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상식

군사주권에서도 시대착오 ‘삽질’

道雨 2010. 6. 25. 12:34

 

 

 

 

        군사주권에서도 시대착오 ‘삽질’

 

 

주권국가로서 참으로 부끄럽고 수치스럽다.
헌법에 보장된 대통령의 군통수권은 군사주권의 핵심이고, 군사주권은 국가주권의 상징이다. 자기 나라 군대를 자기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는 것은 식민지 군대나 패전국으로 군사점령을 당한 곳에서나 있을 수 있는 일이다.

 

전작권 환수문제가 우리 사회에서 논란이 됐던 2006년 당시 환수 반대론자들이 내세웠던 논리는 매우 단순했다. 환수가 주한미군 철수로 이어져 한-미동맹 붕괴를 초래하고, 미국 본토로부터 미 증원군의 파견을 어렵게 할 것이라는 주장이었다. 이 논리가 얼마나 허구적인지는 더 이상 설명할 필요도 없다.

도대체 왜 이 시점에서 전작권 환수를 연기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명박 정부는 최소한 그 이유를 설득력 있게 설명해야 한다. 단지 천안함 침몰 사건으로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커졌기 때문이라는 주장은 “가스통 할배들”에게나 먹힐 수 있는 궁색한 논리다.

 

천안함 사건은 오히려 전작권 환수의 필요성을 일깨워 준 사건이다. 미국이 전작권을 보유하고 있고 ‘연합작전위임사항’(CODA)에 의해 훈련에 대한 주도권을 미군이 행사하도록 돼 있는 한-미 합동 군사훈련 기간 중에 발생했기 때문이다. 전작권 환수가 늦어질수록 그만큼 정보력에 대한 대미 의존이 심화되고 육해공군의 균형발전이 저해될 수밖에 없다.

 

전작권 환수 연기는 명분도 없지만 실익도 없다.

그동안 전작권 이양을 전제로 투자해온 천문학적인 국방비와 인적·물적 비용은 누가 책임질 것인가? 전작권 환수와 자주국방을 명분으로 매년 10% 이상의 국방비 증액을 해왔고, 2012년 환수를 목표로 이미 환수 준비가 상당 부분 진척된 상태다.

또 전작권 연기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과 미사일 방어체제(MD) 참여 등 미국에 지불해야 할 비용도 만만치 않다.

 

무엇보다도 우려되는 것은 만약 전작권 환수가 지연되거나 무산된다면, 그동안 어렵게 추진해온 자주국방과 우리 군의 미래지향적 군 개편은 물건너가게 된다는 점이다.

미래지향적인 안보정책과 군사전략을 수립하고 그에 걸맞게 우리 군대를 발전시키고 개편하기 위한 전제는 전작권의 환수다.

우리 군대가 총동원되는 작전계획이 미국 태평양사령부의 ‘작계5027’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 미국의 처지에서 한국군은 미국의 세계 군사전략 목표를 수행하는 부속품 하나에 불과하다.

 

미국은 환수 연기의 반대급부로 많은 양보를 받아낼 수 있어 손해 볼 것 없는 장사다. 특히 대미균형외교를 내세우며 주일미군기지의 축소를 요구하고 있는 일본 민주당 정권을 견제하고, 동북아에서 군사적 주도권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전작권 이양을 굳이 서두를 필요가 없다.

미국의 태도는 비난받아 마땅하다. 오랫동안 논의를 거친 한-미 양국 정부의 합의를 뚜렷한 이유와 설명 없이 하루아침에 뒤집는 꼴이기 때문이다.

천안함 사건에 대해 보여준 미국의 태도와 맞물려 한국 내에서 미국에 대한 불신이 고조되고 반미감정이 커질까 우려된다.


북한보다 경제력이 40배나 되고, 북한의 국내총생산(GDP)보다도 많은 군사비를 지출하고 있는,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인 나라에서 외국군대에 전작권을 넘겨주어야만 국가안보를 유지할 수 있다면, 그런 무능한 정권은 당장 퇴진하고 대통령은 하야해야 되는 것 아닌가.

 

<이철기 동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