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자료, 기사 사진

“한국 정부 어떤 기관도 책임 안 진다” 외신이 전한 ‘이태원 참사’

道雨 2022. 11. 2. 09:32

“한국 정부 어떤 기관도 책임 안 진다” 외신이 전한 ‘이태원 참사’

 

 

 

 

NYT “절대적으로 피할 수 있는 것이었다”
AFP “관료들 책임에 대한 질문 일축 중”
가디언 “당국이 인파 통제 계획 전무했다”

 

       * 뉴욕타임즈 화면 갈무리

 

 

 

‘이태원 참사’ 발생한 지 사흘째가 되며, 애도에 집중하던 외신들도 하나둘씩 한국 정부 책임론을 지적하고 나섰다. 150명 넘는 이들이 희생된 끔찍한 참사에 조심스런 태도를 보이면서도, 당국의 사전 대비가 충실했다면 충분히 피할 수 있는 ‘인재’였다고 꼬집었다.

 

미국 <뉴욕타임즈>는 31일(현지시각) 이태원 참사에 대해 전문가들일 인용해 “절대적으로 피할 수 있는 것이었다”며 “어떤 한국 정부의 기관도 이태원에서 1년 중 가장 바쁜 날 밤에 숨진 이들을 전적으로 책임질 준비가 돼있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이번 참사의 원인을 한국 정부의 치안 대응 실패로 꼽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사례를 열거했다.

 

구체적으로 신문은 “케이팝 스타 비티에스(BTS)가 한국에서 5만5000명의 관중을 동원하는 쇼를 열 때, 경찰은 안전을 위해 1300명을 배치했다”면서, 한국 경찰은 “아무리 작은 규모의 시위라도 계획을 세우는 것으로 유명하지만, 지난 토요일 밤은 그런 일들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나아가 당시 “경찰 137명만이 배치됐지만, 대부분은 절도·마약·성범죄 단속이 업무였다”면서 “이런 결정으로 인한 인적 손실 비용은 명백했다. 150명 이상이 숨지는 결과를 낳았다”고 전했다.

 

이어, 한국 정부의 ‘책임 떠넘기기’에도 비판의 날을 들이댔다. 신문은 “한국 정부 관료들은 지난 토요일 밤 이태원에서 일어난 참사에 대해 대부분 입을 굳게 다물고 있지만, 한국 역사상 평화 시기에 일어난 최악의 재난 중 하나에 대해 많은 이들이 군중 치안 유지의 실패에 정부 책임을 묻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에프페>(AFP) 통신도 이태원 참사에 대한 해설 기사에서 “티켓이 없는 공개 모임인 핼러윈 행사이지만, 당국은 과밀을 막기 위해 적극적으로 상황을 관리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당국의 사전 준비 부족을 문제 삼았다.

또 대규모 참사 이후의 정부가 보인 태도를 지적하며 “대중의 분노가 정부와 경찰의 명백한 관리감독 부족이라며 폭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아무도 책임을 지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의 고위 관료들은 현재 우선 순위가 사고 후유증을 처리하는 데 있다고 말하며 책임에 대한 질문을 일축하고 있다고 통신은 지적했다.

 

영국 <가디언> 역시 이날 “사고 현장에 비교적 적은 수의 경찰이 배치됐다는 목격자들의 지적 이후, 언론과 인터넷에서 정부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많은 인파가 몰리지만 공식적인 주최자는 없는 모임에서 용산구는 할로윈 행사를 관리할 계획을 내놨지만 △코로나19 방지 대책 △술집과 식당의 안전 점검 △쓰레기 관리 △마약 단속 정책 등만 있었을 뿐, 이 지역에 집결할 것으로 예상되는 인파를 어떻게 통제할지 아무것도 밝히지 않았다고 전했다.

 

자국민 5명을 잃은 이란 외교부 당국자는 아예 한국 정부의 책임을 직접 거론했다. 나세르 칸아니 이란 외교부 대변인은 31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한국 정부가 관리 방법을 알았다면 행사 관리를 해야 했다”고 말했다.

 

일본 언론 역시 경찰의 경비 통제에 문제점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요미우리신문>은 1일 1면 머리기사에서 “한국 정부 사고대책본부가 전날 기자회견에서 ‘(경찰 등이 절대.마약 등) 불법행위 방지와 적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고 말해, 혼잡 경비에 부족함이 있었다는 사실을 사실상 인정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이번 할로윈 축제의 경우 행사를 주최한 이들이 없어 “안전관리상 책임이 애매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아사히신문>은 1일치 사설에서 “많은 사람들이 거기로 나올 것이 예상된 상황이었는데, 경비 태세는 충분했는지 해명되어야 할 점이 많다”면서도 “이번에도 (지난 세월호 참사 때처럼) 전도유망한 많은 젊은이들을 지키지 못했다는 자책의 마음이 확장돼, 사회 안전에 대한 인식이 다시금 높아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