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합의 "새 북미관계 수립-완전한 비핵화 노력"
[합의문 전문] "평화체제 구축" "유해송환" 등 4개항 포괄적 합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12일 4개항의 포괄적 합의문에 서명했다.
합의문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새로운 미국-북한 관계 수립과 관련한 이슈들을 놓고 포괄적이고 깊이 있게, 진지한 의견 교환을 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체제안전 보장을 제공하기로 약속했고, 김정은 위원장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확고하고 흔들림 없는 약속을 재확인했다"며, 4가지 합의사항을 밝혔다.
두 정상은 첫번째, "미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평화와 번영을 위한 양국 국민의 희망에 따라 새로운 북미 관계를 수립한다"고 합의했다.
두번째 "미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반도에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평화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에 동참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세번째, " 2018년 4월 27일 판문점 선언을 재확인하면서,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노력한다"고 합의했다.
네번째, "미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미 확인된 사람들의 즉각적인 송환을 포함해, 전쟁포로(POW)와 전장실종자(MIA) 송환을 약속한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합의문 원문과 영문 번역문 전문.
원문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미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새로운 관계 수립과 한반도의 지속적이고 견고한 평화체제 구축과 관련한 사안들을 주제로 포괄적이고 심층적이며 진지한 방식으로 의견을 교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안전보장을 제공하기로 약속했고, 김정은 위원장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향한 흔들리지 않는 확고한 약속을 재확인했다.
새로운 북미관계를 수립하는 것이 한반도와 세계의 평화, 번영에 이바지할 것이라는 점을 확신하고, 상호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한반도 비핵화를 증진할 수 있다고 인정하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아래와 같은 합의사항을 선언한다.
1. 미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평화와 번영을 위한 양국 국민의 바람에 맞춰 미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새로운 관계를 수립하기로 약속한다.
2. 양국은 한반도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함께 노력한다.
3. 2018년 4월 27일 판문점 선언을 재확인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향해 노력할 것을 약속한다.
4. 미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신원이 이미 확인된 전쟁포로, 전쟁 실종자들의 유해를 즉각 송환하는 것을 포함해 전쟁포로, 전쟁실종자들의 유해 수습을 약속한다.
역사상 처음으로 이뤄진 북미 정상회담이 거대한 중요성을 지닌 획기적인 사건이라는 점을 확인하고, 북미 간 수십 년의 긴장과 적대행위를 극복하면서 새로운 미래를 열어나가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공동성명에 적시된 사항들을 완전하고 신속하게 이행할 것을 약속한다. 미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북미정상회담의 결과를 이행하기 위해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관련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고위급 관리가 주도하는 후속 협상을 가능한 한 가장 이른 시일에 개최하기로 약속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합중국 대통령과 김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장은 북미관계의 발전, 한반도와 세계의 평화, 번영, 안전을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영문 번역문
Joint Statement of President Donald J. Trump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Chairman Kim Jon Un of the State Affairs Commiss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t the Singapore Summit
President Donald J. Trump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Chairman Kim Jong Un of the State Affairs Commiss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held a first, historic summit in Singapore on June 12, 2018.
President Trump and Chairman Kim Jon Un conducted a comprehensive, in-depth and sincere exchange of opinions on the issue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new US-DPRK relations and the building of a lasting and robust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President Trump committed to provide security guarantees to the DPRK, and Chairman Kim Jong Un reaffirmed his firm and unwavering commitment to complete denucl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onvinced that the establishment of new US-DPRK relations will contribute to the peace and prosper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of the world, and recognizing that mutual confidence building can promote the denucl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President Trump and Chairman Kim Jong Un state the following:
1. The United States and the DPRK commit to establish new US-DPRK rel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desire of peoples of the two countries for peace and prosperity.
2. The Unite States and the DPRK will join the efforts to build a lasting and stabl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3. Reaffirming the April 27, 2018 Panumunjom Declaration, the DPRK commits to work toward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4. The United States and the DPRK commit to recovering POW/MIA remains, including the immediate repatriation of those already identified.
Having acknowledged that the US-DRPK summit - the first in history - was a epochal event of great significance in overcoming decades of tensions and hostili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for the opening up of a new future, President Trump and Chairman Kim Jong Un commit to implement the stipulations in this joint agreement fully and expeditiously. The United States and the DPRK commit to hold follow-on negotiations, led by the US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 and a relevant high-level DPRK official, at the earliest possible date, to implement the outcomes of the US-DPRK summit.
President Donald J. Trump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Chairman Kim Jong Un of the State Affairs Commiss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ave committed to cooperate for the development of new US-DPRK relations and for the promotion of peace, prosperity, and the secur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of the world.
이영섭 기자
********************************************************************************************************
北 "트럼프, 단계별-동시행동 원칙에 합의"
"김정은의 군사행동 주지 요구, 트럼프가 수용"
지난 12일 북미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미 간 '선의의 대화'가 진행되는 동안 한미연합 군사훈련을 중단할 수 있다는 의향을 밝혔다고 북한 매체가 13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북미정상회담 내용을 보도하며 확대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당면해서 상대방을 자극하고 적대시하는 군사 행동들을 중지하는 용단부터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고 밝혔다.
통신은 "미합중국 대통령은 이에 이해를 표시하면서, 조미(북미) 사이에 선의의 대화가 진행되는 동안 조선(북한) 측이 도발로 간주하는 미국·남조선(한미) 합동군사연습을 중지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안전담보를 제공하고, 대화와 협상을 통한 관계 개선이 진척되는 데 따라 대조선(대북) 제재를 해제할 수 있다는 의향을 표명하였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회담에서 "미국 측이 조미관계 개선을 위한 진정한 신뢰구축 조치를 취해나간다면, 우리도 그에 상응하게 계속 다음 단계의 추가적인 선의의 조치들을 취해나갈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통신은 덧붙였다.
아울러 통신은 "조미 수뇌분들께서는 조선반도의 평화와 안정, 조선반도의 비핵화를 이룩해나가는 과정에서 단계별, 동시 행동 원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대하여 인식을 같이하시었다"며 양측이 '단계적 동시 행동' 원칙에 동의했다고 주장했다.
통신은 단독회담에 이은 확대 정상회담에 북측에서는 김영철·리수용 노동당 부위원장과 리용호 외무상이, 미국 측에서는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존 켈리 비서실장이 배석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북미 정상과 양측 수행원들이 참석한 오찬이 열렸으며, 그 자리에서 "조미(북미) 회담의 성과를 공고히 하고 조미관계를 획기적으로 발전시켜나가기 위하여 쌍방 사이에 의사소통과 접촉·래왕(왕래)을 보다 활성화해나갈 데 대한 의견들이 교환되었다"고 전했다.
아울러 "조미 수뇌분들께서는 오찬이 끝난 후 함께 산책하시며 친교를 두터이 하시었다"면서, 잇따라 공동성명 서명식이 열렸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오늘 과거를 덮고 새로운 출발을 알리는 역사적인 공동성명에 서명하게 된다"라며 "세계는 중대한 변화를 목격하게 될 것"이라는 김정은 위원장의 당시 발언을 소개했다.
통신은 "최고영도자 동지와 트럼프 대통령은 적대와 불신, 증오 속에 살아온 두 나라가 불행한 과거를 덮어두고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 훌륭하고 자랑스러운 미래를 향하여 힘차게 나아가며 또 하나의 새로운 시대, 조미 협력의 시대가 펼쳐지게 될 것이라는 기대와 확신을 피력했다"고 강조했다.
또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편리한 시기에 평양을 방문하라고 초청했고, 트럼프 대통령도 김 위원장에게 미국 방문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통신은 첫 북미정상회담에 대해 "조선반도와 지역에 도래하고 있는 화해와 평화, 안정과 번영을 위한 역사적 흐름을 보다 추동하고 가장 적대적이었던 조미 두 나라 사이의 관계를 시대발전의 요구에 맞게 획기적으로 전환시켜나가는 데서 중대한 의의를 가지는 거대한 사변으로 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연합뉴스
******************************************************************************************************
트럼프 "한미연합훈련 중단. 조만간 종전선언"
"미사일엔진 실험장 폐쇄 약속", "완전한 비핵화에 오래 걸릴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2일 "한미연합훈련을 중단하겠다"고 전격 선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싱가포르 센토사 섬 카펠라 호텔에서 가진 북미정상회담 합의 발표 기자회견에서 "우리가 (북한과) 협상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군사훈련을 하는 것이 부적절하고 매우 도발적이라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우리가 (훈련의) 비용 대부분을 지출하고 있다. 한국도 부담하지만 일부분"이라며 "괌에서 한국까지 와서 폭격 연습하고 가는 데 큰 비용이 드는데 그것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 훈련을 중단할 경우 엄청난 비용을 아낄 수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주한미군 감축 여부와 관련해선 "주한미군은 감축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주한미군은 지금 논의에서 빠져있으며 미래 협상을 봐야 한다"고 여지를 남겼다.
그는 종전선언 여부에 대해선 "조만간 실제로 종전선언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평화협정 체결시 한국, 중국의 참여 여부에 대해선 "고려 중이다. 법적으로 의무사항인지 여부와는 별도로, 한국과 중국도 참여하기 바라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북한 비핵화시 경제지원 비용에 대해선 "한국이 일본이 도와줄 것이고, 도와야한다고 생각한다. 미국은 아니다. 다른데서도 돈이 많이 들어갔다"며 "한국과 일본은 북한의 옆에 있고 아주 훌륭한 일이기에 도울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북미수교에 대해선 "북미수교는 가능한 한 빨리하기를 원하나 지금은 시기상조"라고 말해, 북한의 약속 이행을 지켜본 뒤 수교를 할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완전한 비핵화'와 관련해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한 미사일 엔진 실험장 폐쇄를 약속했다"며 "미국과 국제사회가 포함된 많은 사람을 투입해 북한의 비핵화를 검증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완전한 비핵화에 상당히 오래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밝혀, 북한측 요구를 수용했음을 시사했다.
그는 김 위원장에 대해선 "김 위원장과의 회담은 정직하고 직접적이었으며 생산적이었다"면서 "그는 안보와 번영을 위한 역사적 인물로 기록될 것"이라고 극찬했다.
그는 "김 위원장에게 워싱턴 D.C에 방문해달라고 했는데 수락했다"며, 자신도 "적절한 시기에 평양을 방문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김 위원장과 진솔한 대화를 나눴다"면서 "실질적인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많은 조건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역사를 새로 쓰고 장을 새로 열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병성 기자
****************************************************************************************************
文대통령 "'센토사 합의', 마지막 냉전 해체한 세계사적 사건"
"역사적 북미정상회담 성공 축하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12일 "역사적인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을 뜨거운 마음으로 축하하며 환영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입장문을 통해 이같이 밝히며 "5월 26일 통일각에서 김정은 위원장을 다시 만났을 때, 그리고 바로 어제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면서 조심스레 회담의 성공을 예상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그러나 70년에 이르는 분단과 적대의 시간은, 눈 앞에서 벌어지는 사실조차 믿기 어렵게 하는 짙은 그림자였다"며 "낡고 익숙한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새 변화를 선택해 준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두 지도자의 용기와 결단에 높은 찬사를 보낸다"고 거듭 북미 정상을 극찬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6월 12일 '센토사' 합의는 지구상의 마지막 냉전을 해체한 세계사적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라며 "미국과 남·북한이 함께 거둔 위대한 승리이고, 평화를 염원하는 세계인들의 진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누구도 해내지 못한 위업을 마침내 이뤄낸 트럼프 대통령에게 다시 한 번 경의를 표한다"며 "김정은 위원장도 세계를 향해 과감하게 첫발을 내디딘 역사적인 순간의 주역으로 기억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회담 성공을 위해 노력해 준 리센룽 총리와 국제사회의 모든 지도자들께도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이번 합의를 바탕으로, 우리는 새로운 길을 갈 것이다. 전쟁과 갈등의 어두운 시간을 뒤로하고, 평화와 협력의 새 역사를 써갈 것이다. 그 길에 북한과 동행할 것"이라며 "이제 시작이고 앞으로도 숱한 어려움이 있겠지만, 다시는 뒤돌아가지 않을 것이며, 이 담대한 여정을 결코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역사는 행동하고 도전하는 사람들의 기록이다. 우리 정부는 이번 합의가 온전히 이행되도록, 미국과 북한, 그리고 국제사회와 아낌없이 협력할 것"이라며 "한반도에 항구적인 평화가 정착되고, 공존과 번영의 새 시대가 열릴 수 있도록, 대한민국의 대통령으로서 혼신의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최병성 기자
'뉴스자료, 기사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6.13 지방선거 결과(총괄) : 국회의원 재보궐,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교육감 (0) | 2018.06.14 |
---|---|
[북미회담 촌평] 트럼프 대통령, 다시 봤다 (0) | 2018.06.13 |
부산시, ‘어르신 교통사랑 카드’ 전국 첫 운영…고령자 운전면허 반납때 각종 혜택 (0) | 2018.06.08 |
文대통령, '드루킹 특검'에 허익범 변호사 임명 (0) | 2018.06.07 |
우리나라 대륙철도 길 열렸다..北협조로 국제철도협력기구 가입 (0) | 2018.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