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반복되는 대형 해난사고에도 교훈을 얻지 못하는 정부 당국
‘제3의 부표’ 위치에서 美7함대 잠수팀들이 작업하거나 준비하고 있는 모습을 보면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반파사고 발생 즉시 저러한 인력과 장비를 사고현장에 투입할 수 있었더라면 어땠을까. 최소한 새벽 날 밝자마자 저러한 설비와 함께 구조인력들을 투입하였더라면, 단 한 사람이라도 살릴 수 있지 않았을까…
그리고 생각은 꼬리를 물고 이어집니다. 2010년 천안함 침몰사고의 비극을 교훈삼아, 해난사고 발생 시 최단시간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과 매뉴얼을 만들고, 최신 설비와 장비들을 확충하여 전문인력 교육과 양성에 힘썼더라면, 2014년 세월호의 비극을 우리는 최소화시킬 수 있지 않았을까…
그러나 2010년의 과오는 2014년 고스란히 반복되었으며, 2018년 지금 현재 또다시 유사한 사고가 발생한다고 해도 전혀 나아질 것이 없을 것이라는 우려를 지울 수 없는 게 현실입니다. 이해할 수 없는 일이지요.
대형 해난사고를 4년 터울로 겪으면서도, 그에 대해 어떠한 대책을 강구하는 움직임 조차 없다는 것은, 당국자들의 ‘직무유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저는 저 장비들이 왜 필요한 것인지 알파잠수 이종인 대표께 사진들을 보내 물어봤습니다. 답변은 매우 간략하고 간결했습니다.
“지속적으로 여러 명에게 산소공급 가능하고 통신도 가능하니, 해저에 가라앉은 밀폐된 구획에 들어가 긴 시간 작업하기 위한 설비들이구만.”
그랬습니다. 美7함대는 최신설비를 총 동원하여, 제3의부표 인근해역에서 ‘매우 특별한 작업’을 수행하고 있었습니다. 극비리에.
2. 美7함대 ‘작업팀’의 D-day는 ‘2010-04-14’
|
2010년 4월 12일 (월) 처음으로 함미가 케이블 두 가닥에 매달려 수면위로 모습을 드러냅니다. 그러나 국방부는 바지에 올리려는 것을 저지한 후 저수짐 지대로 이동할 것을 요구합니다.
이에 대해 88수중개발 정호원 부사장은 강력히 항의합니다. 바지선에 실은 후 바로 평택으로 이동하면 된다.. 이것은 속된 말로 ‘같잖은 일’이며 인양업계의 상식이라고… 그러나 결국 국방부의 강력한 요구대로 저수심으로 이동하여 해저에 다시 가라앉힙니다. 시신 46구를 실은 채.
2010년 4월 13일 (화) 전날 가라앉혔던 천안함을 수면 위 5m 살짝 들어 올린 후, 속이 보이지 않도록 그물망 작업을 하고 다시 가라앉힙니다. 그리고 국방부는 <기상이 좋지 않아 작업을 전면 중단> 한다고 발표한 후, 현장에 있던 업체 관계자 및 작업자 전원을 인근 섬으로 나가도록 명령하자, 작업자들이 “이 보다 더한 날씨에도 작업했다”며 강력히 항의합니다. (항소심 8차공판 증언으로 새로이 알게 된 사실)
2010년 4월 14일 (수) 현장에서 전면 철수하여 인근 섬으로 나간 업체 가운데 인양전문 업체인 88수중개발팀은 대청도로 나갔으며, 예인전문 업체인 현대해운은 백령도로 나갑니다. 현장에는 군인들과 크레인 기사만 남습니다. (천안함 1심 88수중개발 현장소장 권만식 증언)
그러나 4/14일은 미군이 백령도에 머문 기간 전체를 통털어 가장 바빴던 하루였습니다. (미 7함대 홈페이지 기록)
2010년 4월 15일 (목) 함미를 바지선 위에 올렸으나 거치대가 무너져버려 거치대 수리작업을 합니다. 거치대가 무너진 원인은 함미 프로펠러가 선체하부보다 1m 튀어나왔기 때문인데, 국방부는 그 사실을 감추고 좌우 프로펠러 하단을 플라즈마용접으로 잘라내 버립니다. 그러나 국방부는 프로펠러가 바지선 갑판에 부딛쳐 부러졌다고 주장합니다. (1심, 박정수, 문병옥 소장의 거짓증언)
2010년 4월 16일 (금) 함미 바지선 위에 탑재하고 평택으로 이동, 2함대 야적장에 거치합니다.
|
천안함 함미와 크레인이 ‘제3의 부표’ 인근 위치에 머무는 닷새 가운데, 美7함대 ‘작업팀’이 본격적으로 자신들만의 특별한 임무를 수행하였던 날은 닷새 가운데 중간인 ‘4월 14일’입니다.
그 전날인 4월 13일, 군 당국은 작업을 중단한다며 현장의 모든 한국인 작업자들을 대청도와 백령도로 내보냅니다. 즉 함미인양 업체인 88수중개발과 바지선 업체인 현대해운 작업자들 모두 현장을 떠납니다.
군 당국이 작업자들을 외부로 내보낸 이유는 ‘기상악화’였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현장 작업자들은 “이 보다 더 나쁜 날도 얼마든지 작업하는데.. 그리고 배에 있으면 되지 왜 나가라고 해..”라며 불만의 목소리를 냅니다.
당시 현장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88수중개발 현장소장 권만식씨를 1심 재판 증인으로 신청하여 신문을 하였습니다. 권 소장은 “대청도로 나가 처음으로 산에도 올라갔다”며 “현장에는 크레인 기사와 군인들만 남아 있었다”고 증언하였습니다.
그러나 정작 美7함대는 매우 바쁜 하루를 보였습니다. 위와 아래의 사진들은 한국 작업자들이 현장을 떠난 후인 4월 14일, 바쁘게 작업한 美7함대의 활동상황입니다. (美7함대 홈페이지 캡처)
저는 항해를 전공했고, 조선소에서 신조선 건조 감독을 하였으며, 해군 장교출신이라, 침몰 잠수함을 인양하기 위해서 반드시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추론하고 추정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美7함대가 인양업체 현장작업자들을 모두 내보내고 어떤 작업을 하였을까요.
신상철 (前 천안함 민군합동조사단 조사위원)
천안함과 충돌한 ‘잠수함’에 대하여 ①
천안함과 충돌한 ‘잠수함’에 대하여 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