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상식

5공시절의 보도통제지침이 지금 다시 부활했는가?

道雨 2011. 7. 28. 12:35

 

 

 

    ‘KBS 도청의혹’ 보도 뒷짐 진 지상파 방송
 

 

‘피의자’ 지목된 기자 소환조사 등 사실 전달 안해
민언련 “의혹 해소를”…방송사 “자율 판단할 문제”

 

 

» <한국방송>(KBS) 직원들이 26일 낮 서울 여의도 한국방송 본관 로비에서 ‘도청 의혹’ 관련 사내 설문조사 결과가 담긴 전국언론노조 한국방송본부의 노보를 보고 있다. 김명진 기자littleprince@hani.co.kr
<한국방송>(KBS)의 민주당 최고위원회 ‘도청 의혹’ 사건과 관련해 당사자인 <한국방송>은 물론 <문화방송>(MBC)과 <에스비에스>(SBS) 등 다른 지상파 방송사들도 사건 보도에 소극적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최근 경찰로부터 도청 ‘피의자’로 지목된 장아무개 한국방송 기자의 소환 조사 소식을 전하지 않는 등 방송보도에서 이 사건을 거의 다루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민주언론시민연합(민언련)이 26일 낸 ‘방송3사 뉴스 일일브리핑’을 보면, <문화방송>과 <에스비에스>는 지난 8일 경찰의 장 기자 집 압수수색 보도 이후 26일까지 도청 의혹 사건에 대한 보도를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방송도 지난 11일 <뉴스9>을 통해 민주당 대표실 앞 시시티브이(CCTV·폐쇄회로텔레비전)의 존재 유무에 대한 뉴스를 전한 것 이외에 26일까지 도청 사건을 보도하지 않았다.

 

특히 지상파 방송 3사는 장 기자가 지난 14일 밤 경찰에 출석해 조사를 받은 사실은 물론, 23일 경찰이 장 기자를 피의자 자격으로 소환 조사한 사실도 전하지 않았다.

민언련의 이지혜 활동가는 “특정 방송사가 도청에 연루된 의혹이 있다면 언론은 이를 특정 언론사 내부 문제로 볼 것이 아니라 국민적 의혹 해소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보도해야 한다”며 “방송 3사가 동시에 도청 사건에 침묵하는 것은 문제”라고 비판했다.

 

또 민언련은 한국방송이 도청의혹 관련 사내 설문조사를 벌인 전국언론노조 한국방송본부를 상대로 지난 25일 법원에 설문조사 결과 공표금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다가 다음날 기각된 것에 대해서도 “(도청 의혹을 받고 있는) 한국방송이 책임있는 해명은커녕 노조의 여론조사 결과 공표까지 막으며 진실을 숨기는 데 급급했다”고 꼬집었다.

 

문화방송 노동조합도 25일 노보를 통해 도청 의혹 사건에 대한 자사의 소극적 보도 태도를 비판했다. 노조는 노보에서 “한국방송 기자의 노트북과 휴대전화가 압수수색 이전에 교체된 것으로 드러나 증거인멸 논란이 일었을 때도, 한국방송 기자가 경찰에 출두해 조사를 받았을 때도, (문화방송) <뉴스데스크>에서는 관련 내용을 보도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국방송과 문화방송 쪽은 문제될 것이 없다는 태도를 보였다.

이진숙 문화방송 홍보국장은 “특정 사안에 대한 보도 여부는 편집기준과 성실보도 원칙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라며 “보도의 양이 ‘적다’ ‘많다’는 판단은 시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혔다.

배재성 한국방송 홍보실장도 “(도청 의혹 사건을) 보도할지 말지에 대한 결정은 각 언론사가 자율적으로 판단할 문제”라고 말했다.

 

< 최성진 기자 csj@hani.co.kr >

 

 

 

 

 

     "MBC, KBS 도청의혹 보도 막았다"
  언론노조 MBC본부 “박태환 영상 얻으려 도청의혹 외면?”
 

민주당 도청 혐의를 받고 있는 KBS 기자가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당해 언론계 안팎의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MBC가 KBS 도청의혹 보도를 막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언론노조 MBC본부(본부장 정영하)는 25일 성명을 내고 "KBS 도청의혹 사건과 관련한 기사는 단순한 스트레이트일지라도 반드시 보고하고 허락을 받아야 기사를 쓸 수 있다"며 "5공화국 시절 정부가 언론사에 내렸던 보도지침이 다시 부활한 것과 같다"고 주장했다.

본부에 따르면 박아무개 MBC보도국 부장은 지난 12일 KBS 도청의혹을 취재하는 기자들에게 "민감한 사안이니 선배들에게 반드시 보고하고 상의한 뒤 스트레이트 기사를 쓰라”고 지시했다.
 
본부는 또 22일에는 문아무개 보도국장이 방송을 막아 이날 KBS 도청의혹 방송이 시청률이 낮은 낮 12시와 오후 3시50분 뉴스에서만 보도됐다고 전했다.

앞서 MBC는 민주당이 도청의혹을 폭로했는데도, 사흘이나 지난 뒤 첫 리포트를 한 바 있다. MBC는 그 후에도 KBS 기자가 경찰에 출두해 조사를 받고, 증거인멸 논란에 휩싸였을 때도 9시 뉴스데스크에서 관련내용을 보도하지 않았다.

문아무개 보도국장은 △경쟁사에 대한 보도가 자칫 역풍을 불러올 수 있고 △도청을 입증할 만한 객관적인 증거 확보가 힘든 상황에서 치고 나가기 힘든 면이 있고 △박태환 중계화면과 관련해 대회 주관 방송사인 KBS의 압박 등이 있었다고 본부에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본부는 "지금 기사 통제는 어떻게 하면 다른 언론이 다 보도한 뒤 체면치레용으로 뒤따라갈 것인가를 고민하는 것으로 철저히 눈감고 외면하자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본부 관계자는 "MBC의 보도통제는 도청의혹으로 궁지에 몰린 김인규 KBS 사장을 살리기 위한 것으로 그 배후에 청와대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며 “‘청와대 파이프라인’이라는 오명을 갖고 있는 전아무개 MBC보도국 본부장과 경영진은 이 같은 의혹에 대해 해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은성 기자  kes04@labortoday.co.kr

 

 

 

 

      KBS기자 ‘도청 의혹’ 윗선도 개입 의혹?

노트북 분실 경찰에 신고 안 해…“KBS측 미확인 납득 안 돼”

 

[세계일보]

 

국회 도청 의혹과 관련해 경찰 수사대상에 오른 KBS 장모 기자가 노트북과 휴대전화를 잃어버렸다면서도 경찰에 따로 분실신고를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장 기자의 노트북에는 회사 자료 시스템과 접속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깔려 있었다. 특히 KBS 측은 경찰에 분실신고 여부 등을 확인조차 하지 않고 장 기자에게 노트북과 휴대전화를 새로 지급했다는 것이어서 의혹을 키우고 있다.

 

17일 경찰 등에 따르면 장 기자는 경찰에 분실신고를 하지도 않은 채 노트북과 휴대전화를 잃어버렸다고 회사에 보고한 뒤 새 제품을 지급받았다. KBS 측은 노트북이나 휴대전화 분실에 대비해 회사 차원에서 보험에 가입해 있는데, 도난 등을 입증하는 서류를 제출해야 보험처리가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장 기자가 노트북과 휴대전화를 잃어버렸다는 시점이나 장소가 명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경찰에 분실신고조차 하지 않은 점이 석연치 않다고 판단하고, 조만간 KBS 측에 정식 공문을 보내 노트북과 휴대전화 교체 과정을 확인할 방침이다.

KBS 측은 경찰이 8일 장 기자의 집을 압수수색해 확보한 노트북과 휴대전화가 민주당 대표실 비공개회의 때인 지난달 23일 쓰던 것과 다른 제품이라는 사실이 밝혀지자, ‘장 기자가 6월 말 회식을 한 뒤 노트북과 휴대전화를 잃어버려 새로 지급받았다’고 해명했다.

 

경찰 관계자는 “KBS 기자 노트북에는 회사 서버와 연결할 수 있는 ‘보도정보 시스템’ 같은 중요 프로그램이 깔려 있어 이를 분실해 놓고서도 경찰에 신고를 안 했다는 게 납득되지 않는다.”면서 “KBS가 휴대전화나 노트북을 잃어버린 것인지, 훼손한 것인지 등을 확인하지 않고 새 제품으로 바꿔주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휴대전화의 경우 통신사에 분실신고가 돼 있는데 통신사는 사용자가 분실신고를 하면 그대로 받아줄 뿐이어서 신고가 별 의미가 없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KBS 홍보팀 관계자는 “노트북과 휴대전화는 회사 용품이라서 장 기자가 지난달 29일을 전후로 회사 내부에 분실신고를 하고 다시 지급받은 것으로 안다”고만 말했다.

 

 

 

이런 경우를 두고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린다고 하죠? 장 기자. 저 피래미 기자 혼자서 노트북, 휴대전화 분실 시나리오를 썼을까요? 도청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KBS 사장 김인규의 목이 먼저 달아날 것이고 후엔, 한선교, 이명박, 박근혜 순으로 추풍낙엽이 될 터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