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자료, 기사 사진

다산 정약용 '거중기'의 새 진실, 고교생들이 밝혔다.

道雨 2011. 9. 20. 16:27

 

 

 

      ‘거중기’ 새 진실 고교생들이 밝혔다

 

"다산 정약용 선생이 고안한 거중기는 성벽 축조가 아니라 무거운 돌을 수레에 싣는 장치였습니다. 따라서 수원 화성의 공사기간을 10년에서 2년 반으로 줄일 수 있었던 것은 기술혁신의 결과라기보다 성과급제 등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통한 경영혁신 때문이었다고 보는 게 옳습니다."

19일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열린 수원 화성에 대한 연구 발표회. 발표를 맡은 이는 대학 교수나 전문가가 아닌 서울 하나고 2학년 이종현군이었다.

이군이 발표한 '거중기 용도에 관한 새로운 해석과 수원 화성 건설을 통해 본 경영혁신으로서의 실학정신' 연구는 하나고와 서울 마포고 학생 80명이 각각 이효근 교사와 김평원 교사의 지도 아래 지난 3월부터 함께 연구해 온 결과물이었다.

하나고 학생들은 거중기를 수레에 돌을 올려 싣는 고정 시설로 설정했다. 총 연장이 6㎞에 이르는 화성을 쌓으려면 거중기가 이동해야 하는데 기록에 남아 있는 거중기에는 수레바퀴 등 이동을 위한 흔적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의문에서 출발한 가설이다. 이들은 복원된 거중기를 직접 찾아다니며 오류를 찾아냈다. 그 결과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12분의 5 비율로 축소한 거중기 모형을 복원해 냈고, 이날 발표회에서 수레에 돌을 올리는 과정을 직접 시연까지 해 보였다.

조선 사회에 뿌리내린 자본주의가 단기간에 화성 축조를 가능하게 한 배경이 됐다는 인문학적 연구도 함께 제시했다.

마포고 학생들은 수원 화성의 단기간 완공 비결이 인적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에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를 위해 성벽 축조방식을 재현해 거중기 없이도 성벽을 쌓을 수 있었음을 증명해 보였다. 화성의 축조방식은 '외축내탁'(外築內托)으로, 성 바깥쪽은 밑에 큰 돌을 깔고 위로 올라갈수록 작은 돌을 쌓았으며 안쪽은 잡석과 토사를 다져 넣어 넓고 완만한 구릉을 만들었다. 학생들은 "이 구릉을 통해 거중기 없이 인력이나 우마차를 이용해 성을 축조했다."고 주장했다.

신진호기자 sayh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