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를 확인하듯 고려대, 연세대, 이화여대 등 우리나라
하지만 노동조건 개선과 여성의 지위 향상을 빵과 장미로 상징한 첫 시위는 1908년 뉴욕 시위가 아니라 1912년 미국 매사추세츠주 로렌스 직물공장 노동자들의 파업이었다는 주장이 더 유력하다.
‘빵과 장미’는 제임스 오펜하임이 시카고 여성 노동운동가들을 위하여 쓴 시의 제목인데, 로렌스 파업에서 일부 여성 노동자들이 그 시의 한 구절인 “우리는 빵을 원한다. 그러나 장미도 원한다”라는 피켓을 들고 나온 게 그 효시라는 것이다.
로렌스 공장은 주로 미숙련 여성노동자를 고용한 모직물 생산업체였다. 노동자들은 주급 9달러를 받으며 주 60시간 노동에 시달렸다.
이를 보다 못한 매사추세츠주가 여성의 주당 노동시간을 44시간으로 제한하는 법을 통과시키자 공장주는 노동자들의 임금을 깎는 것으로 맞섰다. 격분한 여성 노동자들은 파업에 나섰고 요구조건은 빵(노동조건)을 넘어 장미(지위 향상)로까지 확대됐다.
이 파업은 미국 진보진영의 아낌없는 지원을 받았다. 3중장애를 가졌던 헬렌 켈러조차 파업지지 유세에 나섰을 정도였다.
진보세력의 지원에 힘입어 파업은 두달 동안이나 지속됐고, 결국 노동자들은 승리했다.
이후 빵과 장미는 여성 노동운동의 상징이 됐다.
2011년 한국판 빵과 장미의 투쟁을 시작한 대학 청소노동자들에게도 여성계를 비롯한 각계의 지지와 연대가 긴요하다. < 권태선 논설위원 kwonts@hani.co.kr >
빵과 장미
'시사,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분 따지는 최시중 ‘명분없는 연임’ (0) | 2011.03.09 |
---|---|
정권에 불리한 자료는 발표도 못하게 하는 청와대 (0) | 2011.03.09 |
군인은 반쪽짜리 국민인가? (0) | 2011.03.05 |
전쟁도 불사? (0) | 2011.03.05 |
이명박 정부 3년, 민생이 문제로다! (0) | 2011.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