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석 언론인 |
지금부터 꼭 37년 전인 1975년 4월9일 새벽, 이 여덟 사람이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이들은 이른바 인민혁명당 재건위 사건(인혁당 사건)의 주모자로 낙인찍혔다. 반공법과 국가보안법을 어기고 형법의 내란예비음모죄와 내란선동죄를 저질렀다는 혐의로 그 전해 기소된 이들에게 비상고등군법회의는 사형을 선고했고(민간인이 군사재판을 받던 시절이다!), 이듬해 4월8일 대법원은 이들의 상고를 기각했다. 그러니까 대법원이 확정판결을 내린 지 하루도 안 돼 이들은 차가운 시신이 되었다.
이들은 북한의 간첩이었던가? 아니었다.
이들은 내란을 꾀했던가? 그러지 않았다.
이들은 공산주의자였던가? 알 수 없다.
한 사람이 제 내면에 어떤 신념을 지녔는지를 하느님이 아니면 누가 알 수 있겠는가? 적어도 이들은 공개석상에서 자신들이 공산주의자라고 인정한 바 없다. 그런데도 이들은 탈장까지 될 정도의 무지막지한 고문(당시 민청학련을 배후 조종했다는 혐의로 하재완의 옆방에 수감됐던 시인 김지하의 증언)을 통해 공산주의자가 되었고 내란음모자가 되었다. 그리고 자신들이 인정하지 않은 ‘범죄’를 저질렀다는 이유로 목숨을 잃었다. (그런데 공산주의자들에겐 고문을 해도 되고, 공산주의자들은 다 죽여야 할까?)
젊은 세대에겐 생소할지도 모르는 이 인혁당 사건은, 당시 대학생들의 민주화운동이 힘을 얻자 학생운동권의 소위 민청학련을 영남지역 사회운동권과 얽어 반정부운동 일체를 일소하려던 박정희 정권의 사법적 살해 계책으로 해석된다. 제네바에 본부를 둔 국제 법학자 회의는 이날을 ‘사법사상 암흑의 날’로 선포했다.
이 사건은 한국 민주주의가 기지개를 켜던 1989년 <4월9일>이라는 연극의 소재가 되었고, 2000년에는 김태일 감독의 손을 거쳐 <4월9일>이라는 다큐멘터리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잔혹한 고문과 서둘러 집행된 사형 말고도 조작의 낌새는 사건 당시 이미 또렷했다. 주검 대부분이 가족의 동의 없이 곧바로 화장됐고, 이에 항의하던 조지 오글 목사와 제임스 시노트 신부 등 외국인 선교사들이 나라 바깥으로 쫓겨났다. 요컨대 1975년 오늘은 박정희 유신체제가 그 광기를 섬뜩하게 드러낸 날 가운데 하나다.
총선을 바로 앞두고 인혁당 사건을 거론하는 것이 새누리당 박근혜 비대위원장에 대한 공격으로 읽히지 않았으면 한다. 나는 지금 낡아빠진 연좌제의 깃발을 흔들어대고 있지 않다. 인혁당 사건을 조작한 것은 박정희지 박근혜 위원장이 아니다.
물론 2007년 사법부가 이 사건을 재심한 끝에 여덟 사람 모두에게 내린 무죄판결을 박 위원장이 자신에 대한 ‘정치공세’에 불과하다고 일축한 것은 실망스러운 일이다. 박 위원장이 박정희를 제 정치자산으로 삼아온 만큼 더욱더 그렇다. 여북하면 김영삼 정권 시절 청와대 교문수석을 지낸 김정남씨가 박 위원장의 이 냉혹함을 보고 ‘인간에 대한 절망’을 느낀다고 극언했을까.
그러나 박 위원장의 태도 못지않게, 아니 어쩌면 그보다 더 문제가 되는 것은 그 시대를 살아낸, 나이 든 유권자들의 태도다. 실상 유권자들이 그 사건에 분노하고 있다면, 박 위원장이 저리 배짱 좋게 나올 수도 없을 것이다. 그 점에서 우리는 박정희와 박 위원장의 공범이다. 우리도 겪었을 수 있었을 저 끔찍한 인권유린에 대해 우리는 입 다물고 있다. 왜? 당한 것이 ‘우리’가 아니라 우연히 ‘그들’이었기 때문이다.
인혁당 사건 피해자들을 포함한 박정희 정권 시절의 인권 피해자들을 우리가 ‘그들’로 여기는 한,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앞날은 어둡다. 결국 인혁당 사건은 박정희 정권에 대한 윤리적 심문거리만이 아니라 우리들 모두에 대한 윤리적 심문거리이기도 한 셈이다.
나와 가족만 안 당한다면 우리 이웃 누군가가 어떤 험한 꼴을 당해도 상관없다는 생각은 우리를 인간에 미달하는 존재로 만들 뿐 아니라, 대한민국 공동체의 통합을 크게 해칠 것이다.
잊지 말자, 저 여덟 사람을. 오늘은 4월9일이다.
고종석 언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