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관련

수돗물도 낙동강 독성물질, 4대강 사업이 빚은 참사

道雨 2022. 9. 1. 09:00

수돗물도 낙동강 독성물질, 4대강 사업이 빚은 참사

 

 

 

낙동강 물을 정수한 수돗물에서도 마이크로시스틴이 다량 검출됐다고 한다. 강과 농작물, 바다에 이어, 가정집의 먹는 물에까지 녹조 독성물질이 흘러들어오고 있었다는 것은, 고도 정수처리로도 제대로 걸러내지 못할 만큼 원수의 수질이 심각하다는 뜻이다. 이제 낙동강의 ‘녹조라떼’는 단순히 보기 흉하거나 악취를 풍기는 단계를 넘어, 국민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차원까지 이르렀다. 말 그대로 재난 사태다.

 

낙동강네트워크·대한하천학회 등이 31일 발표한 영남권 지역 수돗물 녹조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 한달 남짓 부산, 경남, 대구, 경북 지역 가정집과 식당 등 22곳의 수돗물 표본 가운데 6곳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나왔다. 조사 대상의 27%에 해당한다. 이 정도면 예외적인 사건이 아니라 보편적인 현상이다.

2016년 경남 창원의 아파트 한곳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나온 적이 있지만, 영남권 전역에서 검출된 것은 처음이라고 한다. 검출량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음용수 기준치의 1.7~5.8배에 이른다. 아직 우리나라에는 규제 기준조차 없다.

 

마이크로시스틴은 독성이 청산가리보다 최대 200배 강하다. 생식기 등 온몸에 악영향을 미치는 발암물질이다.

 

앞서 이들 단체가 낙동강 30곳의 강물과 12곳의 퇴적토를 분석했을 때는, 모든 표본에서 미국 환경보호청 물놀이 기준치의 수백배까지 이르는 마이크로시스틴이 나왔다. 올여름 녹조가 퍼져 폐쇄됐던 부산 다대포 해수욕장 바닷물에서도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

 

마이크로시스틴은 낙동강 물로 기른 쌀과 채소에서도 세계보건기구의 허용치보다 최대 2.48배 많게 검출됐다. 이 농작물은 다른 지역에서 유통된다. 낙동강 녹조 독성물질은 이미 전국적인 사안이다.

 

이런 사태는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의 직접적인 결과다. 낙동강 강물의 체류시간은 8.6일에서 100.1일로 늘었다. 그런데도 윤석열 정부는 문재인 정부의 4대강 재자연화 정책을 되돌리려는 ‘표적 감사’에 여념이 없다. 감사원은 4대강조사·평가위원회 등이 보 개방·해체 결론을 유도하려고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을 수질 평가 항목으로 지정해 조작했다’는 주장까지 펼치고 있다. 화학적산소요구량은 보 건설 이전과 이후의 수질을 비교하려면 사용할 수밖에 없는 지표다.

 

지금은 정치적 꼼수나 부리고 있을 한가한 상황이 아니다.

정부가 전체 조사에 나서는 한편, 낙동강 수질 개선을 위한 근본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 2022. 9. 1  한겨레 사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