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인물 관련

우암 송시열과 백호 윤휴

道雨 2021. 3. 15. 18:11

우암 송시열과 백호 윤휴

 

- 조선의 주자 vs 사문난적

 

 

# 보수의 세기, 주자학의 광기(狂氣)

 

조선의 유학사를 말할 때, 대개 율곡 이이의 학통은 사계(沙溪) 김장생 신독재(愼獨齋) 김집 동춘당(同春堂) 송준길 우암(尤庵) 송시열로 전승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율곡은 경장(更張)’안민(安民)’을 정치의 최우선적 가치로 여긴 개혁적 성향의 성리학자였던 반면, 김장생 이후 김집과 송시열에 이르기까지 서인(특히 노론 계열) 세력은 신분 질서춘추의리(春秋義理, 중화를 숭상하고 오랑캐를 물리친다)’를 정치와 사상의 최고 가치로 삼은 보수적 성향의 주자학자였다.

 

율곡의 성리학 사상과 정치 철학이 집약되어 있는 성학집요(聖學輯要)를 살펴보면, 그는 시무(時務)란 시대의 변화에 따라 마땅히 할 일이 따로 있다고 지적하면서, 그 큰 요체는 창업(創業)과 수성(守城)과 경장(更張)의 세 가지뿐이라고 했다.

그리고 조선을 지은 지 이미 오래되어 재목이 낡아 곧 썩어 무너지려 하는 집에 비유하면서, 폐정(弊政)과 낡은 인습, 그리고 묵은 폐단을 바로잡아 고치는 경장, 개혁이 그 시대의 과제라고 주장했다.

또한 왕도정치(王道政治)란 곧 백성을 하늘로 삼고, 백성은 생업을 하늘로 삼으니, 만약 백성이 하늘로 삼는 것을 잃게 되면, 나라는 의지할 데를 잃게 되므로, ‘安民이야말로 왕도정치의 근본이라고 강조했다.

율곡에게 정치란 백성의 노역(勞役)을 덜어주고, 백성의 생업을 충족해주어서, 백성을 편안하고 이롭게 해주는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그런데 율곡의 수제자라 자처한 김장생은 율곡의 개혁적 성향과 민본주의를 전승하기 보다는, 성리학에서도 가장 보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 예학(禮學)’을 일생 동안 연구하고 후학들에게 전해준 예학의 대가였다. 더욱이 김장생은 율곡이 아닌 구봉(龜峯) 송익필에게 예학을 배웠다.

그는 20세 때 율곡의 문하에 나아가 수업을 받았는데, 이보다 7년 전인 13세 때 이미 송익필에게 나아가 종학(從學)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율곡을 스승으로 모시기 훨씬 전부터 송익필을 스승으로 섬겼다는 얘기다.

 

송익필은 율곡과 우계 성혼 등과 교우한 사림의 인사였는데, 성리학 중에서도 특히 예학을 깊이 연구하여 일가를 이루었다. 그는 신분상 서출(庶出)이라는 약점이 있었다. 송익필은 신분은 물론이고, 사상에 있어서도 적통(嫡統)을 중요시했던 서인이 종조로 삼을 수 없는 치명적인 약점을 가진 사람이었다.

김장생 이하 송시열에 이르기까지 서인 노론 계열은 송익필의 보수적 성향을 전승했으면서도, 율곡의 권위를 빌어 자신들의 권력에 정치적 명분과 정당성을 입힌 것이라 할 수 있다.

 

송익필과 김장생에 의해 일가를 형성한 예학이란, 신분 질서에 따라 지켜야 할 예법과 예절, 혹은 규범과 관습 일체를 연구하고 실천하는 학문을 말한다.

조선의 신분질서는 왕을 정점으로 한 사() () () ()의 위계에 더해, 인간이 아닌 재물로 취급당한 노비로 구성되어 있었다.

쉽게 말해 예학은 제왕은 제왕답게, 사대부는 사대부답게, 농민은 농민답게, 공인은 공인답게, 상인은 상인답게, 노비는 노비답게 살아야 한다는 학설일 따름이다.

 

율곡이 개혁을 시대적 과제로 삼고, 安民바뀌지 않는 진리라고 보았던 것처럼, 김장생은 사농공상의 신분질서를 하늘이 부여한 진리로 여겨, 조선이 개국 초기부터 유지해온 기존 체제는 결코 바꿀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가르침의 연장선상에서 송시열은 예()를 정치의 근본이라고 주장했다. “임금이 해야 할 일이란 오직 하늘이 부여한 (신분) 질서와 명령을 이행하는 데 불과하다.”라는 극단적인 언사까지 서슴없이 했다.

 

김장생과 그를 이은 후학인 김집과 송시열 등이, 종주(宗主)로 섬긴 율곡의 철학이나 사상과 얼마나 거리가 멀었는가에 대해서는 대동법 논쟁만 살펴보아도 알 수 있다.

대동법은 방납의 폐단을 없애 백성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공납(세금)을 현물이나 토산물이 아닌 쌀로 통일해 거두자고 주장한, 율곡의 수미법(收米法)을 차용한 개혁 정책이다.

그런데 대동법을 둘러싸고 서인 세력이 대동법 실시를 적극 주장하는 한당(漢黨)과 대동법을 격렬하게 반대하는 산당(山黨)으로 갈라섰을 때, 산당을 이끈 이들이 다름 아닌 김집과 송시열, 그리고 송준길이었다. 자신들이 종조로 추앙한 율곡의 뜻을 정면으로 위반한 정치 행보였다.

당시 이들은 대동법을 반대하면서, 공납(세금)의 부담과 고통으로 말미암아 빈민이나 유랑민 심지어 도둑의 신세로 전락한 백성들을 신분 질서로 더욱 강하게 옥죄어 단속해야 한다면서, 호패법의 실시를 주장했다.

 

송시열의 정치적 보수성도 문제였지만, 정작 심각한 보수성은 주자학을 유일무이한 사상으로 삼아, 주자(朱子)의 학설 이외의 모든 학문과 사상을 배척하고 탄압한 학문적·사상적 보수성에 있었다.

송시열은 논어·맹자·대학·중용등 유학의 경전인 사서(四書)보다도, 주자가 여기에 해석과 설명을 덧붙인 사서집주(四書集註)’를 오히려 더 숭배했다.

송시열은 주자의 경전 해석이나 학설에 모든 학문과 사상을 끼워 맞추고, 여기에서 단 한 글자라도 어긋나거나 다른 의견을 내놓으면 사문난적(斯文亂賊)으로 몰아 정치적으로 핍박하고, 심지어 사상적인 사형(死刑)을 가했다.

 

송시열이 정치하던 시대에 유독 사문난적이라는 죄목을 뒤집어 쓴 사상범들이 속출했는데, 윤선도, 윤휴, 허목, 윤증, 박세당 등이 그들이다. 그중에서도 조선판 매카시즘(극단적이고 초보수적인 반공주의 선풍)’이라고 할 수 있는 사문난적의 최대 피해자는, 누가 뭐라고 해도 송시열의 정치적·학문적 라이벌이었던 윤휴였다.

 

 

# 우암(尤庵) : 주자학의 수호신, 송자(宋子)로 살다

 

송시열은 1607(선조 40)에 태어나, 1689(숙종 15)에 사망했다. 그는 조선의 유학자 중 유일하게 공자나 맹자 그리고 주자와 같은 반열인 송자(宋子)’라는 극존칭을 얻은 인물이다. 그는 평생 자신이 주자학의 적통(嫡統)을 계승했다고 자부하면서, 주자학의 수호신으로 살았다.

 

나이 24(1628) 때 김장생에게 취학해, 10년 동안 주자학과 예학을 배운 송시열은, 김장생 사후 그의 아들인 김집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이후 그는 김장생과 김집의 학통과 당파를 이은, 서인 노론 계열의 정신적 지주이자, 정치적 수장으로 일생을 보냈다.

 

병자호란 이후 북벌(北伐)을 국시(國是)로 내건 효종이 즉위하면서, 반청척화론(反淸斥和論)을 주창한 송시열은 조정의 중심인물로 급부상한다. 오랑캐인 여진족이 세운 청나라에게 당한 치욕을 갚고, 중화의 뿌리인 명나라에 대한 은혜를 갚는다는 요지의 반청척화론은, 주자학의 정통성과 권위를 지키고자 한 송시열의 학문 세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송시열에게 명나라는 사대(事大)의 예()로 섬겨야 할 나라였고, 사상의 조국(祖國)이었다. 그런 명나라를 멸망시킨 여진족의 청나라는, 성인의 도통(道統)을 끊어버리고 사상의 조국을 짓밟은 야만적인 오랑캐에 불과했다. 송시열은 명나라가 멸망한 이후 공자와 주자의 도통과 정통성은 조선의 주자학으로 넘어왔다고 여겼다.

그의 문하였던 서인 노론 세력은 그 도통과 정통성의 최고 정점에 조선의 주자인 송자(宋子), 곧 송시열이 존재한다고 믿었다. 유학과 성리학의 도통을 공자 주자 송자로 여길 정도였다.

 

송시열의 반청척화론과 북벌사상은 공자와 주자의 나라인 명나라에 대한 춘추의리를 지키는 것이자, 명나라의 멸망으로 위기에 내몰린 주자학의 도통과 정통성을 지켜 나가겠다는 시대착오적인 사고의 산물이었다. 송시열이 보기에 자신과 다른 학설을 주장하고 경전 해석을 하는 유학자들은 모두 사문난적일 뿐이었다.

사서삼경(四書三經)과 같은 유학의 원() 경전에 주자와 다른 학설과 의견을 내세우면, 학문을 더럽힌 도적이나 역적으로 몰아, 벽지로 내쫓거나 귀양 보내고, 심지어 죽이기까지 했다.

 

우암(尤庵)’이라는 송시열의 호 역시 전투적이고 비타협적이었던 사상 논쟁의 과정에서 탄생했다. ‘()’라는 한자는 잘못 혹은 허물을 뜻한다. 이 호를 얻게 된 사연이 송자대전(宋子大典)』 「연보에 자세하게 나온다.

 

창주가 장난삼아 농담하기를 그대가 이처럼 말이 많으니, 말에 허물[]이 적다고 할 수 없다. 이에 내가 마땅히 그대의 서실(書室)에 우()라고 이름 붙여야겠다.’라고 하였다. 선생(송시열)은 웃으면서 그대가 좋은 말로 내 서실의 이름을 지어준다면 내가 감당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지금 좋지 않은 말로 이름을 지어주니, 별호(別號)는 비록 신재(愼齋, 김집)께서 경계하신 것이지만, 내가 어찌 감히 사양하겠는가.’라고 답했다. 그 뒤로 창주는 선생에게 편지를 보낼 때 항상 우암(尤庵)’이라고 썼다.

 

여기에서 송시열에게 우암(尤庵)’이라는 호를 지어준 창주(滄洲) 김공(金公)은 김익희를 말한다. 그는 송시열의 큰 스승인 감장생의 손자로, 성균관 대사성과 사헌부 대사헌을 거쳐 예문관 대제학에 오른, 당대 최고의 학자이자 문사였다. 송시열 보다는 3년 연하였다.

김익희가 송시열과 논쟁을 하다가, 워낙 고집이 세어 한 치도 자신의 의견을 굽히려고 하지 않는 송시열에게 희롱삼아 지어준 호가 다른 아닌 우암(尤庵)’이다.

공격적이고 비타협적이었던 송시열의 성정(性情) 때문에, 농담 삼아 지어 부른 호가 진짜 호가 되어버렸다.

송시열은 이 고집 때문에 수많은 사람들을 유배지로 보내거나 죽음에 이르게 했고, 종국에는 자신도 사약을 받고 세상을 떠나는 비극적인 운명을 맞아야 했다.

 

송시열의 나이 82세가 되는 16881028, 숙종은 그토록 바라던 첫 아들을 얻었다. 장희빈의 소생으로 훗날 경종이 되는 이다. 당시 송시열은 낙향해 남간정사(南澗精舍)에 은거한 채, ‘조선의 주자로 군림하면서, 임금에 버금가는 권위와 위세를 누리고 있었다. 조정을 장악하고 있던 집권 세력도 송시열의 문하생이자 추종자들인 서인이었다.

그런데 숙종은 서인의 집권 세력이 어떻게 손을 써볼 틈도 주지 않고, 남인의 비호를 받는 장희빈 소생의 아들을 원자로 정호(定號)하고, 종묘(宗廟)에 고하는 절차까지 일사천리로 마무리해버렸다.

 

송시열은 원자의 작위와 정호그리고 종묘 고묘를 정면으로 반박하는 상소문을 올렸다. 그러나 이 상소문은 오히려 숙종의 분노를 사, 집권 세력이 다시 남인으로 바뀌는 기사한국(己巳換局)을 불렀다.

숙종은 기사환국 직전, 나라를 어지럽게 만든 당사자라는 죄목을 물어, 송시열을 제주도 유배형에 처했다. 1689211일 유배지인 제주도로 가는 도중에 송시열은 스승 김장생의 묘소가 있던 고정(高井, 지금의 충남 논산시 연산면 고정리)에 이르러 한 편의 글을 적어 스승의 묘소에 바쳤다.

 

송시열이 제주도에 도착해 귀양살이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그의 문하생과 추종자인 서인 세력이 조정에서 쫓겨나고, 남인이 대거 관직에 중용되는 기사환국이 일어났다.

그리고 숙종은 국문(鞠問)을 해 죄의 실상을 낱낱이 묻겠다면서, 송시열을 한양으로 압송하라는 어명을 내렸다. 한양으로 발길을 재촉하던 송시열은 168967, 전라도 정읍에 당도했다. 그런데 다음 날 아침 뜻밖에도 사약이 도착했다. 결국 송시열은 사약을 마시고 죽음을 맞았다. 그때 송시열의 나이 83세였다.

조선의 17세기를 보수의 세기로 장식하며 한 시대를 쥐고 흔들었던 노정객(老政客)이자 사상적 거두였던 송시열의 비극적인 최후였다.

 

그러나 송시열이 죽음으로 다져놓은 서인(노론) 세력의 정치적 명분과 사상적 권위는, 이후 그들이 조선의 정치권력을 다시 장악하고 장기 집권에 성공할 수 있는 초석(礎石)으로 작용했다.

그는 양대 전란(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의 사회·경제적 위기를, 예학(禮學)을 근본으로 삼아 기존의 신분 질서와 지배 체제를 더 공고히 다지는 방식으로 타개하려고 한 정치적 보수주의자였고, 춘추의리와 주자학의 절대 권위를 앞세워, 일체의 학문과 사상을 통제하려고 한 보수적인 이데올로그였다.

 

그러나 노론 세력의 장기 집권은 훗날 조선을 몰락의 구렁텅이로 몰아넣는 결과를 낳았다.

영조의 즉위와 함께 노론 세력은 장기간의 권력 독점을 통해 조정을 부정과 부패로 곪게 만들었고, 피의 숙청을 통해 정치적 경쟁자나 비판세력의 씨를 말려버렸고, 주자학의 권위와 정통성에 도전하는 그 어떤 사상적 학문적 움직임도 용납하지 않는 공포 정치를 일삼았기 때문이다.

 

송시열에게 성현(聖賢)의 반열에 올라야 허락되는 송자(宋子)’라는 극존칭을 부여한 그의 후학들은, ‘주자와 송자의 도통과 권위를 명분삼아 숱한 정치적 탄압과 사상적 박해를 저질렀다.

그 영향으로 보다 자유롭고 개방적이며 개혁적이고 진보적인 성향의 정치가나 학자들은, 미처 자신의 뜻을 다 펴보기도 전에 말살당해야 했다.

 

 

# 백호(白湖) : “천하의 이치(진리)란 한 사람이 모두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윤휴는 경주(아버지 윤효전이 경주 부윤으로 재임하던 때)에서 태어났고, 송시열보다 10년 연하이다.

윤휴의 나이 20(또는 21) 때인 병자호란 중에 윤휴는 속리산 복천사 앞에서 송시열을 만났고, 인조가 남한산성에서 나와 청나라에게 항복했다는 소식을 듣고서는 서로 손을 부여잡고 통곡했다고 한다.

 

이때 윤휴를 만나고 온 송시열은 동문(同門)의 대학자인 송준길에게 편지를 보내 내가 삼산에 가서 윤휴를 만나, 그와 더불어 3일 동안 학문을 논하였다. 그런데 우리들이 30년 독서한 것이 진실로 가소로웠다.”라고 하며 크게 탄식했다고 한다.

 

속리산 복천사 앞에서 송시열을 만나, 청나라에 항복한 나라의 운명 앞에 비통한 심정을 금할 수 없어 크게 통곡하고 집으로 돌아온 윤휴는, 다시는 과거에 응시하지 않고 문을 닫은 채 독서에만 몰두했다.

 

윤휴는 일찍부터 당시 성리학자(주자학자)들이 금과옥조처럼 여긴 성리대전(性理大典)·주자대전(朱子大典)·근사록(近思錄)·주자어류(朱子語類)에는 별반 관심을 두지 않고, 오히려 주자 이전 시대의 원 유학(原儒學) 즉 선진(先秦)과 진((() 시대의 경서와 주석을 널리 읽고 참고해, 주자의 학문 및 사상적 권위를 스스로 넘어섰다.

 

윤휴는 특별히 스승을 따로 모시지 않고, 오로지 자득(自得)과 체득(體得)의 방법으로 높은 학문적 경지에 올랐다. 주자의 권위를 넘어서 독자적인 경전 해석과 저술을 내놓을 수 있었던 이유 역시, 스스로 탐구하고 사색하면서 얻은 결과가 있었기 때문이다.

 

윤휴는 나이 25세가 되는 1641, 자신의 이름을 고치고 개명설(改名說)’을 지어 그 뜻을 밝힌 적이 있다.

윤휴의 원래 이름은 정( )이었다. 그런데 광해군 때 인목대비를 폐해 서인(庶人)으로 강등하라는, 이른바 폐모론(廢母論)’을 상소한 이정(李挺)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래서 윤휴의 아버지는 정( )과 정()의 소리가 같다고 해서 항상 우리 아이의 이름을 어떻게 그러한 자와 같게 할 수 있겠는가.”하며 고치려고 했다고 한다. 그러나 일찍 세상을 떠나는 바람에 개명할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선친이 남겨준 이름을 쉽게 고칠 수 없었던 윤휴는 오랫동안 고심해오다가, 이때에 이르러 마침내 자신의 이름을 휴()로 고쳤다.

()란 글자는 대개 큰 종이나 의 의미를 갖고 있다면서, 그 무겁고 강하고 웅장하고 사람을 감동시키는 성질과, 그 속이 텅 비어 환히 볼 수 있고, 또한 포용할 수 있는 덕()을 취택하려고 한다는 뜻을 밝혔다.

 

공주 유천에서 6년여의 세월을 보낸 윤휴는, 1644년 나이 28세 때 마침내 아버지와 조상의 묘소가 있는 경기도 여주(驪州)로 이사해 백호(白湖) 가에 거주지를 정하였다.

백호는 여주군 금사리에 있었는데, 이곳에 제방을 쌓기 전 금사천에 있던 호수였다고 한다.

백호 가에 자리를 잡고 거처한 윤휴는 여기에서 일생을 마칠 계획을 정하고, 자신의 호까지 백호로 삼았다.

 

여주는 경강(京江)에서 가까워 뱃길로도 쉽게 올 수 있고, 육로로도 오기가 편해 윤휴의 명성을 따라 수많은 명사들이 그를 찾아왔다.

효종이 즉위한 지 7년째 되는 1656(나이 40)부터 현종에 이르기까지 여러 벼슬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숙종이 즉위해 남인계 인사들을 대거 중용하고, 십여 차례에 걸친 사직 상소에도 불구하고 계속 벼슬을 하사하자, 마침내 윤휴는 출사를 결심하고, 가묘(家廟)에 나아가 뒤늦게 조정에 나아가게 된 이유를 고했다. 이때 윤휴의 나이 59세였다.

 

윤휴와 송시열의 관계는, 윤휴가 포의(布衣) 신분이었을 때에도 학문적으로는 물론, 정치적으로도 숙명의 라이벌이었다. 특히 윤휴가 대학(大學)중용(中庸)등에 주자의 해석과는 다른 독창적인 주석(註釋)을 담은 저술을 잇달아 내놓자, ‘주자학의 수호신임을 자처한 송시열의 분노는 극에 달했다.

 

젊은 시절부터 윤휴는 천하의 이치란 한 사람이 모두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는 자신만의 철학을 갖고서, 주자의 학설이 아니라 오직 진리만을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공공연하게 반주자학의 입장을 피력했다.

이에 송시열은 본격적으로 윤휴를 두고 성인인 주자의 사상과 학문을 그릇되게 어지럽히는 사문난적(斯文亂賊)이라고 공격했다.

 

윤휴는 1667(나이 51)1668(나이 52)에 연이어 대학설(大學說)중용장구보록서(中庸章句補錄序)를 저술해 세상에 내놓았다.

윤휴의 확고한 견해와 끊임없는 저술 활동은 송시열의 분노와 윤휴에 대한 증오심을 가중시켰다. 성인(聖人)인 주자가 이미 모든 학문의 이치를 명명백백하게 밝혀놓았는데, 감히 윤휴 따위가 주자학을 더럽히고 모욕하고 있다는 게 송시열의 생각이었다.

 

송시열은 제주도로 귀양 가던 마지막 순간에도, 스승인 김장생의 묘소 앞에 나아가, 마치 자기 일생의 최대 업적이자 중대사가 윤휴를 배척하고 죽인 일인 것처럼 자랑스럽게 고하기까지 했다.

송시열의 입장에서 윤휴는 학문적으로는 주자학의 법도와 질서를 어지럽히는 도적이고, 정치적으로는 자기당파(서인)의 권력을 위협하는 역적이었다.

 

수십 년 동안 정치적 사상적 라이벌 관계를 유지해 오던 송시열과 윤휴의 갈등과 대립은, 1674(현종 15, 나이 58) 벌어진 제2차 예손 논쟁에서 윤휴의 주장이 받아들여져, 송시열이 파면·유배당하고, 서인 세력이 대거 실각하게 되자, 회복 불가능한 상태로 접어들게 되었다.

 

송시열과 그를 추종하는 서인 세력의 윤휴에 대한 반감과 증오심은, 결국 숙종 6년인 1680년 남인 세력을 조정에서 대거 축출한 경신환국(庚申換局) 때 노골적으로 드러났다.

이해 다시 조정으로 돌아와 권력을 거머쥔 서인의 영수 송시열은, 윤휴를 사문난적으로 몰아 사사(賜死)했다. 520일 오후, 유배지인 갑산으로 향하던 중 서대문 밖 여염집에 머물며 혹독한 국문 탓에 얻은 장독(杖毒)으로 신음하고 있던 윤휴 앞에 한 사발의 사약이 내려왔다. 그때 윤휴의 나이 64세였다. 송시열보다 10년 늦게 세상에 나왔지만, 그보다 9년 앞서 세상을 떠났다.

 

··· 한때 소위 고명(高明)하다는 사람들이 그에게 중독되었는데, 윤증의 아버지인 윤선거가 특히 심했습니다. ··· 윤휴는 사문난적(斯文亂賊)이고, 윤선거는 당여(黨與)로 주자를 배반한 사람입니다. ···

- 숙종실록1324

 

주자학의 광기(狂氣)가 지식 사회를 휩쓴 조선의 17세기에 윤휴만큼 사상계의 혁신을 당당하고 용감하게 외친 선비는 없었다.

윤휴의 기상이 맹자의 기상과 같다. 이 때문에 우리 주자학도들이 매우 걱정하는 것이다.”(황세충)

 

윤휴의 죽음 이후, 오늘날 실학이라고 일컫는 새로운 사상과 지식 경향이 재야 지식인들 사이에서 출현하기 이전까지, 조선의 지식 사회는 주자학의 공포 정치에 굴복한 나약한 존재였을 뿐이다.

침묵굴종으로 얼룩진 오욕의 시대였다.

'역사, 인물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만중(金萬重)  (0) 2021.03.16
반계 유형원과 잠곡 김육  (0) 2021.03.16
고산 윤선도와 공재 윤두서  (0) 2021.03.13
교산 허균과 죽도 정여립  (0) 2021.03.11
조선시대 당파와 당쟁(붕당정치)  (0) 2021.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