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녀(김섬) | |
임진왜란의 명장 송상현의 연인, 김섬 함흥에서 태어났으며 당대의 명기(名妓)로 소문나자, 송 부사가 찾아와 마음을 차지해 버렸어요. 그 분은 비록 문관이었지만 기상이 장부처럼 늠름하고, 또 충청도 아저씨라 구수한 성격에 인정까지 넉넉했어요. 오랑캐의 침입이 잦은 거친 함경도에서 그 분만은 도저히 찾아 볼 수 없는 마음씨 착한 분이었어요. 그래요. 어떤 의미를 찾기 위해 사랑하기보다는, 세상을 살다보면 어느 새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일 뿐이여요. 그 사랑에 대해 도덕과 이성을 들이대어 비난한다면 아마도 사랑을 진실되게 해 본 사람이 아닐거여요. 사랑은 도덕이나 냉철한 이성보다는 확실히 더 양심적이고 따뜻한 그 무엇이며, 자기 노력과 의지와는 아무런 상관없이 일어난 일이니까요. “난리를 피하지 않는 것은 신하의 직분인데, 죽음을 어찌 피하랴.” 전쟁의 기운은 있었지만 그래도 저에게는 행복한 시절이었어요. 하지만 왜구가 동래성으로 처들어 온다는 전갈이 있자, 송 부사는 성밖으로 깊은 구덩이를 판 뒤에 울타리까지 쳐 견고하게 방어했어요. 그러자 왜구는 격문을 보내 시비를 걸었어요. “죽기는 쉽고 길을 빌리기는 어렵다.” 싸움이 시작되자, 왜구는 허수아비를 성안으로 들여보내 조선군을 교란을 시키더니 노도와 같이 몰려왔어요. 사태가 일순간에 위급에 빠졌어요. “부사, 소산(蘇山)으로 몸을 피하시죠.” 그러자 송 부사는 아래 장수에게 소리쳤어요. “죽음으로서 성을 지키지 않으면 조정에서 용서치 않을 것이고, 또 간들 어디로 가겠느냐.” 그러자 송 부사는 급히 갑옷 위에 조복을 입고는 북쪽을 향애 절을 하기 시작했어요. 임금에게 마지막 인사를 하는 중이지요. 그 장면을 목격한 저는 송 부사가 순절을 결심한 것을 알고, 즉시 여종 금춘(今春)이를 데리고 담장을 넘었어요. 송 부사는 이미 왜구에게 몇 겹으로 포위를 당해 살아 날 가망이 전혀 없었지요. 저는 힘차게 포위망을 헤집고 달려가 송 부사의 가슴에 안겼어요. “오, 섬아. 시절을 질못 만나 이 지경이 되었구나. 내 허리 밑에 사마귀가 있는 것을 너는 알지. 그것을 표식으로 내 시체를 거두어다오.” “부사 나리, 어서 도망을 치세요. 병서에 36계 전술이 뭐인지 아세요. 적을 당하지 못하면 도망치는 거여요. 어서요.” “아, 네 인생 또한 가련코 불쌍하다.” “부사 나리, 제발 어서 도망 치세요.” 사랑에 빠진 저에게는 조국도 백성도 안중에 없었어요. 눈 앞의 죽음만이 슬플 뿐이었어요. 여자의 사랑이란 본래 그런 것이 아니여요. 송 부사는 왜적을 향해 똑똑히 꾸짓었어요. “이웃 나라의 도가 어찌 이렇단 말이냐. 우리가 너희를 침범한 적이 없는데 너희들은 어찌 이런 짓을 하느냐.” 왜구는 저를 살려주며 몸을 요구하였어요. 저는 귀신처럼 머리를 풀어 헤치고는 달겨드는 왜놈마다 이빨로 사정없이 물어뜯었어요. “이 놈들, 내 낭군을 죽인 원수들아. 어서 나를 죽여라.” “너는 죽이기에는 너무 예뻐. 그러니 나의 여자가 되어 부귀영화를 누리자.” “더러운 놈, 너희는 서릿발 보다도 더 매서운 조선 여인의 정절을 모르더냐. �a” 저는 목이 달아나는 순간 하늘에 계신 낭군을 생각했어요. “서방님, 저희는 살아서는 연리지(連理枝)가 되고, 하늘에서는 비익조(飛翼鳥)가 돼요.” 연리지는 같은 뿌리에서 나와 가지가 두 갈래로 뻗은 나무요, 비익조는 암수 한쌍이 한 몸이 되어 하늘을 나는 새이니, 살아서도 같이 살고, 죽어서도 함께 있자는 저의 간절한 소망이지요. 왜장 히라요시(平義智)는 송 부사의 죽음을 무척이나 슬퍼하여, 부사를 죽인 왜병의 목을 치고, 이내 송 부사의 시체를 찾아내어 저와 함께 관에 넣어 장사를 지내 주었어요. 그리고 나무를 세워 우리가 묻힌 무덤을 표시를 해 두었어요. 송 부사는 왜적이 몰려온다는 소식을 듣고, 이씨 부인에게 한양으로 급히 올라가라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그녀가 떠난 뒤 하루만에 동래성이 함락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자, 그녀는 발길을 돌렸습니다. “내 차라리 남편 있는 곳에 가 죽으리라.” 그녀의 의로움은 마침내 풍신수길의 마음을 움직여 다시 조선으로 보내졌고, 한양으로 돌아온 이씨는 몸에 지녔던 송 부사의 갓끈을 정실 부인에게 전해 주었습니다. 신분을 확인한 두 사람은 서로 부둥켜안고 통곡을 하였다 합니다.
청주에 있는 송 부사의 묘에는 앞쪽에 저와 이씨 부인을 합장한 묘가 있고, 그 뒤로 부사와 본부인을 합장한 묘가 있어요. 많이들 찾아 오셔서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우리들을 위로해 주세요. |
* 윗 글은 '고제희의 역사나들이'에서 옮겨온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역사, 인물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 음식학의 기초를 놓은 정부인 안동장씨 (0) | 2008.08.20 |
---|---|
[스크랩] 조선왕조실록과 놀다 <12> -- 가짜들 쫓겨나다. (0) | 2008.08.09 |
무책임한 아버지 (김삿갓) (0) | 2008.07.31 |
[스크랩] 순교자 이차돈의 성은 이씨가 아닙니다 (0) | 2008.07.24 |
endless love(詩妓 김부용-3) (0) | 2008.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