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상식

큰 도둑

道雨 2010. 3. 5. 12:10

 

 

                                              큰 도둑

 

 

우리나라 산과 들에 아무렇게나 피는 꽃 가운데 ‘도둑놈의갈고리’가 있다.

험악한 이름과는 달리 방울방울 이어 피는 생김새가 귀여운 초롱꽃을 닮았다. 종류도 여럿인데, 키가 좀 큰 것을 큰도둑놈, 작은 것을 애기도둑놈, 잎에 털이 많은 것을 개도둑놈의갈고리라고 부른다.

열매에 달린 갈고리 모양의 가시 덕에 별난 이름을 얻었다. 갈고리는 도둑놈처럼 조용히 여기저기 잘도 달라붙는다.

 

큰 도둑, 작은 도둑은 들과 산에만 있었던 것이 아닌 모양이다.

다산 정약용은 ‘감사론’(監司論)이란 글에서 도둑의 등급을 나눴다. 배고파 담을 넘는 도둑은 도둑 축에도 들지 않으며, 이서(말단 벼슬아치)가 소도(小盜), 감사(관찰사)가 대도(大盜)라고 했다.

지방관리들은 하나같이 공인된 도적들이라며 당시 만연한 공직비리를 개탄했다. 그는 나라와 백성을 위해 일하는 자들의 도둑질은 백성의 숨을 끊는 가장 무거운 범죄로 봤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봉하마을 자택을 짓기도 한 정기용이라는 건축가가 있다.

그는 1996년부터 10년을 전북 무주에서 보냈다. 거기서 주민자치센터와 버스정류장 등 30여개 시설물을 지었다. 주민자치센터엔 목욕탕이 들어갔다. 주민들에게 원하는 게 뭐냐고 물었더니 돌아온 대답이 그랬기 때문이다.

이 동네 공설운동장 관중석엔 등나무로 올린 지붕이 있다. 군내 행사가 있을 때 주민들은 왜 참석하지 않느냐고 한 할아버지에게 물었다.

“누구는 그늘에 앉고 우린 땡볕에 앉으라고?”

이후 주민을 주인 삼는 운동장 그늘이 만들어졌다. 모두 당시 뜻을 함께한 군수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지방선거를 3개월 앞두고 비리가 끝이 없다. 시장·군수에서 구청장·구의원·시의원, 교장·교육감에 이르기까지 지역도 없고 분야도 없다. 무주처럼은 아니더라도, 백성 고혈 짜는 큰 도둑놈들이나 좀 줄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함석진 기자 sjham@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