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상식

연합뉴스 23년 만의 파업 “찌라시로 불리기 싫다”

道雨 2012. 3. 16. 12:20

 

 

연합뉴스 23년 만의 파업 “찌라시로 불리기 싫다”

 

국가 기간통신사 <연합뉴스>의 노조가 공정보도 회복과 박정찬 사장 연임 저지를 내걸고 어제부터 파업에 들어갔다.

전체 조합원 504명 중 471명이 찬반투표에 참여해 84.1%(396명)의 높은 찬성률로 결정된 파업이다.

1989년 편집국장 복수추천제를 요구하며 파업을 벌인 이후 23년 만이다.

 

연합뉴스 기자들이 펜과 마이크를 놓은 것은 이명박 정부 편향의 불공정 보도와 보도전문채널 <뉴스와이> 진출에 따른 노동여건 악화, 사내 민주주의 후퇴 등으로 누적된 분노가 폭발한 결과다.

노조는 파업특보 ‘우리들의 일그러진 자화상’을 통해 박 사장 체제 아래서 부끄러웠던 스스로를 반성하고 국민에게 용서와 신뢰를 구한다.

한 조합원은 이 특보에서 “제가 쓴 기사에 ‘연합찌라시’ 기자라는 댓글이 달렸습니다. 나는 연합찌라시가 아니라 연합뉴스에 다닙니다”라고 자괴감을 털어놓는다.

‘찌라시’ 오명을 벗고 싶다는 것, 바로 이것이 연합뉴스 파업의 출발점이자 종착지다.

 

노조가 고백한 연합뉴스의 모습은 ‘바른 언론 빠른 통신’이라는 모토와 너무나 거리가 멀다.

한명숙 전 총리의 재판 관련 기사는 편집국 간부들이 손질을 하는 과정에서 왜곡이 너무 심해 기자가 자기 이름을 거부해 ‘법조팀’으로 나갔다.

4대강 특집 기사는 ‘수달과 학이 함께 살 남한강’ ‘금강 살려 백제문화도 복원’ 등으로 손발이 오글거리는 홍보성 일색이었다.

이명박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 논란도 의혹 규명은 뒷전이고 해명에만 치우쳤다고 한다.

 

연합뉴스는 국내 방송과 신문, 정부, 포털사이트 등은 물론 국외의 계약 매체에 뉴스를 공급한다.

이런 통신사의 파업은 지방 신문 등 많은 언론사의 뉴스 제작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사내 구성원들의 의사가 분명히 확인된 만큼 박 사장은 현명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옳다.

 

아울러 차제에 연합뉴스의 재정 문제 등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연합뉴스는 ‘뉴스통신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구독료 형태로 정부의 지원을 받는다. 올해는 그 규모가 354억원이다.

연합뉴스의 재정 안정이 목적이겠지만, 한편으론 정부의 개입 공간이 크다. 이런 구조에서는 정부 눈치를 보지 않기 어렵다.

 

[ 2012. 3. 16  한겨레 사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