본 규제 측면의 관점과 블록체인 산업 진흥 측면의 관점이 상충하는 것 같은데.
A : 죄송한데 그런 주장들(산업진흥)은 다 사기라고 본다. 암호화폐는 경제학적 의미의 ‘마켓’도 아니고, 그냥 엔지니어들의 아이디어로 나타난 수많은 이상한 장난감 갖고 사람들이 도박하는 거다. 돈이 벌린다는 소문 듣고 사람들이 불나방처럼 돈다발 들고 모여드는 거다.
Q : 한국의 블록체인 기술을 더 발전시켜야 한다는 사람도 많다.
A : 블록체인 기술과 관련해 우리나라가 자유를 안 주면 마치 4차 산업혁명에서 뒤지는 것처럼 얘기하는 언론 기사들이 넘치는데, 저는 그 사람들이 의심스럽다. 암호화폐를 띄워서 자기 이익 채우려고 하는 것 아닌가. 전국의 카지노를 다 열어주는 것과 뭐가 다른가.
제가 부정적으로 얘기하면 ‘꼰대다’ ‘새로운 4차 산업혁명을 모른다’ 얘기하는데, 다 허황된 신기루를 좇는 것이다. 저는 이걸 부추기는 일부 언론들이 솔직히 수상하다. 이 사람들 다 거기에 돈 넣은 것 아냐, 그런 생각이 들 정도다.
Q :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 암호화폐 규제 반대 글이 수만 건 올라있다고 한다.
A : 다 자기 돈 넣은 사람들이다. 돈 벌어야 되니까, (그런 글 썼다고) 저는 그렇게 본다.
Q : 청와대는 시장 혼란을 우려해선지 신중한 입장인 듯한데.
A :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대충 다 팔고 다 나오도록 하는 게 정부가 할 일이다. 그리고 가상화폐 투자로 해외계좌로 돈 빠져나가는 것은 다 차단해야 된다. 정부가 이 광풍에서 시민 보호 조치를 아무것도 안 하면 정부 잘못이 될 수 있다. 그러니까 정부와 지식인과 언론들은 여기에 뛰어들지 말라는 메시지를 지금 분명하게 내야 될 때다.
유 작가는 인터뷰 말미에 “투기 광풍에 뛰어들지 말라는 메시지를 정부가 확실해 내야 한다는 것과, 쫄딱 망한 사람들이 정부를 원망할 권리는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재차 강조했다.
김형구 기자 kim.hyounggu@joongang.co.kr
'뉴스자료, 기사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찬 상품권을 임금으로 준 KBS. 열심히 일한 당신 상품권으로 받아라? (0) | 2018.01.15 |
---|---|
'불황'에 보험 깨서 먹고 사는 서민들..작년 환급금 23兆 최대 (0) | 2018.01.13 |
열심히 일한 당신 상품권으로 받아라? (0) | 2018.01.12 |
'軍사이버사 댓글' 항소심..관련자 2명 법정구속 (0) | 2018.01.12 |
"한달 157만원으로 살 수 있나".. 경제장관들, 최저임금 비판에 '일갈' (0) | 2018.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