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전 [神機箭]
화차의 복원 모습. 구멍 속에 끼인 막대 같은 것이 신기전이다.
발사하면 다량의 적을 섬멸할 수 있다.
고려 말엽(1377∼1390)에 최무선에 의하여 제조된 ‘달리는 불’이라는 뜻의 로켓병기인 '주화(走火)'가 1448년(세종 30) 개량되어 신기전(神機箭)으로 바뀌었다. 기화전(起火箭)이라고도 한다.
임진왜란 당시 거북선과 함께 숨은 무기로 활약했다고 <병기도설>에도 기록되어 있다.
종류에는 대신기전(大神機箭) · 산화신기전(散火神機箭) · 중신기전(中神機箭) · 소신기전(小神機箭)
등으로 나뉜다.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병기도설’의 신기전에 관한 기록은
15세기 이전의 로켓 병기에 관한 기록 중 세계에서 가장 자세하면서 오래된 기록이다.
특히 대신기전은 약통(藥筒)을 종이로 만든 로켓 병기로서 영국의 콩그레브(Congreve,W.)가
1805년 제작한 6-파운더(6-Pounder) 로켓보다 더 큰 세계최대의 종이통 로켓이다.
① 대신기전:
대신기전은 윗둘레 1촌(30.7㎜), 아랫둘레 3촌(92㎜)에 길이 17척(5,210.5㎜)의 긴 대나무(竹) 윗부분에 길이 2척2촌2분5리(682.0㎜), 둘레 9촌6분(294.2㎜), 안지름이 2촌2리(61.9㎜)의
원통형 종이통(로켓엔진)이 부착된 구조이다.
원통형 종이통(藥筒) 속에는 화약(추진제)을 채우고
아래에는 지름 1촌2분(36.8㎜)의 분사구멍(nozzle)이 뚫려 있어
이곳으로 종이통 속 화약의 연소가스가 밖으로 분출되며 로켓이 스스로 날아가는 것이다.
긴 대나무는 로켓이 앞으로 똑바로 안정되게 날아갈 수 있도록 하는 안정막대기이며
그 끝부분에는 조그만 날개가 붙어 있다.
종이통의 앞부분에는 종이통폭탄인 대신기전발화통(大神機箭發火筒)이 부착되어 있어
목표지점에서 폭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세종 때 90개가 제조되어 의주성에서 사용된 기록이 있다.
② 산화신기전:
산화신기전의 규모는 대신기전과 같으나 대신기전발화통을 사용하지 않고
약통의 윗부분에 빈 곳을 만들고 그 속에 지화(地火)와 발화(發火)를 묶어서 넣은 것으로
적군을 혼란에 빠뜨리는 데 사용된다. 대신기전과 산화신기전의 사정거리는 1,000m 이상이다.
③ 중신기전:
중신기전은 길이 4척5촌(1,379.3㎜) 되는 대나무앞에 쇠촉을 달고, 그 조금 위에
길이 6촌4분(196.2㎜), 둘레 2촌8분(85.8㎜), 안지름 5분3리(16.2㎜)의 종이약통을 부착하였다.
약통의 앞부분에는 종이폭탄 소발화(小發火)가 끼워져 있고
아래의 중앙에는 지름 2분3리(7.0㎜)의 분사구멍이 있다. 뒷부분에는 새털로 만든 깃이 있다.
④ 소신기전:
소신기전은 길이 3척3촌(1,011.5㎜)의 대나무 앞에 쇠촉을 달고,
그 뒤에 길이 4촌7분(144.0㎜), 겉둘레 2촌1분(64.4㎜), 안지름 3분7리(11.3㎜)의 약통을 달았다.
약통의 양쪽 끝은 종이로 막으며 아래의 끝면에는 지름 1분3리(4.0㎜)의 분사구멍이 있다.
화살의 아래 끝쪽에는 중신기전과 같이 새털로 만든 깃이 있다.
소신기전은 대 · 중신기전과는 달리 폭발물이 장치되어 있지 않다.
중 · 소신기전의 발사는 한개씩 빈 화살통 같은 곳에 꽂아 발사하기도 하였으나,
문종이 1451년(문종 1)에 화차를 제작한 뒤로부터는 화차의 신기전기(神機箭機)에서 주로 발사되었다.
신기전기는 한번에 100발의 중신기전이나 소신기전을 장전하여
차례로 발사할 수 있는 로켓발사틀이다.
로켓제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약통에 화약을 넣어 빈 공간을 만드는 방식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끝이 뾰족한 송곳을 약통 아래의 분사구멍에 끼우고 화약을 아래부터 다져서 넣는다.
그 다음 송곳을 빼내는 방법을 택하여 약통 속의 화약에 빈 공간을 만들어,
불로써 점화를 하면 동시에 화약이 타들어가는 면적을 넓게 하여 로켓의 추진력을 강력하게 해주었다.
중 · 소신기전의 사정거리는 중신기전이 150m, 소신기전이 100m 가량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신기전은 임진왜란 때에도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참고문헌≫ 國朝五禮序例
≪참고문헌≫ 韓國初期火器硏究(蔡連錫, 一志社, 1981)
- empas 백과사전
[화차(火車)]
조선 초기에 발명되어 조선 중기까지 사용된 화포의 일종이다.
오늘날에는 '화차'라고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당시에는 '화거'라 하였다.
태종 이후로 꾸준히 개발되어 일종의 로켓형 무기를 쏠 수 있는 연장포대가 되었다.
조선왕조실록의 태종실록에는 태종 9년(1409)에 만들어 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군기소감 이도와 군기감승 최해산 등이 만들었다.
그러나 이 화차는 실전에 쓰이지 않았으며, 실제로 크게 유용하지 않았다.
철령전 수십개를 달아 화약으로 발사하는 수레로 기록되어 있다.
이후 문종이 화차를 개량케 하였으며,
그 이후엔 1592년 변이중이 화차에 100개가 넘는 구멍을 뚫어 심지에 불을 붙여 발사하게 하였다.
이 때까지는 실전에 많이 사용되지 않았다.
이렇게 큰 역할을 하지 못하던 화차가 진가를 발휘한 것은 임진왜란 때이다.
구멍에 꽂은 신기전을 발사하여 적군을 살상하는 한편, 군사 물품을 옮기는 수레로서도 사용하였다.
신기전은 대나무로 만든 화살에 약통을 붙여 약통 심지에 불을 붙이면 폭발하여
그 추진력으로 날아가는 무기이다.
화차는 실제 권율의 행주대첩 때에도 비격진천뢰와 함께 유용하게 쓰였다.
화차는 한 명만으로는 움직이기 힘들어서 두 명 이상이 함께 움직였다고 한다.
스크린 속에 살아난 세종시대 로켓, 신기전 |
세계 최초의 ‘탄도미사일’ 복원 한창 |
- 과학동아, 2008년 09월호
- 글, 전승민 기자 ㆍ enhanced@donga.com
'역사, 인물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인천하(나합) (0) | 2008.10.07 |
---|---|
[스크랩] 조선왕조실록과 놀다 <16> (0) | 2008.09.17 |
[스크랩] 조선왕조실록과 놀다 <15> -- 정몽주, 이렇게 죽다 (0) | 2008.09.05 |
[스크랩] 조선왕조실록과 놀다 <14> -- 겉으론 후대, 속으론 경계 (0) | 2008.09.05 |
초혼(류관순) (0) | 2008.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