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학생들의 단골 수학여행지가 되다시피한 제주. 제주를 다녀온 학생치고 제주항쟁에 대해 한마디라도 들었다는 학생을 만난 일이 없다.
수학(修學)이란 닦을 수(修) 배울 학(學)의 뜻 그대로 ‘학교 안에서 배울 수 없는 것들을 여행을 통해서 알고 배우는 공부’다.
아직도 정확하게 희생자 수를 파악 할 수조차 없지만, 인명 피해 규모만 해도 당시 제주도 전체 인구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2만 5천∼3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을 뿐이다.
이런 제주에 수학을 하러 가는 학생들이 4·3제주항쟁을 모르고 돌아온다는 것은 수학의 포기다.
대한민국에 살면서 ‘5·18 광주민중항쟁’을 모르고 산다는 것은, 제주를 다녀온 학생들이 4·3제주항쟁을 모르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다가오는 5월 18일은 5·18광주민중항쟁 38주년 째 맞는 날이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광주시민에 대한 부채(역사의식)로부터 자유로운 사람은 없다. 내가 이렇게 단정하는 이유는, 1980년 광주가 오늘날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지킨 보루(堡壘)라고 확신하기 때문이다.
박정희 일당이 만든 한반도 남쪽 대한민국은 그야말로 얼어붙은 땅 동토(凍土)공화국이였다. 국민의 혈세로 키운 대한민국군인들이 4·19혁명으로 일군 민주주의를 짓밟고 총칼과 대포로 국민을 협박하고 권력을 도둑질한 게 5·16군사쿠데타다.
박정희역적의 무리들은 이렇게 박정희정권 19년과 전두환, 노태우 13년간의 군사정권의 시대 서막을 알리며 등장한다.
이름은 거창하게 군복을 벗고 ‘민정으로 이양’했지만, 사실은 국민의 입과 귀에 자물쇠는 채우는 ‘국가보안법’으로 무장하고, 보도 자료로 언론에 입에 족쇄를 채워놓고, ‘한국적민주주의’라는 듣도 보도 못한 말까지 지어내, 유신시대, 군사정권시대를 열었던 것이다.
보다 못한 충복(?) 김재규 중앙정보부장(현 국정원)이 박정희를 향해 “각하도 죽어 주십시오!”라며 방아쇠가 당겨졌고, 박정희공화국 한국적 민주주의 유신의 시대는 막을 내리게 됐다.
1979년 10·26으로 왜왕에 충성맹세를 했던 오카모토미노루(岡本 實) 박정희는 갔지만, 무주공산(無主空山)이 된 동토의 왕국 대한민국을 전두환이라는 살인마기 보고만 있을리 없었다.
1979년 12·12일 전두환과 박희도, 노태우, 유학성 정호용, 황영시를 비롯한 하나회는 독재자 박정희의 자리를 재빨리 꿰차고 제 2의 5.16군사반란인 12·12군사쿠데타로 정권을 또다시 도둑질하게 된다.
권력에 맛을 본 군인과 통제에 길들여진 언론 그리고 유신교육에 마취된 민주시민들은 침묵하고, 미국의 묵인으로 대한민국은 다시 정치군인들에 의해 13년간의 군사정권의 시대를 열어 국정농단이 시작된다.
유신헌법의 대통령 권한은 ‘△대통령은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토론 없이 무기명 투표로 선거한다. △대통령은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정지시키고, 정부나 법원에 대해서도 긴급 조치를 할 수 있다. △긴급 조치는 사업 심사 대상이 아니다. ∘대통령은 국회를 해산할 수 있다…’와 같은 무한권력을 전두환 일당들이 이용해 군복을 민간복으로 재빨리 갈아입고 대통령 자리를 차지한다.
△대한민국 (유신)헌법을 부정, 반대, 왜곡 또는 비방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한다. △대한민국(유신) 헌법의 개정 또는 폐지를 주장, 발의, 청원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한다. △유언비어를 날조, 유포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한다. △이 조치에 위반한 자와 이 조치를 비방한 자는 법관의 영장 없이 체포, 구속, 압수, 수색할 수 있다. △이 조치에 위반한 자와 이 조치를 비방한 자는 비상 군법 회의에서 심판, 처단한다. 는 긴급 조치 1호로 대한민국은 숨조차 쉬기 어려울 정도로 얼어붙고 말았다.
참을성 많은 대한민국 국민들이었지만 불의를 보고 침묵할 수 없다는 정의감은 최악의 상황에서 유감없이 발휘한다. 한 번의 국정농단으로 짓밟히고 시달린 고통만 해도 견디기 어려웠는데, 또다시 등장한 전두환정치깡패 무리들을 용납할 만큼 인내심이 후한 것은 아니었다.
결국 계엄령이 선포된 5월의 대한민국은 숨조차 쉬기 어려운 공포의 분위기에서 광주민중들만 불의와 맞서 일어섰다.
4·19혁명을 일궈낸 학생과 대한민국 주권자 민중들조차 공포에 질려 숨죽이고 있던 대한민국에, 광주는 침묵하지 않고 도도히 일어섰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